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MS OS와 오피스 완전 대체 목표로 '티맥스 OS' 공개
국내 소프트웨어(SW) 기업 티맥스가 자체 개발한 PC용 운영체제 '티맥스OS'를 공개했다. 현재 국내 PC용 운영체제 시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가 장악하고 있다. 티맥스의 도전이 글로벌 공룡 MS의 독주를 깰 수 있을지 주목된다.
티맥스 3사(티맥스소프트, 티맥스데이터, 티맥스오에스)는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티맥스데이 2018’에서 새로운 PC용 운영체제 ‘티맥스 OS'를 공개했다.
‘티맥스 OS’는 높은 호환성과 강화된 보안을 특징으로 한다. 자체개발한 호환 레이어를 바탕으로 MS윈도우 기반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램을 별도 수정없이 티맥스 OS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오피스프로그램인 ‘티맥스오피스’와 웹브라우저인 ‘투게이트(ToGate)’도 기본으로 제공한다.
또 일반 사용환경인 ‘노멀존(Normal Zone)’과 높은 보안성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위한 ‘시큐어존(Secure Zone)’을 분리했다. 시큐어존은 보안기능을 극대화한 업무 환경을 제공해 기업 간 거래(B2B) 시장에서 유용하게 작용할 전망이다.
존 윤(John Yun) 티맥스소프트 글로벌 최고기술책임자(CTO)는 “작년 MS는 랜섬웨어 문제로 큰 피해를 입었다”며 “티맥스 OS는 보안 측면을 강화해 기업 업무에 알맞은 환경을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티맥스OS는 지난달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소프트웨어 시험인증연구소에서 주는 GS 인증 1등급을 획득하며 주목받기도 했다. ‘GS 인증’은 기능성, 신뢰성과 상호 호환성 면에서 일정수준 이상인 제품에 부여하는 국가인증제도다. 인증 제품은 공공기관 우선 구매 대상이 된다. 티맥스 OS의 GS인증은 국산 PC용 운영체제로는 최초다.
티맥스소프트는 티맥스 OS의 주력 시장을 국방과 공기업, 교육기관 같은 ‘공공시장’으로 밝혔다. 이후 자리를 어느 정도 잡으면 사기업 또는 개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범위를 넓혀갈 예정이다.
이날 행사에서는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를 구현할 수 있는 스마트 클라우드 플랫폼 ‘프로존(ProZone)’도 공개했다. 프로존은 티맥스가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해 개발한 ‘하이파이브 아키텍처(Hi-5 Architecture)’를 구현한 플랫폼이다. 인스라서비스(IaaS)와 플랫폼서비스(PaaS)의 통합 관리가 가능해 비용과 효율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국제 컨퍼런스 개최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과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을 이용한 솔루션 공개 계획도 밝혔다. 박학래 티맥스 OS 대표는 “자체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유일 OS 개발 기업으로서 자부심을 갖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본격화 할 것”이라며 “최종적으로는 MS OS와 MS 오피스의 완전 대체를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
무디스, “한국정부 통신요금인하, SKT·KT 신용도 약화” 전망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가 한국 정부의 이동통신 요금 인하 조치가 통신사업자의 신용도를 약화시킬 것으로 전망했다.무디스는 지난 6월 12일, 한국 정부의 이동통신요금 인하가 SK텔레콤(A3·부정적)과 KT(A3·안정적) 등 통신사업자의 이동통신 부문 매출 축소와 신용지표 약화로 이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션 황 무디스 애널리스트는 “정부의 이동통신 요금 인하 조치에 따른 SK텔레콤과 KT의 이동통신 매출 감소는 올해 3∼4%, 내년 2% 수준으로 예상된다&rdq2018-07-03 19:19:43신다혜 기자
-
아이폰 ‘셀프수리’ 막던 애플, 벌금 70억원 폭탄호주연방법원이 아이폰·아이패드 이용자의 자가 수리를 막은 애플에게 660만 달러(약 72억 원)의 벌금을 청구했다. 소비자가 공식수리점이 아닌 사설수리점에서 제품을 수리하면 애플이 제3자의 손을 거쳤다는 이유로 사후서비스(A/S)를 거부했다.지난 6월 19일(현지시간) 미국 매체 비즈니스인사이더(BI)는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했다는 이유로 호주연방법원이 애플에 900만 호주 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고 보도했다.호주경쟁·소비자위원회(ACCC)는 지난해 애2018-07-03 19:17:06신다혜 기자
-
KAIST, AI 기반 드론 자동 이·착륙 기술 개발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진이 이동하는 물체에 드론을 자동으로 이·착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로써 바다 위 함선에서 드론을 이용하거나 드론 택배와 같은 신산업을 고도화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방효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팀은 딥러닝 인공지능(AI)을 이용해 가상 시뮬레이션 학습을 거쳐 드론의 이·착륙 정확도를 극대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6월 13일 밝혔다.그동안 ‘제어법칙(Guidance Law)’을 이용해 드론을 이·2018-07-03 19:14:19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