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BCS 2019] “99%는 블록체인 이해 못해…1%아닌 99%위한 블록체인 서비스 나와야”
2019년 실생활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비즈니스 모델 증가할 것으로 기대
23일 머니투데이방송(MTN)과 체이너스 공동주최로 서울 용산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19 블록체인융합서밋’에서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실제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고 있는 국내외 여러 기업들이 소개됐다.
션 김 디센터넷 대표는 현재 세계 인구 중 오직 1%만이 블록체인을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기업들은 나머지 99%를 위한 서비스를 만들 필요가 있음을 강조했다.
션 김 대표는 디센터넷의 ‘오시리스 브라우저(Osiris Browser)’를 한 예로 소개했다. 오시리스 브라우저는 중앙기관의 관여 없이 분산화된 환경에서 모든 작업이 이뤄지는 웹 브라우저다. 이 환경에서 사용자들은 기존에 유튜브나 언론사 사이트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불필요한 광고들을 보지 않아도 된다. 처리 속도 또한 크롬 브라우저와 비교했을 때 약 5초 정도 빠르다. 현재 디센터넷은 오시리스 브라우저 베타 버전을 사이트에 공개한 상태다.
‘훅(HOOK)’은 오시리스 브라우저를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제공되는 메신저 앱이다. SNS 기능도 있어 사용자들은 마치 인스타그램처럼 자기 사진이나 영상을 자유롭게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유튜브나 인스타그램처럼 중앙기업 관여가 없어 그들이 정한 규칙을 따를 필요가 없다. 션 김 대표는 “브라우저와 메신저 앱은 세계 인구 대부분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다. 따라서 블록체인을 몰라도 사용할 수 있다”며 “우리 서비스는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제3자 간섭 없이 표현의 자유를 준다는 것에 가치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성민 림포 아시아 총괄은 운동보상 애플리케이션(앱) ‘림포(Lympo)’ 또한 누구나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라는 점을 강조했다. 림포는 사용자가 앱을 설치하고, 운동 미션이 주어질 때마다 이것을 완료하면 ‘림포코인’으로 보상이 주어지는 서비스다. 사용자는 림포코인으로 간단한 음료부터 나이키나 아디다스 같은 스포츠 브랜드용품까지 구매할 수 있다.
림포 앱은 작년 12월에 출시해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김성민 총괄은 여기서 더 나아가 올해 더 큰 가치를 실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성민 총괄은 “앞으로는 애플워치나 샤오미 밴드 등과 연동해 사용자 건강과 운동 관련 데이터를 더 많이 확보할 예정이다. 그리고 이 데이터를 원하는 병원, 제약회사, 스포츠 회사 등에 데이터를 공개하는 사용자에게는 보상이 주어지는 식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림포는 블록체인을 모르는 사람들도 일상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심플하고 직관적인 서비스라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황성재 파운데이션X 대표 또한 올해 일상생활 속 블록체인이 대중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작년까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 비즈니스 사례들이 등장하지 못했던 이유로 블록체인 기술의 ‘미성숙함’을 꼽았다. 황성재 대표는 “백서 하나로 함축적으로 투자를 받다보니 이 과정에서 정보 불균형이 발생한다. 또 규제가 명확하지 않은 점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환경에서 토큰 생태계가 실제 경제 속 화폐와 맞지 않는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그래서 회사 가치는 올라가지만 토큰 가치는 오히려 떨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황성재 대표는 또한 올해 디앱(DApp)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완벽히 탈중앙화된 디앱을 기대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황 대표는 “당장 탈중앙화된 디앱을 기대하는 것보다 중앙화된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형태로 디앱이 생길 것”이라고 설명했다.
프랭클린 리차드 라이트코인 하우스 대표 또한 올해 일상 속 다양한 부분에서 실질적인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들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예로 블록체인 기반 전자여권을 말했다. 전자여권이 생기면 사람들은 투표할 때도 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해당 지역구 주민인지 확인할 때 이전처럼 모든 정보를 공개할 필요가 없다. 즉 자격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만 판단하고, 나이나 성별 같은 다른 정보를 공개하지 않아도 된다. 프랭클린 대표는 “모든 변화가 급진적일 때만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나 은행 같이 중앙 기관들도 함께 움직일 때 장기적인 변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징구 시 페럴리즘 창업자는 기존 순차적 체인과 비교했을 때 ‘병렬 블록체인’이 갖는 장점을 설명했다. 가장 큰 장점은 ‘무한한 확장성’을 갖게 된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순차적 체인에서 일어났던 데이터 저장 용량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다. 병렬 체인에서는 사용자들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블록체인이 작동하도록 맞춤화하는 작업도 훨씬 쉬워진다. 징구 시 창업자는 “병렬 체인에서 무한 확정성이 기존에는 생각지도 못했던 사업들을 블록체인 위에서 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곽예하 기자(yeha1798@mtn.co.kr)]
-
[BCS 2019]“암호화폐 없이 클릭만으로 거래”, 돈 구오 브록타곤 넥서스 공동창업자암호화폐 없이도 클릭만으로 암호화폐를 거래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등장할 전망이다. 런던 금거래소처럼 금을 소유하지 않고도 금을 쉽고 편하게 거래하는 방식이다.23일 서울 용산 드래곤 시티 호텔에서 머니투데이방송과 체이너스 주최로 열린 ‘2019 블록체인 융합 서밋: 체인플러스(BCS:Chain+)’에서 돈 구오 브록타곤 넥서스 공동창업자가 “브록타곤 넥서스를 이용해 암호화폐 거래 표준을 만들어, 암호화폐 간 국가 간에 어떤 장벽도 없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을 선보일 것”이라2019-01-24 11:08:42박응서 기자
-
[BCS 2019] “암호화폐 붐 꺼진 것, 오히려 기회”…이다은 코밸런트 한국지부장암호화폐 붐이 꺼진 것이 오히려 옥석을 가려낼 수 있어, 블록체인 기업들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시됐다.23일 서울 용산 드래곤 시티 호텔에서 머니투데이방송과 체이너스 주최로 열린 ‘2019 블록체인 융합 서밋: 체인플러스(BCS:Chain+)’에서 이다은 코밸런트 한국지부장은 “암호화폐 붐이 꺼진 것이 오히려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자신 있고 실력 있는 프로젝트와 사람들만 남아 그들과 함께하며 더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블록체인 업2019-01-24 10:57:33박응서 기자
-
[BCS2019] “한국 정부 블록체인 기술 포용력 갖춰야”, 카스파르 코르유스 에스토니아 전자영주권 국장“기술은 나쁘거나 좋은 것이 아니다. 좋고 나쁜 것에 활용되는 하나의 도구일 뿐. 정부는 기술이 만드는 나쁜 사례들을 없애는데 집중해야 한다. 한국 정부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포용력을 가질 필요가 있다.”카스파르 코르유스 에스토니아 전자영주권 국장은 23일 머니투데이방송(MTN)과 체이너스 공동주최로 서울 용산드래곤시티에서 열린 ‘2019 블록체인융합서밋’에서 이와 같이 설명했다.에스토니아는 한국 인구의 40분의 1 수준인 인구 130만명의 작은 국가이지만 블록체인에서는 선도2019-01-24 10:12:10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