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해외송금 스타트업 ‘모인’, 중국 송금 재개
해외송금 전문 스타트업 모인(MOIN)이 지난 1일, 중국 송금 서비스를 재개했다. 모인은 지난 2016년 10월부터 일본 송금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어 11월에 중국 서비스를 론칭했으나, 외국환거래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난해 5월 말 중국 서비스를 중단해왔다. 약 1년 2개월만에 중국 송금 서비스를 재오픈했다.
현재 금융기관에서 진행하는 해외송금 서비스는 송금 은행, 중계은행, 수취은행을 모두 거쳐야 한다. 이에 따라 수수료가 중복으로 부과되며, 처리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그러나 모인에서 송금하면 이러한 불편함이 사라진다. 모인은 중계은행을 거치지 않는 송금 방식으로 송금 수수료를 최대 90%까지 낮췄다. 이중환전 과정에서 부과되는 환전 수수료를 고객이 부담하지 않아도 돼 저렴하게 송금할 수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기존 해외송금 서비스를 통해 돈을 보낼 때, 수취인이 중국 국적이 아닐 경우 수취은행을 방문해 달러로 수령한 뒤 위안화로 환전해야 해 불편했다. 그러나 모인으로 송금하면 위안화로 바로 송금할 수 있다. 수취인이 중국인이 아니어도 은행 방문 없이 계좌와 연동시킨 위챗페이, 알리페이로 충전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인 수취인에게 14개 은행(중국공상은행, 중국은행, 중국건설은행, 교통은행, 초상은행 등)으로 송금할 때는 ‘빠른송금’이 가능하다. 최소 수 분에서 최대 3시간 이내로 송금할 수 있다. 모인의 모바일앱(안드로이드, iOS), PC웹, 모바일 웹을 통해 간단하고 편리하게 송금할 수 있다.
현재 모인에서는 중국 송금 재개 기념으로 수수료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모인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수수료1.5% (최소 수수료 10,000원)로 저렴하게 송금할 수 있다. 이연주 모인 마케팅 매니저는 “향후 아시아 전역과 유럽, 중동, 아프리카 등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테크M=신다혜 기자(dhshin131@techm.kr)]
-
KCA와 서울창업허브, 스마트미디어 창업 지원에 나서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KCA)이 9일 서울창업허브와 스마트미디어 분야 창업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양 기관이 보유한 창업관련 전문역량과 인프라 공유로 창업기업 발굴과 육성에 시너지 효과가 발휘될 것으로 기대된다.업무협약 주요 내용은 ▲스마트미디어 분야 우수기업 공동 발굴 ▲스마트미디어센터와 서울창업허브 입주기업의 지속성장을 위한 상호 협력체계 구축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을 위한 ‘아이디어 발표대회’ 공동 추진 ▲창업기업 대상 교육2018-08-09 17:07:46신다혜 기자
-
마시멜로도 능숙하게 다루는 소프트 그리퍼[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미국 펜실베니아주 베슬리헴에 위치한 제과업체 ‘저스트 본 (Just Born)’은 올해 안에 과자 포장 라인에 소프트 로봇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로봇에 부착된 소프트 그리퍼는 마시멜로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캔디를 컨베이어 벨트에서 집어내어 과자 용기에 담는 일을 한다. 기존의 금속 그리퍼(Gripper)를 활용해 작업하면 부드러운 캔디 과자가 으깨질 수 있다. 하지만 소프트 그리퍼(Soft Gripper)를 쓰면 부드러운 캔디를 더 능숙하게 다룰 수 있다.저스트 본이 도입2018-08-09 17:04:15장길수 IT컬럼니스트
-
비둘기를 흉내 낸 비행 로봇[테크M=장길수 IT컬럼니스트] 중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위구르족의 분리 독립 운동을 둘러싸고 중국 정부와 이슬람 분리주의자들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는 곳이다. 중국 정부는 위구르 자치구를 분리주의의 온상으로 지목해 치밀한 감시 활동을 벌이고 있다. 홍콩 일간지인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비둘기를 닮은 비행 로봇인 드론을 신장위구르 자치구에 투입해 운영하고 있다.비둘기를 닮은 이 드론은 실제 비둘기 움직임을 90% 가량 흉내 낼 수 있다. 무게 20g에 날개 길이는 50cm 정도다. 시속 40km 속도2018-08-09 16:57:15장길수 IT컬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