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IST, 디자인 극대화할 스마트렌즈용 배터리 개발
얇고 잘 휘며 안전한 필름 박막전지
국내 연구진이 웨어러블 전자기기에서 디자인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터리를 개발했다. 얇고 잘 휘며 물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한 스마트렌즈용 박막전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12일 전자재료연구단 최지원 박사팀이 콘택트렌즈에서도 작동하는 스마트렌즈용 박막전지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박막 이차전지는 스마트렌즈에 직접 장착할 수 있다. 렌즈에 배터리를 통합해 전력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마다 충전할 수 있다. 매우 얇은 필름 형태여서 휘어지는 제품이나 물이 있는 곳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디자인이 중요한 웨어러블 전자기기 분야에서 전지는 크기와 모양으로 인해 디자인에 영향을 많이 주는 부품이다. 그런데 연구팀이 개발한 박막전지는 필름 형태로 어디에든 눈에 띄지 않게 적용할 수 있어 디자인 자유도를 극대화시켰다.
특히 현재 널리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차전지는 폭발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는 오래 사용하거나 충격으로 내부가 손상되면 액체전해질이 폭발하는 특성을 갖고 있다. 스마트폰 폭발 사례에서 이미 그 위험성이 많이 확인됐다.
KIST 연구팀은 눈에 사용해도 괜찮은 전지를 개발하려면 액체 대신 고체가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그리고 수많은 연구과 시행착오 끝에 고체인 필름 형태로 스마트렌즈용 박막전지를 개발해냈다. 특히 연구팀은 기존에 고온에서 제작하던 양극재를 저온에서도 제작할 수 있도록 기술을 개발해, 앞으로 고가 장비 없이도 산업화할 수 있는 기술력까지 확보했다.
최지원 박사는 “콘택트렌즈에 적용한 최초 전지로 앞으로 스마트렌즈 핵심 부품으로 사용될 것”이라며, “다양한 웨어러블 전자기기에 활용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 이 연구성과를 담은 논문은 재료분야 국제학술지인 ‘나노에너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테크M리포트] 자기공명영상, MRI 개발과 확산[테크M=송경모 미라위즈 대표]대형병원에 가면 X선과 CT(컴퓨터단층촬영), 초음파 같은 다양한 진단용 영상장비를 만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자기공명영상(MRI)은 최첨단 고가 장비로 알려져 있다. 한국에서는 조장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박사가 개발해 금성에서 생산한 2T(테슬라, 자기장 밀도 단위) MRI 기기를 1987년 서울대 병원에 처음 설치하고, 1988년부터 검진에 사용했다.이후 다른 병원에서도 MRI 장비를 도입하기 시작했다. GE와지멘스, 필립스 같은 외국 브랜드 MRI 장비가 시장을 주도하고있다. 한때2018-09-18 16:00:09송경모 미라위즈 대표
-
[블록체인 리포트] 블록체인을 이용한 보안 강화부터 위협까지[테크M=강진규 IT칼럼리스트]세계적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둘러싼 열기가 뜨겁다. 2009년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비트코인이 나왔을 때만 해도 사람들은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 호기심을 가지는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블록체인이 가진 잠재력이 알려지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다방면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다.일각에서는 블록체인이 제2의 인터넷이 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블록체인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중앙집중식 체계를 벗어난 분산구조에 있다. 분산구조는 해킹이 어렵고,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보안기술로2018-09-18 15:39:52강진규 IT칼럼리스트
-
[커버스토리5] 대도서관이 알려주는 인기 동영상 제작 비법172만 구독자를 모은 유튜버이자 디지털 콘텐츠 기획사 ‘엉클대도’ 대표. 1인 미디어 선구자인 대도서관을 수식하는 단어다. 그는 1인 방송에서 범람하고 있는 자극적인 콘텐츠 사이에서 점잖고도 탁월한 기획력과 재미로 대중을 사로잡을 수 있음을 증명했다. 최근에는 ‘유튜브의 신’이라는 저서를 발간해 영향력을 더욱 키워가고 있다. 1인 미디어 산업 지평을 넓히고 있는 그가 인기 동영상 제작 비법과 1인 미디어의 미래를 소개한다.1인 미디어 꿈꾸는 이가 가장 먼저2018-09-17 16:20:31신다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