TECH M
TECH M
하드디스크 빈 공간 사용하는 ‘파일코인’
COVER STORY 주요 ICO 사례
컴퓨터, 서버, 스토리지 등의 하드디스크 빈 공간을 활용하고자 하는 아이디어는 그동안 수없이 제기됐다.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해 저장장치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개념은 클라우드 서비스로 발전했다.
하지만 이같은 논의는 제한적으로 진행돼 왔다. 전 세계 수많은 컴퓨터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은 꿈같은 일이었다. 그것은 기술적인 문제보다는 다수의 사용자들을 설득할 수 있는지 여부와 관련이 있었다. 아무런 보상 없이 호의만으로 자신의 컴퓨터 하드디스크 공간을 내놓을 사람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암호화폐공개(ICO)로 이런 꿈같은 이야기에 도전하고 있는 사례가 있다. 2014년 설립된 스타트업 프로토콜랩스는 분산형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기업이다. 여기까지는 다른 IT기업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그런데 프로토콜랩스는 사용하지 않는 컴퓨터의 빈 공간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줄 경우 암호화폐 ‘파일코인(Filecoin)’을 지급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개념은 간단하다. 이용자들이 자신의 컴퓨터 공간을 다른 사람에게 제공하는 만큼 파일코인을 받는 것. 이렇게 받은 파일코인은 현금이나 비트코인 등 다른 화폐로 환전할 수 있다. 중앙 서버없이 개인 간 거래가 이뤄지고 그 내역을 이용자들이 교차 검증하는 블록체인으로 신뢰성을 확보한다.
프로토콜랩스는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데이터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호스팅 할 수 있는 차세대 인프라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프로토콜랩스는 2017년 9월 파일코인 ICO로 2억5700만 달러를 모았다. 일각에서는 기대에 못 미치는 규모라고 분석하기도 하지만 신생기업이 단기간에 막대한 자금을 모금한 것이다.
파일코인이 주목되는 것은 앞으로의 성장성이다. 전 세계 어느 곳에서나 사용되지 않는 저장공간이 있기 마련이다. 사용자들은 이를 이용해 돈을 벌 수 있기 때문에 파일코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파일코인은 저장공간을 찾는 구매자가 있고 저장공간을 제공하는 판매자가 거래를 하는 형식이 된다. 저장공간 제공자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 광부가 된다고 볼 수 있다. 파일코인은 시간과 저장공간이라는 시공간 개념을 교환하는 매개체가 된다. 프로토콜랩스는 거래 과정에서 데이터 저장과 확인 등 문제 소지를 없애기 위해 완전히 익명으로 과정이 이뤄지도록 하고 있다.
프로토콜랩스는 ICO를 통해 확보한 자금으로 파일코인 시스템을 공고히하는 것은 물론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할 계획이다. 프로토콜랩스는 분산 데이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인터넷 회사에 종속되지 않는 자유로운 분산 웹 환경을 만들 방침이다. 또 2020년까지 클라우드 스토리지 비용을 낮추는 방안도 주요 목표로 하고 있다.
[테크M = 강진규 기자(viper@techm.kr)]
<본 기사는 테크M 제61호(2018년 5월) 기사입니다>
-
[테크앤가젯] 휴대용 귀 지압기·열쇠고리 오픈소스 게임기너바나는 언뜻 보면 헤드폰처럼 생겼지만 귀 경혈을 지압해주는 개인용 귀 지압 마사지 기기다. 가늘고 끝쪽을 둥글게 처리한 막대 34개를 이용해 귀 경혈을 눌러주는 것이다. 막대 자체는 좌우 귀쪽에 각각 17개씩 위치하고 있다. 귀 모양에 맞게 늘어서 있어 정확하게 경혈을 눌러줄 수 있게 설계했다. 누르는 것만 되는 게 아니라 쓰다듬는 동작도 가능하다고 한다.이 제품은 4가지 모드를 지원한다. 명상 모드를 택하면 신체 리듬을 살리는 동작을, 활력 모드를 이용하면 간과 뇌, 눈 경혈을 자극하며2018-05-30 11:14:05이석원 벤처스퀘어 기자
-
세상을 밝힌 ‘직류와 교류’ 미래의 전력망은 어떻게 바뀔까[테크M=송경모 미라위즈 대표] 전기 없는 20세기 문명이 가능했을까? 21세기 전기 문명은 전등에서 촉발됐지만, 이후 여러 부분이 상호 강화되면서 전체의 모습을 형성해 갔다. 전기자동차와 전차, 전기로 움직이는 지하철은 도시의 모습을 바꿔놓았다. 전기로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덕분에 고층 빌딩 건설이 가능해졌다. 냉장고와 전기청소기, 전기밥솥과 전자레인지 없는 가정을 상상하기 힘들다. 전기 모터를 톱, 드라이버, 송곳, 칼에 부착하면서 전동공구 혁명이 일어났고, 제조업 생산성이 극도로 향상됐다. 무엇보다 오늘날 4차 산업혁명에 이2018-05-29 15:03:42송경모 미라위즈 대표
-
탈중앙화 시대, 혁신의 방향을 묻다4월 19일과 20일 양일간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열린 머니투데이미디어 글로벌 컨퍼런스 ‘키플랫폼 2018(K.E.Y. PLATFORM 2018)’에선 확대되는 탈중앙화 환경이 갖는 의미와 대응법에 대한 석학들의 메시지들이 쏟아졌다.올해 키플랫폼 행사에선 ‘탈중앙화 : 광란의 신세계’라는 주제로 총회 리포트가 진행됐고, 전문가들은 탈중앙화 시대를 이끄는 블록체인 기술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블록체인과 탈중앙화 패러다임의 부상은 사회적 변화와도 무관치 않2018-05-29 13:26:16황치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