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인공지능과 일자리창출
편집자의 글
[테크M=김영민 편집장]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AI는 흔히 갓 태어난 아기에 비유된다. 아기는 뇌가 있지만 사물을 구분하고 판단하지 못한다. 아기는 부모와 지속적으로 교감하면서 판단력을 키우게 된다. AI도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하면서 인간처럼 인지능력을 갖추게 된다.
AI는 어느새 우리 생활 깊숙이 침투해 있다. AI 스피커를 비롯해 금융투자를 도와주는 로보어드바이저와 통번역서비스 등 쉽게 만날 수 있다. 반려자를 찾아주는 AI는 물론 취업면접 심사를 하는 AI면접관도 등장하고 있다. AI가 개인비서나 변호사, 주치의를 대신할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 이렇게 되면 AI가 일자리를 위협할 수도 있다.
AI기술을 적용한 공장이 자동화되면서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다. AI가 인간의 모든 업무를 대신할 것이라는 예측은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일자리는 현 정부의 민감한 현안이다. 정부는 일자리 최우선 정책을 펼치고 있지만 상황은 녹록치 않다. 특히 청년일자리 문제는 최저임금 인상과 맞물려 갈수록 악화될 조짐이다.
아마존, 구글, 넷플릭스는 세계 시장을 주도하는 글로벌 IT기업의 대표주자들이다. 이들을 세계시장에서 가장 핫한 기업으로 부각시킨 공통점은 바로 AI다. AI가 이 기업들의 고성장을 이끄는 핵심경쟁력이다. 하지만 국내 기업은 상황이 다르다. 규제에 발목이 잡혀 세계적인 AI강자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대로 가다간 AI 후진국을 면치 못할 듯하다.
이제 역발상이 필요한 시점이다. AI는 4차산업혁명의 핵심 축이다. AI기술을 잘 활용하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 수 있다. 새 일자리는 미래의 먹거리다.
가트너는 2020년에 AI로 창출된 일자리 숫자가 사라진 일자리를 보충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AI 기반의 새 일자리창출에 적지 않은 시일이 걸릴 수 있다. 하지만 AI 인재양 성 등 체계적인 준비를 하는 지혜를 모은다면 일자리창출은 요원하지 않을 것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4호(2018년 8월) 기사입니다>
-
KISTEP 9대 김상선 원장 취임, “과학기술 싱크탱크 기능 강화"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9대 원장에 김상선 한양대과학기술정책학과 특임교수가 취임했다.KISTEP은 지난 7월 31일서울 팔레스 호텔에서 임시이사회를 열어 제9대 KISTEP 원장으로 김상선 교수를 선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승인을 거쳐 3일취임식을 갖고 3년임기를 시작한다고 밝혔다.김상선 신임 원장은 과학기술부에서 30여 년간 과학기술부 공보관, 과학기술협력국장, 주미대사관 과학참사관, 정책홍보관리실장 같은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영국 맨체스터대에서 과학기술정책학 박사학위를 취득한2018-08-03 11:18:35박응서 기자
-
원희룡 지사 “제주를 한국형 블록체인 도시로 만들 것”원희룡 제주지사가 제주를 블록체인 특구로 지정해 한국형 블록체인 모델을 만들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법적으로 국제자유도시의 자율성을 부여받은 만큼, 블록체인 허브도시를 만들어 본격적으로 관련 기업 유치와 육성에 나서 블록체인 비즈니스를 활성화시키겠다는 전략이다.3일 원희룡 제주지사는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콘티넨탈호텔에서 열린 블록체인 콘퍼런스 ‘후오비 카니발’ 축사에서 “제주를 스위스의 주크, 몰타섬, 싱가포르처럼 블록체인도시 모델로 만들어 나갈 것&rdquo2018-08-03 10:47:39김태환 기자
-
KISTI, NTIS 기술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서비스로 수출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가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기술을코스타리카에 수출했다.KISTI는 지난 3월 2일부터 코스타리카의 국가과학기술 정보관리 개발에 참여해 현지 시각 8월 1일부터 코스타리카 과학기술정보서비스(SINCYT)를 시험운영한다고밝혔다.이는 2013년부터 KISTI가 추진한 과학기술정보관리 국제협력사업이 결실을 맺은 첫 사례다. 특히 국내 중소기업에 기술을 전수해이들과함께 사업화에 참여,중소기업의 외국진출과 기술성장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SINCYT는 코스타리2018-08-02 20:10:2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