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게임 덕후 창의력이 새 산업 만든다... '네코제'가 만든 2차 창작물 열풍
게임 이용자들이 달라지고 있다. 어릴때부터 게임을 손쉽게 접했던 세대들이 성장해 게임을 즐기는 것에서 나아가 게임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새로운 창작물을 만들어 내고, 이를 통해 수익을 내는 사례도 나오고 있다. 게임 덕후(어느 한 분야에 미칠듯이 몰두하는 사람을 뜻하는 은어)들이 게임 밖으로 나와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 내고 있는 것이다. 게임 회사들의 2차 창작물 사업도 덕후들의 창의력을 활용하고, 덕후들이 일상생활에서 언제나 게임을 만날 수 있도록 하는 형태로 달라지고 있다.
이런 트렌드를 주도한 게임회사는 국내 대표 게임기업 넥슨이다. 넥슨은 지난 2015년부터 넥슨콘텐츠축제(네코제)를 열고 있다. 네코제는 넥슨 팬들이 게임의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해 직접 2차 창작물을 만들어 전시하고 판매하는 오프라인 행사다. 온라인에서 게임을 하기만 하던 수용자가 네코제를 통해 창작자로 변신한 것이다. 1~8회에 걸쳐 네코제에 참가한 이용자 아티스트는 1500여명이 넘는다. 이들이 판매한 액세서리, 피규어, 인형, 향수 등 2차 창작물은 14만8400여개에 달한다.
◆개방을 통한 혁신, 게임 팬들이 수용자에서 창작자로
사실 넥슨은 오래전부터 게임 2차 창작물 사업을 직접 진행했던 회사다. 넥슨의 대표 캐릭터인 다오와 배찌 등을 활용한 상품과 메이플스토리 IP를 활용한 만화책 사업 등이 유명하다. 넥슨이 다른 기업과 제휴를 맺고 2차 창작물을 만드는 형태였다. 다소 폐쇄적인 형태의 2차 창작물 사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네코제를 기점으로 사업방향을 완전히 바꿨다. IP를 게임 팬들에게 개방해, 게임 팬들이 직접 2차 창작물을 마음껏 만들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방향 전환은 대성공이었다.
네코제를 통해 '덕업일치(광적으로 좋아하는 ‘덕질’과 직업의 일치)'를 실현한 아티스트도 생겼다. 게임 캐릭터를 콘셉트로 한 향수공방을 운영 중인 마계공방이 대표적인 사례다. 그는 "게임 IP를 무료로 개방해 창작물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행사는 네코제가 유일하다"며 "동양적인 매력이 큰 메이플스토리 은월 캐릭터를 활용한 동백꽃 향수처럼 각 캐릭터가 가진 개성을 살려 향수를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2차 창작 분야 전문가와 진행한 이색 협업도 큰 주목을 받았다. 류재용 세운상가 장인이 만든 진공관 엠프 스피커를 통해 홍초선 사운드 디자이너가 재구성한 '야생의 땅: 듀랑고' 음악, 그래픽 아티스트인 비너스 맨션 작가의 'PINKBEAN', 일러스트레이터 롬 작가의 'Lucid, off –duty' 등 순수미술 작품 등이 참관객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전문가들은 브랜드에 소속감을 가진 ‘덕후’들이 모일수록 더욱 창의적인 창작물이 탄생하고, 이를 통해 서브컬처 영역이 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고 입을 모은다. 이승윤 건국대 교수는 “바둑이라는 대중적 요소에 직장 생활의 고충을 담은 미생 덕분에 많은 대중이 웹툰에 빠졌고 드라마까지 성공하면서 산업적 가치가 커졌다”며 “일반 대중을 이처럼 생산적 덕후로 유도하는 방법을 콘텐츠 기업들이 고민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일상 속 넥슨을 위해... 캐릭터 사업도 확대
넥슨은 올해 네코제의 규모를 더 키우기로 했다. 게다가 회사가 직접 진행하는 2차 창작물 사업에도 다시 박차를 가한다. 지난해 넥슨은 SPA브랜드 스파오와 손잡고 '크레이지아케이드' 의류를 출시했다. 전국 50개 CGV와 40개 메가박스 영화관에서 ‘메이플스토리’ 캐릭터가 그려진 ‘메이플스토리 콤보’도 판매했다. ‘메이플스토리 콤보’는 출시 3일 만에 약 1만여개가 팔리며 높은 인기를 입증했다.
올해도 메이플스토리, 카트라이더 등 게임 속 재미있는 세계관과 스토리를 활용해 본격적인 캐릭터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권용주 넥슨 IP사업팀장은 "캐릭터 사업 자체의 수익 창출보다는 이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넥슨 브랜드를 자주 경험하고 친숙해지도록 하고자 한다"며 "구체적으로는 패션, 디저트 등 이종산업 간 협업을 통해 캐릭터 상품을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
이젠 나눔도 테크! '네이버-카카오톡'으로 코로나19 기부금 몰린다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는 가운데,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한 인터넷 서비스를 통한 나눔의 손길도 이어지고 있다.5일 네이버의 온라인 기부 플랫폼 '해피빈'에 따르면, 현재까지 코로나19와 관련해 130여건의 모금함이 생성돼 8만건 이상의 기부가 이뤄졌다. 어느덧 총 모금액은 10억원을 돌파했다.해피빈은 여기에 더해 해피빈 '더블 기부'를 통해 5억원의 기부를 별도로 진행했다. 더블 기부는 빠르게 모금액을 달성할 수 있도록 사용자 기부금만큼 해피빈에서 동일2020-03-05 15:03:44테크M 이수호 기자
-
[템 이슈] ③리니지가 되고 싶었던 '테라'의 꿈, '테라 히어로'로 다시 꾼다#테라에 붙는 리니지 꼬리표 #모바일서 체면 구긴 테라 #세번째 도전, 마지막 기회일지도?'테라'는 '리니지'가 될 수 있을까? PC 온라인게임 '테라' 지식재산권(IP)을 활용한 세번째 모바일게임 '테라 히어로'가 5일 서비스를 시작했다. PC 온라인게임 시절부터 리니지와 비교됐던 테라의 세번째 도전이 이번엔 성공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테라는 지금의 크래프톤을 만들어준 게임이다. 장병규 크래프톤 이사회 의장은 창업과 함께 수백억의 개발비를 투입해 테라를2020-03-05 14:51:26테크M 허준 기자
-
'이제 암호화폐 아니고 가상자산입니다'... 특금법 개정안 국회 통과'암호화폐(가상자산) 제도화 법안인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5일 국회는 본회의를 열고 더불어민주당 제윤경 전재수 김병욱 의원과 바른미래당 김수민 의원이 각각 대표 발의한 가상자산 관련 특금법 개정안을 통합한 정무위원장 대안을 의결했다. 이 개정안은 내년 3월6일부터 시행된다. 다만 특금법 시행 전부터 영업해오던 가상자산 사업자는 개정안 시행일로부터 6개월 이내, 즉 내년 9월까지 영업신고를 해야 한다.이번 특금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암호화폐2020-03-05 14:36:20테크M 문정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