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구글 AI로 여진 발생 예측···"정확도 2배 높였다"
소규모 신경망으로 더 좋은 결과를 내는 새로운 발견까지
구글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여진 발생 지역 예측 정확성을 두 배로 높이는데 성공했다.
구글은 6일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에서 화상 기자간담회를 열고 구글과 하버드대 연구팀이 함께한 ‘AI를 활용한 여진 파악’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진은 보통 큰 주진과 주진 이후 발생하는 여진으로 나뉜다. 여진은 보통 주진보다 규모는 작지만 경우에 따라 심각한 피해를 일으킬 수 있다.
마틴 와튼버그 구글 시니어스태프 연구과학자는 “이전 모델로 여진 시기와 크기를 예측할 수 있다. 하지만 여진이 발생할 위치를 예측하는 게 어려웠다”며 “우리는 머신러닝을 이용해 이를 해결하려 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세계 여진 관련 데이터 13만1000건을 수집하고 이를 신경망에 학습시켰다. 이후 이 AI예측시스템을 인공지진 시뮬레이션에 적용한 결과 여진이 일어나는 위치를 기존보다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와튼버그 연구원은 “기존 여진 예측 모델은 3% 정확도를 보였던 반면, 우리가 개발한 모델은 6% 정확성을 보였다”고 말했다. 이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수치는 아니지만 이번 성과가 동기부여가 됐다”고 설명했다.
머신러닝 자체 합리성을 측정하는 기준인 ‘AUC(Area Under the Curve)’ 수치는 기존 0.583에서 0.849로 높아졌다. AUC에서 0.5는 무작위 예측을 의미하며, 1에 근접할수록 완벽한 예측이라고 본다.
구글 연구팀과 미드 브랜든 하버드대 교수 등이 공동으로 연구한 이번 프로젝트는 지난 8월 29일 네이처지에도 게재됐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보통 사물을 인식하거나 번역에 사용하는 신경망은 수천개 수준의 망을 가지고 있다. 반면 이번 여진 예측시스템은 훨씬 소규모 신경망이 더 좋은 결과를 냈다는 설명이다. 구글에 따르면 미드 브랜든 하버드대 교수는 이 소규모 신경망을 이용해 다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진을 예측하는 것은 그동안 과학계에서 풀지 못한 ‘미스테리’로 남아있었다. 하지만 와튼버그 연구원은 “기존의 많은 위대한 발견들도 이러한 미스테리로부터 시작 됐다”며 이번 연구를 시작으로 많은 발전을 이뤄내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이어 “언젠가 머신러닝을 기반으로 한 예측시스템이 실제 적용 수준에 이르면, 여진 위험이 있는 지역에 긴급 구조대를 투입하고 대피 계획을 알리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 = 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
[11월 추천 책] 알면 부자 되는 블록체인 기술블록체인 사용설명서101가지 이야기전중훤, 온인선 지음│제8요일 펴냄1만5000원블록체인 기술에 대해 ‘4차 산업혁명의 꽃’ 또는 ‘제2의 인터넷’이라는 화려한 수식어가 붙는다. 수많은 기술서적이나 포럼에서 정교한 테크놀로지에 대해 이야기한다.하지만 일반인이 어떤 기술과 메커니즘으로 블록체인이 작동하는지를 모두 알 필요는 없다. 단지 기술로 구현한 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으면 된다. 기업 역시 기술 자체보다는 인류에게 어떤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는지2018-11-06 18:25:12김태환 기자
-
LG CNS, 대한항공 클라우드 시스템 운영한다···세계 대형 항공사 중 최초LG CNS가 국내 최대 항공사인 대한항공클라우드 시스템을 운영한다. 대한항공에서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한 것은 세계 대형 항공사 중 최초다.대한항공은 6일 서울 공항동 대한항공 본사에서 LG CNS와아마존웹서비스(AWS)와 업무 체결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조원태 대한항공 대표이사, 김영섭 LG CNS 대표이사, 장정욱 AWS 코리아 대표이사 등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에 따라 대한항공은 서울 방화동 데이터 센터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와화물, 운항, 전사적자원관리(ERP), 내부 회계통제 시2018-11-06 15:55:11김태환 기자
-
ETRI, 사물인터넷 핵심기술 개발···국제 표준 후보 2건 채택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사물인터넷(IoT) 핵심기술 2건이 국제표준 후보에 채택됐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6일 내부에 개발한 IoT핵심기술인▲정보중심네트워킹(ICN)에서이름변환서비스(NRS) 기술요구사항 ▲NRS를 이용한 ICN 구조기술 2가지가국제표준화 기구인 IETF에서 지난달 표준화그룹(Research Group) 문서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다. 또 이 내용을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연구원 깃허브(Github) 홈페이지에오픈소스로공개했다.이 기술이 보편화되면 세계를 돌아다니며 활동하는2018-11-06 15:26:04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