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암호화폐는 평등하게 태어나지 않았다
블록체인의 현재와 미래
[테크M 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상위 12개 디지털 ‘코인’ 각각은 특정한 디지털 자산을 대표한다. 모두 자신만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한 가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지지자들이 그 코인의 가치를 수십억 달러(수조 원)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여기 표시된 시장 가치는 2018년 3월 중순 기준이다.)
비트코인(BTC)
출시: 2009년
총 가치: 1630억 달러(약 176조 400억 원)
장점: 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다. 가장 크고 가장 인기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가장 많은 공격을 견뎌냈다.
단점: 수요의 증가가 비트코인 네트워크에 부담을 주며 거래 비용을 높이고 있다. 최대 초당 7회의 트랜잭션 만이 가능함에도 채굴을 힘들게 하려고 막대한 양의 전기가 필요한 합의 프로토콜을 가지고 있다.
이더리움(ETH)
출시: 2015년
총 가치: 700억 달러(약 75조 6000억 원)
장점: 내장된 프로그래밍 언어로 블록체인에서 돌아가는 스마트계약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다. 대부분의 암호화폐공개가 이더리움 스마트계약을 이용해 이뤄졌다.
단점: 이더리움 또한 상대적으로 느리고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작업 증명을 사용한다. 초기에 만들어진 다수의 스마트계약은 해킹의 위험을 가지고 있으며, 스마트계약 보안 분야는 아직 초기 상태다.
리플 (XRP)
출시: 2012년
총 가치: 320억 달러(약 34조 5600억 원)
장점: 리플은 XRP라 부르는 자사의 암호화폐가 기존 금융 기관이 역외 거래를 지금보다 더 빠르고 값싸게 하기 위한 ‘연결 통화’가 될 것이라고 말한다. 리플은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보다 더 빠른 트랜잭션이 가능한 새로운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단점: 리플은 사기업인 리플이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순수 암호화폐 지지자들은 리플이 누구나 채굴이 가능한 비트코인에 비해 충분히 탈중앙화돼 있지 않다고 말한다.
비트코인 캐시(BCH)
출시: 2017년
총 가치: 190억 달러(약 20조 5200억 원)
장점: 비트코인에서 ‘하드포크’를 통해 탄생한 이 화폐는 비트코인 소프트웨어를 수정해 트랜잭션 용량을 키웠다.
단점: 비판자들은 소수의 채굴자들이 대부분의 코인을 만들어내고 있어, 비트코인 캐시가 탈중앙화돼 있지 않다고 말한다.
이오스(EOS)
출시: 2017년
총 가치: 43억 달러(약 4조 6440억 원)
장점: 이오스 토큰은 아직 이더리움 플랫폼에서 거래되고 있지만 이더리움 킬러가 될 수 있는 스마트계약 플랫폼을 만들 계획이다. 카르다노처럼 작업 증명이 아닌 지분 증명을 사용하며, 이론적으로 트랜잭션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단점: 암호화폐공개를 통해 10억 달러(약 1조 800억 원) 이상을 모았지만 메인 네트워크가 출시 되기 전까지는 프로젝트의 가능성을 판단하기 힘들다.
모네로(XMR)
출시: 2014년
총 가치: 43억 달러(약 4조 6440억 원)
장점: 모네로는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사람들 중 누가 어떤 트랜잭션을 수행했는지를 감출 수 있는 방식인 링 시그너처 기술을 사용한다. 거래에서 개인정보를 감출 수 있으며, 모네로의 채굴 과정은 ‘평등주의’적이다.
단점: 모네로의 이런 특성은 범죄자들이 선호하게 만들었고, 다른 이의 컴퓨터로 들어가 자신을 위해 암호화폐를 채굴하게 만드는 악성 프로그램을 말하는 ‘크립토재킹’을 가능하게 만들었다.
대시(DASH)
출시: 2014년 (엑스코인 또는 다크코인으로도 알려져 있다.)
총 가치: 43억 달러(약 4조 6440억 원)
장점: 모네로와 비슷한 소위 익명 코인이다. 비트코인의 영향을 받았으며 결제 처리가 더 빠른 특성을 가지고 있다.
단점: 다른 몇몇 코인들과 비슷하게 대쉬 역시 중앙화돼 있다. 초기 실수로 첫 출시 때 너무 많은 코인이 분배돼 소유가 집중돼 있고, 소수 그룹이 대시의 미래를 결정하는데 비정상적으로 큰 힘을 가지고 있다.
이오타(MIOTA)
출시: 2017년
총 가치: 38억 달러(약 4조 1040억 원)
장점: 이오타는 블록체인이 아니라 방향성 비순환 그래프라 부르는 수학적 구조에 바탕한 공유 장부를 이용한다. 이오타는 사물인터넷 장비 회사나 기술 기업과 같은 고객이 사물인터넷 기기에서 만들어지는 데이터를 사고팔 수 있게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단점: 비판가들은 이오타가 너무나 중앙화돼 있으며 수많은 암호학자들이 이오타의 보안 성능에 의문을 가지고 있다.
