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IoT 매직큐브·장난감 신디사이저
TECH&GADGET 주목받는 가젯
고큐브는 사물인터넷 매직큐브다. 매직큐브는 원래 1970년대 탄생한 정육면체 장난감 퍼즐인 루빅스 큐브를 말한다. 흩어진 면 색상을 같은 색상으로 맞추는 놀이다. 고큐브는 여기에 기술을 더했다. 면 색상을 맞추려고 움직이면 앱에 보이는 가상 큐브도 실제 큐브와 연동해 움직인다. 큐브를 어떻게 움직여야 면 색상을 맞출 수 있는 지도 알려준다. 무엇보다 온라인 대전 모드를 지원한다. 블루투스 5.0을 지원해 다른 사람과 겨룰 수 있다. 또 본체에 LED 불빛을 더해 시각적인 즐거움을 더했다.
앱 대기시간에 따라 0.25초 걸리는 일반 버전과 대기시간을 0.001초까지 줄인 고큐브 엣지 2종을 만날 수 있다. 온라인 대전은 어떤 버전에서도 가능하지만 스코어보드 기능은 고큐브 엣지에서만 지원한다.
블립박스는 어린이용 음악 장난감이다. 필터와 드럼, 신디사이저 기능을 갖췄다. 외형은 어린이 취향에 맞는 형태다. 플라스틱 케이스에 커다란 버튼 형태로 이뤄져 있다. 디지털 오실레이터와 LFO(Low Frequency Oscillator), 필터, 내장 시퀀서를 이용해 소리를 낸다. 본체 앞쪽에 위치한 파란색 손잡이 2개는 오실레이터 1과 2에 변조기 역할을 하며, 가운데는 모드 조절, 좌우 레버는 템포와 필터다. 버튼이나 스위치 수가 많지 않아 기능 설명 라벨이 없어도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내장 스피커와 오디오 출력 단자를 갖추고 있다. 미디 인 단자가 있어 미디 키보드나 PC에도 연결할 수 있다. 최근 관심 높은 4차산업혁명에 어울리는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음악 교육용 장난감으로도 괜찮을 수 있다.
Point
과학·기술·공학·수학 첫 글자를 따온 STEM 교육 시장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융합형 인재를 찾는 수요가 STEM 시장의 성장을 주도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차세대 인공지능(AI) 계획을 공표하면서 STEM 교육이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중국 내 STEM 시장이 5년 안에 8조 원대가 넘으며 지금보다 5배나 성장할 것이라고 한다. 사물인터넷 큐브는 장난감이기도 신디사이저이기도 하다. 사물인터넷 로봇 교구가 인기를 끄는 것에서 알 수 있듯, 기술을 접목한 교육용 장난감 시장이 앞으로 STEM 시장 성장과 함께 성장을 거듭할 전망이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4호(2018년 8월) 기사입니다>
-
지니언스, “보안솔루션 EDR 춘추전국시대 열릴 것”최근 랜섬웨어 같은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사례가늘면서 보안 사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 같은심각성을 인지하고 더 나은 보안솔루션을 찾아 나서고 있다.보안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지니언스는 2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비즈니스 전략을 설명했다.지니언스에 따르면 국내외 보안업계는 지금껏 악성코드를 ‘예방(Prevention)’하는 것에2018-08-23 13:59:27곽예하 기자
-
[영이노베이터’s 리포트] 소비하며 소유하는 더 멋진 세상 꿈꾸다[테크M=이지혜 에임 대표] 대학 신입생 최혜민(가명) 씨는 평소 나이키 제품을 좋아하고 즐겨 입는다. 최 씨가 신상 운동화를 하나 구입하자, 핸드폰 애플리케이션 알림으로 나이키에서 주식 0.05주를 배당받았다는 문자가 왔다. 최 씨가 얼마 전 로보어드바이저 자산 관리 앱을 깔고 체크가드를 등록했는데, 주식을 보유한 회사의 실적을 올리면 배당을 더 받을 수 있었다.최 씨는 자신이 좋아하는 나이키의 주주가 됐다는 게 으쓱하기도 하고, 가끔 앱에 들어갔을 때 조금씩 수익이 늘어나는 것도 신기했다. 최 씨는 “특별히 따2018-08-23 11:15:20이지혜 에임 대표
-
스마트햅, 스마트홈 시장에서 데이터 블랙박스로 활약사물인터넷(IoT) 시장이 성장하면서 각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프랑스도 예외가 아니다. 시장 조사업체 지에프케이(GFK)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내 IoT와 커넥티드 기기 시장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지난해 프랑스 스마트홈 시장 규모가 80% 성장했다. 오는 2019년에는 시장 규모 60억 유로(약 7조 9337억 원)까지 늘어나 3000만 가구가 스마트홈 기기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성장하는 시장규모에 따라 각 IoT기기에서 나오는 데이터양도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2018-08-22 16:29:52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