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국내 연구진, 금속 액체방울로 미래 반도체 소재 개발
국내 연구진이 새로운 양전자소자 소재인 텔루라이드 나노벨트와 소자를 보호할 그래핀 조절 기술을 개발했다.
9일 권순용 UNIST(울산과학기술원) 교수팀이 금속합금 액체방울을 이용해 고품질 텔루라이드 나노벨트 제조에 성공했고, 곽진성 연구교수팀은 수분으로부터 이를 지켜낼 그래핀 봉지막 기능을 향상시켰다고 한국연구재단이 발표했다.
2차원 층상구조 화합물 중 하나인 텔루라이드는 위상절연체 트랜지스터와 나노소자 연결소재 같은 다양한 미래 반도체와 나노전자소자에 널리 쓰일 것으로 기대되는 물질이다. 그런데 텔루륨 원자가 반응성과 안정성이 낮아 아직까지 고품위 텔루라이드 제작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 게다가 텔루라이드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에 약해 이를 막아줄 봉지막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텔루륨이 가득 든 금속합금 액체방울로 텔루라이드 핵을 만들고 이를 성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섭씨 500도 이하의 낮은 온도에서도 1차원 텔루라이드 나노벨트를 짧은 시간에 대량으로 제작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 연구팀은 그래핀이 수분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기술도 개발했다. 연구팀은 그래핀 주름이 수분을 통과시키는 것을 알아낸 뒤, 비정질 탄소로 수분 통과를 막아 봉지막 기능을 향상시켰다.
권순용 교수는 "1차원 물질과 2차원 물질이 융합된 신개념 나노소자에 적용될 수 있다"고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고, 곽진성 연구교수는 "그래핀 주름 조절 연구로 그래핀 봉지막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앞으로 계획을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국제학술지 어드번스드 머터리얼스 7월 26일자에 두 편의 논문이 동시에 게재됐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KCA와 서울창업허브, 스마트미디어 창업 지원에 나서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9일 서울창업허브와 스마트미디어 분야 창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양 기관이 보유한 창업관련 전문역량과 인프라 공유로 창업기업 발굴과 육성에 시너지 효과가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업무협약 주요 내용은 ▲스마트미디어 분야 우수기업 공동 발굴 ▲스마트미디어센터와 서울창업허브 입주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 구축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한 ‘아이디어 발표대회’ 공동 추진 ▲창업기업 대상 교육2018-08-09 17:07:46신다혜 기자
-
마시멜로도 능숙하게 다루는 소프트 그리퍼[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미국 펜실베니아주 베슬리헴에 위치한 제과업체 ‘저스트 본 (Just Born)’은 올해 안에 과자 포장 라인에 소프트 로봇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로봇에 부착된 소프트 그리퍼는 마시멜로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캔디를 컨베이어 벨트에서 집어내어 과자 용기에 담는 일을 한다. 기존의 금속 그리퍼(Gripper)를 활용해 작업하면 부드러운 캔디 과자가 으깨질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 그리퍼(Soft Gripper)를 쓰면 부드러운 캔디를 더 능숙하게 다룰 수 있다.저스트 본이 도입2018-08-09 17:04:15장길수 IT컬럼니스트
-
비둘기를 흉내 낸 비행 로봇[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위구르족의 분리 독립 운동을 둘러싸고 중국 정부와 이슬람 분리주의자들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곳이다. 중국 정부는 위구르 자치구를 분리주의의 온상으로 지목해 치밀한 감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홍콩 일간지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비둘기를 닮은 비행 로봇인 드론을 신장위구르 자치구에 투입해 운영하고 있다.비둘기를 닮은 이 드론은 실제 비둘기 움직임을 90% 가량 흉내 낼 수 있다. 무게 20g에 날개 길이는 50cm 정도다. 시속 40km 속도2018-08-09 16:57:15장길수 IT컬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