라이트코인(LTC)
출시: 2011년
총 가치: 100억 달러(약 10조 8000억 원)
장점: 라이트코인은 비트코인에 몇몇 수정 만을 가한, 비트코인과 매우 유사한 ‘알트코인’이다. 거래 속도는 비트코인보다 네 배 빠르며, 채굴 과정은 전문가들이 값비싼 장비를 사용하는 비트코인과 달리 취미로 암호화폐를 채굴하는 이들이 참여할 수 있게 돼 있다.
단점: 비트코인보다는 빠르지만 라이트코인이 이상적인 지불 방법으로 쓰기에는 여전히 너무 느리고 에너지 소비가 크다. 비트코인보다 훨씬 덜 알려져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네오(NEO)
출시: 2014년
총 가치: 58억 달러(약 6조 2640억 원)
장점: 중국의 가장 큰 암호화폐인 네오는 이더리움과 비슷한 스마트계약 플랫폼이다. 네오는 위임된 비잔틴 장애 허용 알고리즘을 합의 프로토콜로 사용한다. 개발자들은 이를 통해 이더리움의 초당 15건과 비교되는 초당 1만 건의 트랜잭션이 가능하다고 말한다.
단점: 네오는 극히 중앙화돼 있으며 이것이 바뀔지는 불확실하다. 창업자는 ‘언젠가는’ 네오를 탈중앙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스텔라 루멘스(XLM)
출시: 2014년
총 가치: 56억 달러(약 6조 480억 원)
장점: 리플의 하드포크 결과로 탄생한 스텔라는 리플과 마찬가지로 역외 지불의 연결 통화를 목표로 한다. 리플과 차이는 영리 회사가 아닌 비영리 재단에 의해 스텔라가 운영된다는 사실이다. 또 이더리움처럼 암호화폐공개를 위한 플랫폼이 될 계획을 갖고 있다.
단점: 스텔라는 리플 외에도 기존의 은행 결제 플랫폼이면서도 블록체인의 주요 요소인 분산원장기술을 검토하고 있는 스위프트라는 경쟁자를 가지고 있다.
카르다노(ADA)
출시: 2017년
총 가치: 59억 달러(약 6조 3720억 원)
장점: 카르다노를 개발한 이들은 카르다노가 아직은 토큰을 거래하고 전송하는 플랫폼에 불과하지만 개인정보보호와 규제를 준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말한다. 또 스마트계약을 담을 수 있다. 이는 이더리움과 비슷하지만 카르다노는 지분 증명 합의 프로토콜을 사용해 에너지를 덜 소모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단점: 개발자들의 이 같은 호언장담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밝혀진 것은 많지 않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3호(2018년 7월) 기사입니다>
-
중국의 인공지능 기술 동향[테크M=마이클 창 前 알리바바 미주총괄 전무] 최근 중국 정부는 인공지능(AI) 분야에서 2030년에 미국을 앞서겠다는 목표로 매년 350억 위안(약 6조 원) 이상을 투자하고 있다. 중국은 정책적인 지원을 비롯해 막대한 자본을 투자하며 인공지능 산업 활성화에 불을 붙이고 있다.구글과 같은 인공지능 기반 기술의 선진국인 미국과의 기술 격차를 중국은 작년에 1.9년으로 줄였고, 한국의 2.3년을 추월해 한국을 역전했다. 14억 명 인구의 빅데이터는 놀라울 정도로 인공지능 기술의 핵심 역량이 되고 있다. 인공지능에서 최고의 기2018-07-23 17:50:19마이클 창 前 알리바바 미주총괄 전무
-
스위스와 아시아의 ICO 규제 법안[테크M=세실리아 뮬러 첸 컴플라이나우 대표] 싱가포르 금융당국(MAS)은 암호화폐를 규제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지난 2월 스위스 금융당국은 암호화폐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ICO, 암호화폐공개)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ICO 또는 암호화폐를 법적으로 금지하거나 규제하기보다는 산업 안정적인 발전 방향으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다.당시 ICO를 다루는 법적 원칙이나 ICO관련 법이 세계 어디에도 마련돼 있지 않았다. 암호화폐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급증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사기 사건이 증가하며 각 국2018-07-23 17:06:57세실리아 뮬러 첸 컴플라이나우 대표
-
3년 뒤 핫 트렌드 ‘가짜 정보와의 전쟁’“가짜 정보와의 전쟁이 시도 때도 없이 벌어지고, 핵심 기술 분야에서 중국이 미국을 추월한다. 또 자율주행 로봇에 막대한 투자가 이뤄져 이들을 쉽게 만날 수 있고, 모든 곳에 내장된 스마트카메라가 우리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한다. 그리고 자율주행트럭과 전기스쿠터 같은 모빌리티가 삶에 혁명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먼 미래나 공상과학소설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내용이 아니다. 실리콘밸리 오피니언 리더 모임인 처칠클럽(Churchill Club)이 지난 5월 23일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한 행사 &lsquo2018-07-20 18:58:30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