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ETRI, "편광선택 광소자 개발, 로봇 인공피부에 적용"
압력 변화를 광학적으로 감지하는 원리를 인공피부에 활용
국내 연구진이 사람 피부에서 느끼는 촉각이나 압력을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편광 선택 가능 광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로써 향후 로봇이나 장애인에게 인공피부를 적용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빛 편광 현상을 이용해 통신할 때 수평과 수직으로 모두 활용해 전송 용량을 2배로 늘릴 수 있는 광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ETRI는 2차원 반도체 물질 그래핀과 평면형 광회로 소자를 접목해 능동적으로 편광을 조절하는 소자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기존에 연구진이 보유하고 있던 그래핀 합성기술과 광학제어 기술을 활용했다.
편광은 빛과 같은 전자기파가 진행할 때 파를 구성하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이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래핀을 이용해 편광소자를 만들면 전기장 진동방향에 수평하거나 수직인 편광을 만들 수 있다.
기존 편광소자는 한 종류 편광만 가능했다. 따라서 수직 또는 수평 편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이에 연구진은 마이크로 광기계 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수평과 수직을 자유롭게 선택해서 쓸 수 있는 소자를 만들려고 연구했고, 마침내 성공해냈다.
이 편광 선택 소자는 수직으로 압력을 가할 때 작동한다. 연구진은 이 같은 원리를 활용해 향후 압력 변화를 광학적으로 감지하는 ‘광학식 압력 센서’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기존 전기식 압력 센서와 달리 광학식 압력 센서는 빛을 매개체로 활용하기 때문에 소자 강도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인공 피부에 적합하다고 ETRI는 설명한다.
고무나 스프링에 광학식 압력 센서를 부착하면 누르는 정도에 따라 달라지는 광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향후에는 로봇이 사과와 같은 과일을 쥘 때 얼마만큼의 압력을 줘야 사과가 뭉개지지 않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피부 감각을 잃어버린 사람도 센서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광학식 압력 센서기술이 더 발전하면 향후 인공피부와 개발이 더 쉬워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승환 ETRI 바이오IT연구본부장은 “인공피부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을 추가할 계획이다”며 “촉각센서를 개발해 더 넓은 범위에서 미끄러짐이나 압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
‘AI vs AI’ 로 치닫는 보안시장[테크M=김영민 편집장] 보안시장이 급변하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보안분야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보안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특히 사물인터넷(IoT) 확산으로 모든 기기가 네트워크화 되면서 해킹에 대한 노출과 위험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우리 생활 주변만 둘러봐도 그렇다. 냉장고와 TV, 자동차 등은 해킹과는 거리가 멀었다. 그러나 IoT 기술 확산으로 이러한 우리 일상생활 속 제품들은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는 세상이 되고 있다. 아날로그 시절에 차량을 조작하려면 자동차 열쇠를 훔치거나 복제해야 했다. 하지만 네트워크2018-10-04 21:14:10김영민 테크M 편집장
-
새로워진 어도비 애크로뱃 DC, PDF활용 폭 넓혀어도비 PDF가 새로워진다. 어도비는 4일 어크로뱃 DC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PDF 활용 폭을 확장했다고 밝혔다.먼저문서 공유와 검토를 위한 새로운 서비스를 추가했다. 사용자는 애크로뱃 DC를 사용하는 모든 기기에서, 검토자 수에 관계없이 PDF를 공유하고 피드백 받을 수 있다. 어느 검토자가 문서를 열람했는지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검토자 기준에서는 PDF에서 손쉽게 코멘트를 남기고 피드백을 반영할 수 있어, 불필요한 이메일 발송을 하지 않아도 돼 효율적이다.또 애크로뱃 DC를 데스크톱과 모2018-10-04 19:16:38곽예하 기자
-
ETRI, "편광선택 광소자 개발, 로봇 인공피부에 적용"국내 연구진이 사람 피부에서 느끼는 촉각이나 압력을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편광 선택 가능 광소자' 개발에 성공했다. 이로써 향후 로봇이나 장애인에게 인공피부를 적용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됐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빛 편광 현상을 이용해 통신할 때 수평과 수직으로모두 활용해 전송 용량을 2배로 늘릴 수 있는 광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ETRI는 2차원 반도체 물질 그래핀과 평면형 광회로 소자를 접목해 능동적으로 편광을 조절하는 소자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기존에2018-10-04 18:38:02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