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가트너 “2018년 세계 반도체 매출 13.4% 성장…올해는 하락세 전망”
올해 메모리 시장 약화로 반도체 업계 지각변동 전망
2018년 세계 반도체 매출이 전년대비 13.4% 성장했다. 다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메모리 시장 침체가 시작돼 올해는 제한적인 성장에 대비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7일 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는 2018년 세계 반도체 매출에 대한 예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트너에 따르면 2018년 세계 반도체 매출은 2017년 대비 13.4% 성장한 4767억 달러(약 538조 6710억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메모리가 전체 반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7년 31%에서 2018년 34.8%로 증가하면서, 최대 반도체 부문으로 확실하게 자리잡았다. 반도체 호조에 힘입어 반도체 1위인 삼성전자는 반도체 부문 매출 1위에 등극했다.
다만 반도체 부문 실적 향상은 메모리 시장의 수요 증가에 따른 호조가 영향을 끼쳤다는게 가트너 측 설명이다.
실제 상위 25개 반도체 공급업체 2018년 합산 매출은 16.3%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시장에서 79.3%를 차지한다. 나머지 기타 업체는 3.6%로 미미한 매출 증가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메모리 공급업체가 상위 25개 업체에 집중됐기 때문이라고 가트너는 분석했다.
한편 가트너는 올해 메모리 시장 약화로 인해 반도체 업계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앤드류 노우드 가트너 부사장은 “2019년에는 메모리 시장이 약화될 전망이므로, 올해는 업계 순위에 큰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면서 “기술 제품 관리자들은 반도체 산업에서 성공하려면 이런 제한적인 성장에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제한적인 성장 대비 방법으로는 ▲메모리 공급업체의 지속적인 노드 전환 ▲새로운 메모리 기술 ▲새로운 제조 기술 등 연구 개발 ▲공급 과잉과 마진 압박에 대한 대응책 마련 등을 꼽았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블록체인 공공분야 적용 ‘노드구성·TTA인증’ 고려 필요블록체인 기술을 공공분야에 적용시키려면 노드 구성에서 성능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기존에 있던 시스템 간 성능 격차가 있기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블록체인 전체 퍼포먼스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데이터 저장공간 처리 속도와 같은 물리적 수용능력에 대한 성능 확보도 필요하며, 사업 수주를 위해서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AA) 인증이 필수다.7일 오픈블록체인협회는 서울 을지로에 위치한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공공 블록체인 프로젝트 사례 설명회’ 개최하고, 기업들이 공공 블록체인 사업2019-01-08 10:31:29김태환 기자
-
[뉴스후] 서정진 회장, 해외 직접판매 본격화…깜짝 은퇴 '선언' 왜?[앵커] 셀트리온그룹이 지난 4일 신년간담회를 열고 올해 사업전략 등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이날 행사에는 서정진 회장이 직접 연단에 나서 2020년말 은퇴 의사 등을 밝혀 화제가 됐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박미라 기자, 서정진 회장이 신년 기자간담회에서 은퇴 의사를 직접 밝혔다고요?기자> 네 맞습니다. 서정진 회장이 자신의 1단계 목표인 2020년까지 개발, 생산, 판매까지 가능한 완전한 글로벌 기업 만들기에 성공하면 2020년말 미련없이 떠나겠다고 밝힌겁니다.서2019-01-08 10:05:06박미라 기자
-
[특이한 기자들] 암호화폐 규제 공백, 피해 속출·산업위축…"이젠 규제 필요한 시기"앵커) 가상화폐(암호화폐) 업계는 지난해 '가즈아'열풍에서 시작해, 정부의 가상화폐 잠재우기 규제와 침묵 가운데 급격한 침체를 겪었습니다. 가상화폐의 법적 성격은 무엇인지, 업계가 지켜야 할 규제는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죠. 이러한 가운데 200여개의 가상화폐 거래소가 난립했고, 검찰이 업비트를 기소하면서도 뚜렷한 규율이 없다보니 고심한 흔적도 엿보입니다. 규제 공백이 낳은 문제를 돌아보고, 올해 규제 가능성에 대해 짚어보겠습니다.가상화폐에 대한 지난해 정부 규제는 어땠나요?2019-01-08 09:43:41김예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