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FOCUS]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앱은? 카카오톡과 네이버 제친 ‘유튜브’ 1위
테크M 포커스
2018-06-20곽예하 인턴기자
구글 유튜브가 국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애플리케이션 (이하 앱)인 것으로 나타났다. 10대들의 유튜브 사용시간이 카카오톡이나 네이버, 페이스북 같은 앱을 합한 시간보다 길었다.
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이 4월 조사한 ‘한국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사용자의 세대별 사용 현황’에 따르면, 유튜브 총 사용시간이 258억 분으로 가장 길게 나타났다. 2위를 기록한 카카오톡 189억 분에 비해 70억 분이나 높은 수치다.
나이로는 10대, 20대, 30대, 40대 순으로 유튜브 시청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특히 10대는 카카오톡과 네이버, 페이스북 같은 주요 앱의 사용시간을 합한 것보다 유튜브를 더 오래 이용했다.
유튜브 사용시간은 지난 2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7년 8월부터 한국에서 ‘가장 오랜 시간 이용하는 앱’이 됐다는 분석이다. 실제로 2016년만 해도 유튜브 사용시간은 카카오톡과 네이버에 비해 크게 떨어졌었다.
한편 유튜브는 5월 22일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유튜브 뮤직’, ‘유튜브 뮤직 프리미엄’, ‘유튜브 프리미엄’을 선보인다. ‘광고 기반의 무료 서비스’ 또는 ‘광고가 없는 유료 구독 서비스’로 세분화해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2호(2018년 6월) 기사입니다>
-
주목받는 블록체인 기업들-MTO글로벌 , 핀덱스체인MTO글로벌 / 소비자와 기업 모두 웃는 ‘M2O’ 서비스잘 쌓은 마일리지는 소비와 보상의 기쁨을 동시에 준다. 통상적으로 마일리지는 항공사의 적립금을 일컫는 말이지만, 요즘은 항공사뿐 아니라 카드나 통신회사, 유통업체 등에서도 고객 유치의 일환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마일리지는 제공 회사와 관계된 서비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포인트와 마일리지의 적립은 충당부채로 인식돼 기업들에 적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MTO글로벌은 마2018-06-26 14:27:01김태환,신다혜,곽예하 기자
-
[FOCUS] 사용자들의 VR·AR 콘텐츠 멀미현상 예방 ‘가이드라인’ 마련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콘텐츠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멀미현상과 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됐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한국가상증강현실산업협회 (KoVRA)는 지난 4월 30일, 안전한 VR·AR 이용과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해 업계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공청회를 열었다.이날 공청회는 VR·AR 이용과 제작 안전 가이드라인, VR 체험시설 구축 가이드라인, VR·AR 콘텐츠 이용과 제작 평가 인증사업 소개와 추진현황2018-06-26 10:48:54신다혜 기자
-
[6월 추천도서] 블록체인부터 유튜브까지...핫한 ICT키워드 담긴 6월 추천도서블록체인 무엇인가?블록체인, 비트코인, 암호화폐. 무엇이기에 사람들이 이토록 열광하는 걸까? 다니엘 드레셔는 여러 은행의 전자증권거래 분야에 근무하며 풍부한 경험을 쌓은 금융 전문가다. 그는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에 주목했다. 밑바탕이 없다면 모래 위에 성을 쌓은 것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과장이나 억측 없이, 차분히 블록체인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고 있어 블록체인 초보들이 읽기에 좋다. 복잡하고 어려운 단어 대신 우체통과 뜨개질 같은 일상의 이야기로 블록체인을 설명한다. 처2018-06-22 10:18:10곽예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