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친환경 수소 발전소' 건설, 주민 반대에 부딪힌 사연은?
인천연료전지, "친환경성, 안전성 문제 없다…지역 주민과 소통의 장 마련 희망"
앵커> 인천광역시 동구에 건설하기로 한 수소연료전지 발전소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수소발전소는 기존 발전소를 대체할 친환경 발전소로 평가받고 있는데 이렇게 된 이유가 뭔지 박경민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한수원과 두산건설, 삼천리와 인천종합에너지가 공동으로 추진 중인 인천 수소 연료전지 사업.
사업비는 약 2,600억원 수준으로 인천 동구와 인근 총 9만여가구에 공급할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인천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설이 예정된 부지입니다. 뒤로는 인천 동구의 공업단지가 위치해 있고, 가로 100m 세로 100m 일부 부지를 사용해 40MW 규모의 발전소가 조성됩니다.
대표적인 친환경에너지인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지만 일단 발전시설이라고 하면 갖는 거부감이 주민들의 반대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발전소 예정부지 인근 주민들은 입지선정이나 발전소 건설 추진 과정에서 의견 수렴이나 동의 절차가 없었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김효진 / 동구 수소연료전지 발전소 건립반대 비대위 집행위원장 : 발전소 예정부지가 주민들이 살고 있는 주거지와 약 200m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 들어옴에도 주민들에게 동의과정 없이 추진된 발전소는 굉장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구요.]
그러나 인천연료전지측은 주민들이 반대하는 이유들은 오해에서 비롯됐다고 설명합니다.
우선 친환경성 측면에서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는 연료를 태우지 않아 오염물질 배출이 적고 오히려 인근의 미세먼지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는 겁니다.
이미 서울과 부산 등 대도시 도심지역이나 건물 안, 가정 내에서도 수소연료전지가 가동 중인 점을 근거로 듭니다.
절차적으로는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이미 적법한 인허가를 받았다는 입장입니다.
현행법상 설비용량이 100MW가 넘는 발전소는 환경영향평가와 주민공청회를 의무적으로 거쳐야 하지만 인천연료전지는 40MW 규모로 이같은 절차도 면제됐습니다.
또 주민들이 반대이유로 지목하는 송전탑 건설은 계획조차 없다고 밝혔습니다.
[전영택 / 인천연료전지 대표 : 송전탑 건설하지 않습니다. 인천연료전지에서 생산한 전력은 (인천) 동구 쪽으로 바로 공급이 되고 또 지하 매설된 배전선로를 통해서 공급이 되기 때문에 일반 주민들께서 알고 계시는 것처럼 다른 지역으로 보내지 않습니다.]
인천연료전지 측은 주민 혜택 등 지역에 기여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수소 연료전지에 대한 오해와 의혹을 풀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해 주민들을 설득한다는 방침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박경민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
어린아이 같이 질문에 되물으며 학습하는 마인드AI“지금까지 AI는 그저 굉장히 빠른 계산기에 불과합니다.”이정환 마인드AI 대표는 자신감에 찬 목소리로 말했다. 신경망 기법으로 구성한 AI는 참과 거짓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수많은 데이터를 학습해야만 인식할 수 있고, 그 덕분에 정확도가 높아진다.하지만 마인드AI 알고리즘은 대전제와 소전제를 기반으로 결과 값을 추론한다. 대전제나 소전제가 온전치 않을때는 사용자에게 되묻기도 하고, 대전제를 기반으로 소전제를 예측하기도 한다.지금까지의 AI와 같이 단방향으로만 추론하2019-02-14 16:12:00김태환 기자
-
생리대도 개인 맞춤 시대, 먼슬리씽으로 시행착오 줄여가임기 여성이라면 매월 한 차례 생리기간을 겪는다. 여성 대부분이 생리기간을 반가워하지 않는 이유는 함께 오는 여러 ‘불청객’ 때문이다.생리를 시작하기 5~10일 전에는 흔히 ‘월경전증후군(PMS)’이 나타난다. 호르몬 변화로 인해 우울해지거나 예민해지는 등 감정변화가 생기고, 소화불량이나 복통 같은 신체변화도 동반한다. 본격적으로 생리가 시작되면 ‘생리통’ 증상 때문에 진통제를 복용하는 일이 다반사다.'먼슬리씽(MonthlyT2019-02-14 15:54:52곽예하 기자
-
[뉴스후] LG유플러스 '이참에 1위까지?'… 급변하는 유료방송시장앵커> LG유플러스가 오늘 이사회 의결을 거쳐 CJ헬로 인수를 공식 발표합니다. 이번 인수로 SK브로드밴드를 제치고 유료방송업계 2위로 도약하게 되는데요. 이통사들의 케이블TV 인수 경쟁이 본격화되고 방송시장의 판도도 급변하고 있습니다. 시장 변화와 SK텔레콤, KT 등 경쟁사들의 움직임은 어떤지 취재기자와 자세히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LG유플러스의 CJ헬로 인수로 유료방송 시장에 큰 변화가 생긴 것 같습니다. 자세히 좀 짚어주시죠.기자> LG유플러스가 CJ헬로를 품에 안으면서 유료방송업계2019-02-14 15:49:16이명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