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당분간 비트코인ETF 기대 접어라'... 美 SEC, 시세 조작 우려로 줄줄이 퇴짜
#비트코인ETF 희망 떠났나 #ETF 승인하면 투자 광풍 불까봐 #결국 갈길 먼 ETF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지금까지 신청된 비트코인 상장지수펀드(ETF)가 모두 불발됐다.
지난 26일(현지시간) SEC는 윌셔피닉스와 뉴욕증권거래소 아카의 비트코인ETF 출시를 위한 규정 개정안을 거부했다고 공지했다. 윌셔피닉스는 당국이 반복 지적했던 비트코인의 가격 변동성과 시세 조작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미 국채와 비트코인을 섞은 ETF를 제안했다.
비트코인 가격 변동성이 커지면, 해당 지수는 미국 국채 비중을 높이는 방식이다. 하지만 윌셔피닉스 비트코인ETF도 당국을 설득하지 못했다. 다음날 블룸버그는 "SEC가 올해 어떤 펀드라도 승인을 받을 것이란 디지털 통화 열광자들의 남은 희망을 없애버렸다"고 보도했다. SEC는 비트코인ETF를 왜 이렇게 경계하는 것일까.
◆주식처럼 거래 가능한 '비트코인ETF'
앞서 SEC는 2017년 말 시카고상품거래소(CME)에 비트코인 선물을 허가한데 이어 최근에는 비트코인 옵션도 승인했다. 선물과 옵션은 대표적인 파생상품이다. 이 금융 상품들이 당국의 허가를 받았다는 소리에 암호화폐 시장은 기관이 유입될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다. 기관들의 비트코인 투자 접근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반면 비트코인ETF는 수익증권(펀드)에 속한다. ETF는 특정 주가지수와 연동되는 수익률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지수연동형 증권(펀드)’를 말한다. 10종목 이상의 주식을 묶어 하나의 지수를 만들고, 이 지수를 하나의 종목으로 증권거래소에 등록해 매매한다. 종목이 증권시장에 상장하면 일반인들도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매매가 가능한 것이다.
비트코인ETF가 나온다면, 자산운용사가 내놓는 종목 설계가 다르겠지만 현재 비트코인 선물 지수와 연동된 펀드가 출시될 수 있다. 상장돼 거래되는 증권이기 때문에 전문투자자뿐만 아니라 일반투자자까지 접근성이 넓어진다.
◆SEC 요구사항은 만만치 않다
지난 2년 동안 비트코인 ETF 신청이 10여건에 달했지만, 모두 금융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했다. SEC는 승인을 내주지 않는 배경으로는 줄곧 ▲큰 가격 변동성 ▲커스터디 인프라 마련 ▲가격 조작 우려 등을 꼽았다.
이와 관련 지난해 9월 제이 클레이튼 SEC 의장은 커스터디 중요성을 언급하며 "투자자들이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을 SEC가 어떻게 파악할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또 "암호화폐가 해외나 규제를 받지 않는 거래소에서 거래되면서, 가격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어떻게 파악할 지도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윌셔피닉스에 대한 SEC 판단에는 '감시 공유 협정'이 결여됐다는 점도 새로 지적됐다. 감시 공유 협정을 맺었다는 것은 거래 규모나 시간대 등의 데이터를 공유하며, 규제당국이 의심 거래를 조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두고 '크립토 맘'이라고 알려진 헤스터 피어스 SEC 의원은 "(비트코인ETF 심사에 대해) SEC가 변덕스러운 잣대를 들이밀고 있다"며 "이는 곧 SEC가 비트코인 관련 상품을 승인할 의사가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ETF 파급력 무시못해, 결국 SEC 승인 의사 없어보인다"
이같은 SEC의 판단에 대해 시장 전문가들도 단기간에 비트코인ETF에 대한 SEC의 태도가 바뀌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ETF는 파생상품보다 일반 투자자들의 접근성이 높아, 금융당국이 비트코인ETF의 파급력과 이로 인한 부작용을 상당히 경계하고 있다는 것이다.
국내 한 전통금융 관계자는 "비트코인ETF가 출시되면, 그간 비트코인을 투자하지 않았던 신규 일반 투자자들이 대거 유입될 수 있고, 금융기관들은 투자 전략에 이 ETF를 대거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러한 현상들이 또다른 투기 광풍으로 이어질 수 있어 SEC의 우려가 큰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또한 SEC는 모든 형태의 비트코인ETF에 대해 시세 조작 우려로 거절하고 있어, 이를 허가할 의사가 현재로선 없다고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또다른 전통금융 관계자도 일반투자자들의 대거 유입 가능성을 우려하며 "최근 독일 국채 파생결합펀드(DLF) 사태나 라임 펀드 사건 등으로 인해 금융정책당국의 최근 화두는 금융산업 활성화보다는 '투자자 보호'로 기울고 있다"며 "비트코인의 경우 비교할 수 없는 완전 새로운 영역의 자산군이기 때문에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일반투자자 보호 측면을 크게 생각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정은 기자 moon@techm.kr
-
"카톡으론 부족해"...재택근무 확산에 업무용 협업툴 '주목'#카톡으로 일하는 피로감 #재택근무 해보니 알겠네 #약은 약사에게 업무는 업무용 협업도구에게지난 2일 오전 '카카오톡'이 마비되자 직장인들이 단체 '멘붕'에 빠졌다. 코로나19 확산으로 재택근무를 하는데 '단톡방(단체 채팅방)'을 통한 업무 지시나 PC용 카톡을 통한 자료 전송 등이 안돼 업무가 마비됐기 때문이다.안그래도 재택근무로 평소 마주보며 하던 일들을 온라인 상에서 하다보니 카톡만으론 부족한 점 투성이다. '까똑' 소린 쉼없이 울리는 데 회사 사람인지 친2020-03-02 16:08:23테크M 남도영 기자
-
게임 라이브 운영? 넥슨에게 물어봐... 이번엔 '서든어택'도 날았다#라이브게임 운영의 절대 갑 #카트도 살리더니 서든까지 #이정헌 대표의 '초격차' 현실로국내 대표 게임 기업 넥슨의 저력이 다시 발휘되고 있습니다. 메이플스토리, 카트라이더, 던전앤파이터 등 지금의 넥슨을 만들었던 '역전의 용사'들이 줄줄이 흥행 역주행을 일궈낸데 이어 국내 대표 총싸움게임 '서든어택'까지 부활에 성공했습니다. 이정헌 넥슨코리아 대표가 신년사를 통해 강조했던 라이브게임 분야에서의 '초격차'가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2일 넥슨이 서비스하2020-03-02 15:39:52테크M 허준 기자
-
라인, 4월 블록체인 '링크' 생태계 문 연다... 지갑·개발 플랫폼 출시#링크체인 문 활짝 #지갑 열고 개발 도구도 #라인페이랑 뭐 안하나...네이버 라인이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링크체인'을 중심으로 한 저변 확대에 본격 나선다. 오는 4월 암호화폐 '링크(LN)'의 비트맥스 상장과 함께 링크체인 기반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앱)을 개발할 수 있는 개발도구를 공개하고, 암호화폐를 관리할 수 있는 지갑까지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또 아직 확정되진 않았지만 일본에서 이용이 활발한 라인페이와 링크(LN)가 연동될 가능성도 열려 있다.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네이버의 일2020-03-02 15:06:05테크M 문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