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4세대 블록체인으로 진화하는 ‘큐브코인’
김동오 큐브시스템 최고경영자
[대담=강채원 블록체인 전문 앵커]
큐브시스템즈의 ‘큐브체인’은 특수블록을 사용해 일반 블록을 기반으로 한 비트코인을 비롯한 기존 코인과 비교해 빠른 거래 속도를 자랑한다. 이를 토대로 결제와 스마트계약을 수행하는 1,2세대 블록체인을 앞지르는 4세대 블록체인으로 거듭나겠다는 설명이다. 김동오 CEO를 만나 큐브체인을 활용한 차세대 블록체인에 대한 미래를 들어봤다.
큐브체인(Cube Chain)은 무엇인가.
블록체인은 시간 순서대로 블록이 한줄로 만들어지는 구조 때문에 블록 데이터 크기가 커질수록 새 블록 생성과 검색 업데이트에 걸리는 시간이 점점 길어진다. 대표적으로 지금 비트코인을 거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시간이 넘는다. 블록체인의 장점이자 단점인 해시값에 의한 연결 구조의 블록체인 구조를 혁신적으로 개선한 블록체인이 바로 큐브체인이다.
특수블록이 있던데, 일반 블록과 차이와 역할을 설명해달라.
특수블록은 기본적으로 3가지 강점이 있다. 첫 번째 인덱싱블록 (Indexing Block)은 일목요연하게 데이터를 정리할 수 있다. 일반 블록체인은 어떤 데이터를 검색할 때 첫 블록부터 마지막까지 검색한다. 검색 데이터가 마지막에 가깝다면 검색하는데 오래 걸릴 것 이다. 하지만 큐브체인의 인덱싱블록을 이용하면 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두 번째 통계블록(Statistics Block)은 자주 사용하는 통계 데이터를 모아둬 언제든지 필요할 때 요청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세 번째 보호데이터블록(Escrow Block)은 거래 당사자 간 승인 암호화키를 발행함으로써 다시 한 번 안전하게 보호한다.
큐브체인이 왜 4세대 블록체인인가, 세대별 블록체인 차이는.
큐브체인은 블록체인에 새로운 알고리즘을 적용해 처리량과 처리속도, 다양한 적용성을 만족시키는 4세대 블록체인이다. 보통 블록체인 기술을 세대별로 구분할 때 암호화폐의 결제 중심 기능을 구현한 비트코인을 1세대 블록체인, 스마트계약과 디앱의 확정성을 적용한 이더리움을 2세대 블록체인이라고 한다. 이같은 1세대와 2세대 블록체인의 한계를 극복한 다양한 합의알고리즘과 신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블록체인을 3세대와 4세대 블록체인으로 부른다.
큐브체인의 강점은.
우선 뛰어난 처리량과 처리 속도를 들 수 있다. 큐브체인의 TPS는 최소 2500이다. 비트코인과 비교하면 300배 이상 빠른 속도다. 최소라고 말하는 이유는 블록이 병렬로 생성되기 때문에 사용자 요구에 따라 속도에 차이가 생겨서다. 우리가 측정했을 때 최대 4만 5000까지 나왔다. 그 다음으로 큐브체인이 플랫폼 코인이라는 점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큐브체인의 플랫폼 위에서 누구든지 원하는 플랫폼과 코인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큐브체인 개발 동기와 과정은.
증권사 거래시스템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거래시스템에 관심이 생겼다. 실제로 블록체인 기반의 거래시스템을 개발한다면 획기적일 것이라 생각하고 뛰어들었다. 그런데 기존 블록체인과 같은 기술이라면 이더리움을 뛰어 넘을 수 없다고 판단해 지난 2년 동안 새로운 블록체인 기술 구조를 연구했다.
큐브체인 기반의 플랫폼 구성은 무엇인가.
큐브체인이 제안하는 서비스 모델은 총 다섯 가지다. 누구나 큐브체인의 오픈API와 프로토콜을 이용해 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원아이디(One ID)는 사용자 정보를 보호하는 솔루션이다. 원아이디는 일본의 My Number와 같은 것으로 개인에게 할당되는 ID다. 이 ID 데이터 역시 해시와 블록체인에 저장할 수 있다. 주로 휴대폰 같은 휴대장치에서 사용할 것 같아 생체 인증 기능을 추가했다. 이 서비스를 기본으로 다양한 서비스와 연계해 시스템을 관리한다. 큐브체인 상품은 판매하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실제 물건이나 모바일 쿠폰, 바우처 같은 디지털 아이템의 진위여부를 판단하고 인증하는 서비스다. 예로 경매나 중고로 상품을 구매할 때 이 제품이 정품인지 확인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첫 사용자가 큐브체인으로 정규 판매점에서 구입했다면 큐브체인이 이를 정품으로 인증해 준다. 이런 인증 기능을 제품과 연결
해 두 번째 사용자가 경매와 재판매로 구입할 때 물건이 정품임을 확증할 수 있다.
