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IPO현미경] 에코프로비엠 "2차전지 양극재 시장 재편한다"
하이니켈계 양극재 특화..."세계 2위→1위 목표"
코스닥 상장을 앞둔 에코프로비엠이 '하이니켈계' 소재 중심인 자사의 성장률이 전체 산업 성장세를 앞설 것이라고 자신했다. 올해 매출은 전년대비 50%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에코프로비엠은 13일 서울 여의도에서 IPO 기자간담회를 열고 "올해 매출 50% 이상 성장을 전망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에코프로비엠은 대기오염 방지 등 환경사업을 영위하는 에코프로 계열사로 지난 2016년 4월 에코프로에서 물적분할, 신설된 법인이다.
에코프로비엠은 2차전지 양극재(Cathode) 전문기업으로 니켈 함유량(80% 이상)이 높은 하이니켈계 양극재에 특화돼 있다.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 TMM, SKI 등이다.
하이니켈계 양극활물질 시장점유율은 2017년 기준 19.8%로 스미토모(SMM, 56.5%)에 이어 세계 2위다. 에코프로비엠은 "스미토모 NCA의 경우 파나소닉이 유일한 고객으로 알려져 있으나, 당사의 경우 다양한 고객을 확보하고 있는 등 기술과 고객다변화 측면에서의 강점을 살려 시장점유율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영부문 각자대표를 맡고 있는 김병훈 사장은 "에코프로비엠은 업계에서 유일하게 하이니켈계 NCA, NCM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며, "가전을 비롯한 소형 2차전지 시장을 바탕으로 5년간 연평균 90% 성장해왔고, 전기차 시장에서도 하이니켈계 세계 1위를 점유할 것"이라고 말했다.
NCA란 '니켈(Nickel), 코발트(Cobalt), 알루미늄(Aluminum)'이 주성분인 삼원계 양극재를 말한다. NCM은 '니켈(Nickel), 코발트(Cobalt), 망간(Manganese)'이 주성분인 양극재다.
하이니켈계 양극재란 니켈함량이 80% 이상인 것을 말한다. 경쟁사 기존제품의 니켈 함량이 33%~60%인 것에 비해 에코프로비엠은 80%, 88%, 90% 등으로 고도화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전기차 주행거리를 450km 이상으로 늘리려면 양극재 가운데 니켈 함량이 80%(NCM 811) 가량 필요하고, 550km 이상으로 늘리려면 니켈 함량이 90%(NCM 9055)에 달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배터리 용량을 키우려면 니켈 비중을 높여야 한다"며, "니켈은 용량도 크고 안정성도 뛰어나고 수명이 길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 전기차용으로 딱 맞는 양극재"라고 말했다.
그는 "매장량이 적고 가격 변동이 심한 코발트에 비해 니켈은 상대적으로 저렴하다"며, "니켈의 안정성 이슈도 해결돼 2차전지 양극재 시장이 하이니켈계로 급속히 변경되고 있다"고 전했다.
지난해 에코프로비엠 매출 가운데 전기차용 판매는 16% 수준이지만, 이 비중이 2020년 23%, 2023년 6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하이니켈계 양극재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질 가능성에 대해서는 "경쟁사보다 최소 2년 이상의 기술격차를 가지고 있다"며, "연구개발을 강화해 계속 앞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앞도적인 기술을 더욱 더 고도화하고, 생산캐파 확대와 원가경쟁력 확보, 해외사업 가속화 등을 통해 2차전지 양극재 세계 1위 기업이 되겠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비엠은 추가적인 공장 증설을 통해 생산능력을 올해 2만 9,000톤, 2020년 5만 5,000톤까지 확보하고 2023년에는 18만톤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공모자금(예상 1,125억원) 가운데 약 76.7%를 시설자금으로 쓸 예정이다.
에코프로는 오는 14~15일 수요예측을 거쳐 21~22일 청약을 실시한 뒤 3월 5일 코스닥에 상장될 예정이다.
공모가 희망밴드는 3만 7,500원에서 4만 2,900원이다. 상장주관사인 대신증권은 유사기업 EV/EBITDA 21.91배를 적용한 뒤 순차입금(517억 9,500만원)을 뺀 주당 평가액을 5만 8,953원으로 산정했다. 공모가 희망밴드는 할인율 36.4%~27.2%를 적용한 것이다. 이를 기준으로 한 공모금액은 1,125억원~1,287억원이다.
증권사들 역시 에코프로비엠의 올해 실적을 높게 전망하고 있다.
최종경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 9,475억원, 영업이익 816억원을, 김정현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매출 9,024억원, 영업이익 758억원을 전망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이대호 기자 (robin@mtn.co.kr)]
-
어린아이 같이 질문에 되물으며 학습하는 마인드AI“지금까지 AI는 그저 굉장히 빠른 계산기에 불과합니다.”이정환 마인드AI 대표는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신경망 기법으로 구성한 AI는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야만 인식할 수 있고, 그 덕분에 정확도가 높아진다.하지만 마인드AI 알고리즘은 대전제와 소전제를 기반으로 결과 값을 추론한다. 대전제나 소전제가 온전치 않을때는 사용자에게 되묻기도 하고, 대전제를 기반으로 소전제를 예측하기도 한다.지금까지의 AI와 같이 단방향으로만 추론하2019-02-14 16:12:00김태환 기자
-
생리대도 개인 맞춤 시대, 먼슬리씽으로 시행착오 줄여가임기 여성이라면 매월 한 차례 생리기간을 겪는다. 여성 대부분이 생리기간을 반가워하지 않는 이유는 함께 오는 여러 ‘불청객’ 때문이다.생리를 시작하기 5~10일 전에는 흔히 ‘월경전증후군(PMS)’이 나타난다. 호르몬 변화로 인해 우울해지거나 예민해지는 등 감정변화가 생기고, 소화불량이나 복통 같은 신체변화도 동반한다. 본격적으로 생리가 시작되면 ‘생리통’ 증상 때문에 진통제를 복용하는 일이 다반사다.'먼슬리씽(MonthlyT2019-02-14 15:54:52곽예하 기자
-
[뉴스후] LG유플러스 '이참에 1위까지?'… 급변하는 유료방송시장앵커> LG유플러스가 오늘 이사회 의결을 거쳐 CJ헬로 인수를 공식 발표합니다. 이번 인수로 SK브로드밴드를 제치고 유료방송업계 2위로 도약하게 되는데요. 이통사들의 케이블TV 인수 경쟁이 본격화되고 방송시장의 판도도 급변하고 있습니다. 시장 변화와 SK텔레콤, KT 등 경쟁사들의 움직임은 어떤지 취재기자와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유료방송 시장에 큰 변화가 생긴 것 같습니다. 자세히 좀 짚어주시죠.기자>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품에 안으면서 유료방송업계2019-02-14 15:49:16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