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블록체인 공공분야 적용 ‘노드구성·TTA인증’ 고려 필요
오픈블록체인협회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례 설명회’ 개최
블록체인 기술을 공공분야에 적용시키려면 노드 구성에서 성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존에 있던 시스템 간 성능 격차가 있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블록체인 전체 퍼포먼스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데이터 저장공간 처리 속도와 같은 물리적 수용능력에 대한 성능 확보도 필요하며,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AA) 인증이 필수다.
7일 오픈블록체인협회는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례 설명회’ 개최하고, 기업들이 공공 블록체인 사업 진행과 수주를 위해 필요한 제반사항들에 대해 논의했다.
관세청에 적용한 ‘지능형 개인통관 서비스 플랫폼 구축 시범사업’을 진행한 매트릭스 투비 이희라 본부장은 시스템 사양에 대한 기준 마련을 강조했다.
이 본부장은 “통관 시스템에는 크게 전자상거래 업체와 운송을 담당하는 특송사, 제품을 검수하는 관세청 3개 노드가 존재하는데, 이들 각각 자체 시스템 간 사양 격차가 있는데, 여기에 바로 블록체인을 적용하면 전체 성능이 떨어지는 일이 벌어진다”면서 “노드 설치를 위한 표준 권장 사양을 적용하고 클라우드를 적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그는 “프라이빗 블록체인 성능 유지를 위해 데이터 사이즈, 처리 속도, 저장 공간 같은 물리적 수용능력에 대한 퍼포먼스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주체별 권한관리를 구현해 데이터보안과 트랜잭션 분산 방안을 고려하고, 노드별 업무 역할 따른 각각의 비즈니스 로직을 반영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농림축산부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축산물 이력관리 시스템 시범사업’을 진행한 NDS 차재열 소장은 TTA 인증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차재열 소장은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사업을 지원하면 TTA에서 주관하는 블록체인 인증 테스트를 받아야 한다”면서 “트랜잭션 처리 성능, 스마트계약 API 호출 시 정상 동작 여부, 노두 구성 적합성 확인, 개인 키 관리, 단일 장애 대응, 용량 확장성, 인증과 모바일 부문 등에 대해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자사가 하기 어려운 분야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차 소장은 “축산물 이력 관리는 농장에 있는 소의 데이터를 사물인터넷(IoT)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수집하거나 ERP시스템을 연계해 데이터를 가져와야 한다”면서 “NDS는 RFID(무선인식 비접촉 라벨)나 비콘(블루투스 기반 근거리 통신) 같은 IoT 실시간 입력을 ESIS와 협업해 진행했다”고 밝혔다.
그는 “NDS가 모든 분야를 다 개발해 나갈 수도 있지만 제한된 시간과 리소스 안에서 사업을 하려면 역할 분배가 필요하다”면서 “비즈니스 영역과 블록체인, IoT 전담사, 앱 개발 전담 회사 같이 4개 회사를 엮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게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 컨소시엄을 구성해 프로젝트를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해양수산부 ‘블록체인 기반 컨테이너 부두간 반출입증 통합 발급 시스템’을 구축한 글로스퍼는 스타트업들이 입찰 과정에서 겪는 문제를 조명했다.
글로스퍼 문홍식 팀장은 “블록체인 전문 스타트업들은 상대적으로 젊은 인력으로 구성돼 있어 컨소시엄 구축에 필요한 인맥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면서 “기존 프로세스 수행했던 마더 업체를 찾아가 컨소시엄을 제안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이에 블록체인 노드 구성을 위한 참여기관 섭외가 어려웠다고 문 팀장은 설명했다.
그는 “블록체인 참여기관에게 확실한 이익을 주지 않으면 참여의지를 끌어올리기가 어렵다”면서 “수요부처와 주관부처가 적극적으로 참여의사를 마련 해놓고 사업을 진행하는지 파악하는 것도 사업 결정 과제 요소 중 하나”라고 조언했다.
인력 부족도 애로사항으로 꼽힌다.
문 팀장은 “사업수행과정에서 병행하는 성과전시회나 설문조사로 인해 비개발자 인력 필요하다”면서 “또 글로스퍼 사례처럼 지방에 개발 인력을 보내야 하는 경우 본사에서 인력부족과 소통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블록체인 공공분야 적용 ‘노드구성·TTA인증’ 고려 필요블록체인 기술을 공공분야에 적용시키려면 노드 구성에서 성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존에 있던 시스템 간 성능 격차가 있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블록체인 전체 퍼포먼스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데이터 저장공간 처리 속도와 같은 물리적 수용능력에 대한 성능 확보도 필요하며,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AA) 인증이 필수다.7일 오픈블록체인협회는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례 설명회’ 개최하고, 기업들이 공공 블록체인 사업2019-01-08 10:31:29김태환 기자
-
[뉴스후] 서정진 회장, 해외 직접판매 본격화…깜짝 은퇴 '선언' 왜?[앵커] 셀트리온그룹이 지난 4일 신년간담회를 열고 올해 사업전략 등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서정진 회장이 직접 연단에 나서 2020년말 은퇴 의사 등을 밝혀 화제가 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박미라 기자, 서정진 회장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은퇴 의사를 직접 밝혔다고요?기자> 네 맞습니다. 서정진 회장이 자신의 1단계 목표인 2020년까지 개발, 생산, 판매까지 가능한 완전한 글로벌 기업 만들기에 성공하면 2020년말 미련없이 떠나겠다고 밝힌겁니다.서2019-01-08 10:05:06박미라 기자
-
[특이한 기자들] 암호화폐 규제 공백, 피해 속출·산업위축…"이젠 규제 필요한 시기"앵커) 가상화폐(암호화폐) 업계는 지난해 '가즈아'열풍에서 시작해, 정부의 가상화폐 잠재우기 규제와 침묵 가운데 급격한 침체를 겪었습니다.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은 무엇인지, 업계가 지켜야 할 규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죠. 이러한 가운데 200여개의 가상화폐 거래소가 난립했고, 검찰이 업비트를 기소하면서도 뚜렷한 규율이 없다보니 고심한 흔적도 엿보입니다. 규제 공백이 낳은 문제를 돌아보고, 올해 규제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가상화폐에 대한 지난해 정부 규제는 어땠나요?2019-01-08 09:43:41김예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