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네이버를 삼키는 ‘유튜브’
편집자의 글
[테크M=김영민 편집장] 유튜브의 질주가 무섭다. 세대를 초월해 유튜브 동영상에 빠져들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는 궁금한 건 포털사이트 대신 유튜브 영상을 검색한다. 텍스트에 익숙한 5060세대도 유튜브 동영상에 심취할 정도다.
국내에서는 그동안 네이버가 인터넷 포털의 절대강자였다. 글로벌 검색 공룡 구글도 한국에서는 네이버 적수가 되지 못했다. 그러나 유튜브 공습으로 네이버 입지가 약화되고 있다. 국내 유튜브 이용시간은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동영상 전용 앱만 놓고 보면 유튜브 점유율은 85%를 넘어서고 있지만 네이버TV는 2% 정도에 불과하다. 이러한 상황이 지속된다면 네이버 미래가 불투명해질 수밖에 없다. 이는 네이버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다. 다급해진 네이버는 뒤늦게 동영상 콘텐츠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동영상 역량 강화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블로그를 활용해 동영상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것이다. 유튜브에 빼앗긴 고객의 발길을 네이버로 되돌리는 건 쉽지 않다. 무엇보다 1분
당 400시간 분량의 영상이 업로드되는 유튜브 콘텐츠는 네이버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다양하다. 또한 유튜브에서는 일반인 누구나 별다른 제약없이 동영상 콘텐츠를 만들어 업로드할 수 있지만, 네이버TV는 일정 구독자 수를 확보해야만 채널을 운영할 수 있다. 그만큼 일반인이 네이버TV에 접근해야 하는 벽이 높은 셈이다. 네이버는 블로그 사용자들이 동영상을 쉽게 올리는 기능을 추가해 동영상 제작에 활기를 불어넣겠다고 하지만 추이는 지켜봐야 한다.
국내 포털 검색 시장을 호령해 온 네이버가 유튜브의 동영상 검색에 휘둘리고 있는 현실은 안타깝다. 유튜브가 국내 1위 포털 네이버를 삼키는 듯한 형국이다.
네이버는 그동안 자만심에 함몰돼 콘텐츠 패러다임 전환에 안일하게 대처하지 않았는지 자문해 볼 일이다. 네이버의 10년 후 모습이 궁금해진다.
<본 기사는 테크M 제64호(2018년 9월) 기사입니다>
-
SK인포섹, “머신러닝 적용 MSS플랫폼으로 시장 선도할 것”SK인포섹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안관제(MSS)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시장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밝혔다. 사람 힘으로 대처하기에는 너무 많아진 데이터들을 AI로 탐지‧분석하고 알려지지 않은 공격(Unknownattack)에 대비해 보안성을 고도화하고 차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다.SK인포섹은 12일 서울 중구 마이크임팩트 스퀘어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MSS 고도화 전략’ 기자 간담회를 열고 보안관제 분야에서 AI 도입 과정과 단계를 발표했다.보안관제는 기업의 각종 보안시스2018-09-12 13:47:34김태환 기자
-
[9월 추천영화] 88일간 치열한 전투가 시작된다!안시성안시성 전투를 모티브로 한 영화 ‘안시성’이 9월 개봉한다. 한국액션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고구려가 배경으로 나온 것은 이번이처음이다. 안시성 전투는 동아시아 전쟁사에서 가장 극적이며 위대한 승리로 전해진다. 영화는 총 88일간 진행됐던 전투를 실감적으로 전달한다.특히 관객들은 지금까지 한국영화에서 보기 힘들었던 고구려모습을 볼 수 있다는 기대가 크다. 연출을 맡은 김광식 감독은 “고구려와 안시성 전투에 관련된 사료가 부족해 쉽지 않은 작업이었다”며 &ldq2018-09-11 17:27:16곽예하 기자
-
사막에서 만나는 거대 혁신 실험장 버닝맨광활한 사막에 현란한 불빛과 굉음이 터져 나온다. 영화 ‘매드맥스’에서나 볼법한 화려한 아트카와 질주하는 사람들, 끝없이 눈과 귀를 자극하는 예술작품들과 음악, 현실에서라면 엄두도 못낼 자유로운 의상과 퍼포먼스로 자아를 표현하는 사람들이 넘쳐난다. 온갖 기상천외하고 번뜩이는 아이디어를 실현하는 곳. 매년8월 말 월요일에서 9월 첫째 주 월요일까지 9일 동안 미국 네바다주 블랙록 사막에서 열리는 ‘버닝맨’의 모습이다.버닝맨은 1986년 래리 하비(Larry Har2018-09-11 15:05:50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