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데이터가 전기 같은 시대, 프라이버시가 곧 인권”, 사티아 나델라 MS CEO
제49회 세계경제포럼에서 디지털 기술 올바른 사용과 규제 강조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가 제49회 세계경제포럼(WEF 2019, 다보스포럼)에 참여해 “데이터가 성장 동력이 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데이터 주권은 사용자에게 있고, 프라이버시가 곧 인권”이라고 말했다.
사티아 CEO는 24일 클라우스 슈밥 세계경제포럼 회장과 대담에서 “이전 산업혁명에서 전기 대중화가 경제 발전과 생산성 개선을 이뤘다면, 이제는 데이터가 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며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이 새로운 생산요소가 되는 시대에 기술에 대한 올바른 사용이 더욱 중요시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기술 기업에 대한 경계가 사라지고, 모든 산업 분야가 디지털을 활용하는 기술 기업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프라이버시가 곧 인권이라는 인식을 하는 윤리적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티아 CEO는 안면인식기술을 예로 들었다. 그는 안면인식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MS는 해당 기술이 인권을 침해하는 일이 없도록 개발과 사용에서 자체적인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나아가 기술이 공정하고 안전하게 사용되려면 기업 자체 규제 뿐 아니라 정부 규제도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연합(EU)에서 개인정보보호규정(GDPR)이 이런 인식에서 출발했고, 이를 통해 데이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기 위한 초석이 마련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스 슈밥이 “과거 MS가 소프트웨어 제공업체였다면 이제는 디지털 혁신에서 촉매 역할을 하고 있다”는 말에 사티아 CEO는 “디지털 기술이 모든 기업에서 한 부분이 되고 있다”며 “가장 오래된 산업인 농업조차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변혁을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변화에 따라 MS가 자사 기술과 플랫폼을 공유하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파트너들이 자기 제품과 서비스를 특화한 기술로 발전시켜 내재화하는 ‘테크 인텐시티(tech intensity)’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끝으로 사티아 CEO는 디지털 시대에는 단순히 생산성이나 경제적 성장이 아니라,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어떻게 하면 ‘포용적 성장(inclusive growth)’을 이룰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국가나 문화별로 기술 가치나 우선순위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규범과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지난 22일부터 25일까지 나흘간 진행된 세계경제포럼 연차총회는 ‘세계화 4.0: 4차산업혁명 시대의 글로벌 아키텍처 형성’을 주제로 진행됐다. 사티아 CEO는 이번 세계경제포럼에서 공동의장 7명 중 한 명으로써 개막 기자간담회와 패널 토론 세션에 참여했다. 그는 “혁신은 단순히 기술에 대한 논의보다 실제로 그 기술이 얼마나 사회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어떻게 하면 혁신 기술을 활용해서 우리가 추구하는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지 고민하고, 창의적으로 행동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테크M = 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
[테크M 영상] 시험 비행 성공한 보잉의 하늘을 나는 자동차하늘을 나는 차가 도시 출퇴근 시 겪는 교통체증을 해결할 수 있는 해법으로 등장할 전망이다.로이터통신을 비롯한 외신에 따르면 세계 최대 규모 비행기 제조업체인 보잉이 23일(현지 시간) 자신들이 개발하고 있는 자율비행차(PAV), 즉 하늘을 나는 자율비행 자동차로 첫 시험 비행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보잉이 제공한 영상에 따르면 비행 차량은 22일 바닥에서 9미터 높이로 떠올라 잠시 머문 뒤 내려 앉았다. 이 비행차는 길이 9.1m, 폭 8.5m 크기이며, 전기배터리로 최대 80km를 이동할 수 있게 설계됐다.2019-01-29 08:48:30박응서 기자
-
[MIT테크놀로지리뷰] 마침내 당신을 젊게 하는 약[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주디시 캠피시(Campisi)는 암에 대한 그녀의 기본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예상치 못한 발견을 보여준 1990년대 초부터 노화 생물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그 발견은 세포가 노화로 알려진 단계로 들어서는데 이는 암세포가 되는 것을 막아준다는 것이다. 25년이 지난 뒤 이 통찰은 노화를 늦추거나 약간이나마 되돌릴 수 있는 새로운 종류의 약 개발로 이어졌다.캠피시 연구는 암과 다른 노화 관련 질병에서 세포 노화 역할에 관한 것이다. 노년기 세포들은 여전히 활동적이지만 더 분열하지 않는2019-01-28 22:50:11독점제휴=MIT테크놀로지리뷰
-
사이버 침해사고 중소기업 98%로 심각중소기업일수록 해킹에 취약하며, 해킹 발생 시 매출 대비 피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자료에 따르면 2017년 사이버 침해사고에서 중소기업이 98%를 차지할 정도로 심각한 것으로 확인됐다.중소기업은 보안 인프라와 정보보호 역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정보보호 예산 자체가 거의 없는 경우가 태반이다. 특히 수도권을 벗어나 지역으로 갈수록 보안 인프라가 부족해 정보보호 사각지대가 되고 있다.중소기업은 핵심 자료 관리를 업무담당자 1명이 총괄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2019-01-28 19:08:42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