큐브 오픈네트워크는 큐브체인 기반의 SNS플랫폼이다. 큐브쳇은 메신저 기반으로 개인과 개인 간 거래를 가능케 하는 마켓 플레이스다. 마지막으로 인공지능서비스매니저 (AI Service Manager, ASM)는 기업과 고객 간의 예약과 계약을 진행하는 챗봇 서비스다. ASM을 이용해 스마트계약이 이뤄지면 고객에게 코인을 지급해 주는 플랫폼으로 서비스할 예정이다.
큐브체인을 통한 새로운 블록체인 생태계는.
최근 블록체인이 전자상거래 분야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블록체인을 이용한다면 어떤 아이템이든 생산과 동시에 정보가 저장되고 공유됨으로써 위조와 변조 가능성이 없어져 신뢰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블록체인의 특수성을 기반으로 제품이력관리와 생산 유통관리시스템, 정보보증시스템 같이 일반소비자가 알기 힘들었던 부분을 투명하고 신뢰성 있게, 그리고 알기 쉽게 공개하는 것이 블록체인 전자상거래 분야의 트렌드다. 현재 큐브체인은 핵심인 엔진 개발이 완료 단계에 있다. 전자상거래 서비스를 위한 API와 프로토콜을 추가적으로 개발할 계획이다. 그리고 큐브워킹그룹(CWG) 라이센스를 획득한 개발 그룹에 엔진 소스를 공개해 개발과 테스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할 예정이다. 관련 API와 프로토콜은 지속적으로 오픈할 계획이다. 큐브체인은 전자상거래에서 큐브체인을 사용하고자 하는 서비스 사업자를 위해 항상 열려 있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4호(2018년 8월) 기사입니다>
-
지니언스, “보안솔루션 EDR 춘추전국시대 열릴 것”최근 랜섬웨어 같은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사례가늘면서 보안 사고가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이 같은심각성을 인지하고 더 나은 보안솔루션을 찾아 나서고 있다.보안 소프트웨어 개발기업 지니언스는 23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EDR(Endpoint Detection & Response)’ 비즈니스 전략을 설명했다.지니언스에 따르면 국내외 보안업계는 지금껏 악성코드를 ‘예방(Prevention)’하는 것에2018-08-23 13:59:27곽예하 기자
-
[영이노베이터’s 리포트] 소비하며 소유하는 더 멋진 세상 꿈꾸다[테크M=이지혜 에임 대표] 대학 신입생 최혜민(가명) 씨는 평소 나이키 제품을 좋아하고 즐겨 입는다. 최 씨가 신상 운동화를 하나 구입하자, 핸드폰 애플리케이션 알림으로 나이키에서 주식 0.05주를 배당받았다는 문자가 왔다. 최 씨가 얼마 전 로보어드바이저 자산 관리 앱을 깔고 체크가드를 등록했는데, 주식을 보유한 회사의 실적을 올리면 배당을 더 받을 수 있었다.최 씨는 자신이 좋아하는 나이키의 주주가 됐다는 게 으쓱하기도 하고, 가끔 앱에 들어갔을 때 조금씩 수익이 늘어나는 것도 신기했다. 최 씨는 “특별히 따2018-08-23 11:15:20이지혜 에임 대표
-
스마트햅, 스마트홈 시장에서 데이터 블랙박스로 활약사물인터넷(IoT) 시장이 성장하면서 각 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하려는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프랑스도 예외가 아니다. 시장 조사업체 지에프케이(GFK)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프랑스 내 IoT와 커넥티드 기기 시장의 성장세가 가파르다. 지난해 프랑스 스마트홈 시장 규모가 80% 성장했다. 오는 2019년에는 시장 규모 60억 유로(약 7조 9337억 원)까지 늘어나 3000만 가구가 스마트홈 기기를 사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렇게 성장하는 시장규모에 따라 각 IoT기기에서 나오는 데이터양도 급격하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2018-08-22 16:29:52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