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ICT 선도국 위해 핵심인재 양성 나선다…과기부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 추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해 4차산업혁명 ICT 유망기술과 혁신성장 선도기술 분야 기술 선도국에서 연구와 교육 경험을 습득하며 글로벌 고급인재(석박사급)로 거듭나는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을 2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4차산업혁명 선도인재 집중양성 계획(`19~23년)’에 따라 올해 처음 시작하는 사업이다. 관련 분야 핵심인재 1만명 양성을 목표로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3개 부처가 합동해 5년간 2250명 핵심인재 육성을 지원한다.
과기정통부는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으로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빅데이터,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블록체인/핀테크 같은 ICT·SW 선도기술 분야 인재를 연 160명씩, 2023년까지 총 800명을 집중 양성한다. 연구와 교육 목표에 따라 파견 인력의 연구 역량 등을 고려해 3개 유형인 협력프로젝트, 인턴십, 위탁교육형으로 구성해 지원한다.
협력프로젝트형은 국내 대학이 외국 유수대학과 연구소, 기업 등과 협력프로젝트를 연구하고 수행하는 유형으로, 주관기관 소속 석박사 학생이 파견돼, 6∼12개월 간 외국 협력기관에서 파견돼 연구하며 연구역량을 함양한다. 지원규모는 12개월 기준 1인당 1억원 수준이다.
인턴십형은 주관대학이 대학 소속 국내 석박사 학생을 외국 유망기업과 연구소 같은 ICT 선도기술 보유기관으로 파견해 6∼12개월 간 인턴십을 수행하게 하는 유형이다. 지원 규모는 12개월 기준 1인당 6000만원 수준이다.
위탁교육형은 4차산업혁명 분야 외국 유수대학 내 기술분야별 맞춤형 교육 파견을 하는 유형이다. 국내 석박사 학생 30여명을 선발해 올해 8월부터 약 6개월간 교육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용홍택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정부가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으로 파견·양성한 고급 인재들이 ICT 신산업 발전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파견 인력들이 돌아와 국내 관련 산업에 귀중한 영양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에 대한 상세정보는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사업공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공모에 지원하려는 대학은 4월 16일까지 전담기관인 정보통신기획평가원 누리집(www.iitp.kr)에 사업계획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이후 평가를 거쳐 5월 중 지원과제를 최종 선정하며, 7월부터 연구와 인턴십 같은 석박사 학생 파견을 시작할 예정이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ETRI, 5개 외국어 음성과 영어대역문장DB 배포…태국어와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인공지능과 음성 인식, 번역에 효과적인 활용할 수 있는 외국어 DB를 쉽게 얻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7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태국어와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어, 아랍어, 베트남어 음성 데이터베이스(DB)와 영어대역문장 DB를 일반에 배포한다고 밝혔다. 음성인식과 번역엔진에 대한 외국 기술 의존도를 줄여, 국내 기업이 해당 언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이번에 배포하는 음성 DB는 최근 인기 있는 인공지능(AI) 스피커와 내비게이션2019-02-27 10:08:22박응서 기자
-
ICT 선도국 위해 핵심인재 양성 나선다…과기부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 추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해 4차산업혁명 ICT 유망기술과 혁신성장 선도기술 분야 기술 선도국에서 연구와 교육 경험을 습득하며 글로벌 고급인재(석박사급)로 거듭나는 ‘글로벌 핵심인재 양성지원 사업’을 27일부터 시작한다고 밝혔다.이 사업은 ‘4차산업혁명 선도인재 집중양성 계획(`19~23년)’에 따라 올해 처음 시작하는 사업이다. 관련 분야 핵심인재 1만명 양성을 목표로과기정통부, 산업부, 복지부 3개 부처가 합동해 5년간 22502019-02-26 17:49:59박응서 기자
-
정부, 6개 부처 합동으로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수소경제 활성화 '밑그림'정부가 수소 경제 이행을 위한 중장기 기술 개발에 나섭니다.과기부와 산업부 등 정부 6개 부처는 다음달부터 수소 분야 중장기 연구개발을 위한 기술 로드맵 수립에 착수한다고 밝혔습니다.기술로드맵 수립에는 산업계와 학계에서 100여명의 전문가가 참석할 예정입니다.산업부는 "이번에 수립되는 수소 기술개발 로드맵이 수소의 생산과 저장·운송, 활용 등 수소산업 전 분야에서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는 청사진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산업부를 비롯한 6개 부처는 세부적으로 수2019-02-26 17:14:46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