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LGU+, AI로 장애인 생활편의 돕는다
장애인 콜택시 호출과 교통약자용 지하철정보 확인 AI서비스 먼저 선보여
LG유플러스가 척수장애인과 중증 지체장애인 생활편의를 지원하는 인공지능(AI) 서비스를 5일부터 선보인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장애인 콜택시 호출’과 ‘교통약자용 지하철정보 확인’ AI서비스를 먼저 선보일 예정이다. 또 추후에 위급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119 문자신고 서비스’도 출시 예정이다.
장애인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네이버 클로바 앱의 ‘스킬 스토어’ 메뉴에서 계정을 연동한 뒤 이용할 수 있다. 이때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 앱에서 사용 중인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된다.
사용자는 콜택시 호출 서비스를 통해 음성명령으로 간편하게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를 부를 수 있다. 이 서비스는 네이버 AI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AI’와 클로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 내 교통약자 편의시설 정보도 음성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편의시설 정보는 서울교통공사와 제휴를 맺고 제공한다.
예를 들어 클로바 플랫폼을 탑재한 AI스피커에 “클로바, 지하철정보에서 신용산역 알려줘”라고 말하면 수도권 1~9호선 역사 내 지상 엘리베이터 위치와 작동 여부, 장애인 화장실 위치, 전동휠체어 급속 충전기 위치를 알려준다.
이후 출시 예정인 119 문자신고는 응급상황 시 AI스피커와 네이버 클로바 앱으로 “119 신고해줘”라고 말하면 소방청과 보호자에게 신고 메시지가 전달돼 위급 상황을 빠르게 알릴 수 있는 서비스다.
최원혁 LG유플러스 AIoT상품2담당은 “지체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불편한 점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더니 주로 이동과 위급상황 대처에서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고자 음성으로 간단히 이용할 수 있는 지체장애인 전용 AI서비스를 기획했다”고 개발배경을 설명했다.
한편 LG유플러스는 더 많은 지체장애인이 AI스피커를 활용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AI스피커 보급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원 대상은 장애인콜택시 회원 300명이다. 장애 정도와 콜택시 이용 빈도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신청은 22일까지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를 참조해 접수하면 된다.
[테크M=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
네이버 CIC 분사 다음 타자는…'서치앤클로바' 유력네이버가 사내독립기업(CIC)을 분사하며 독립적 경영체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다음으로 분사할 CIC로 서치앤클로바가 지목되고 있다.CIC는 'Company In Company(회사 안의 회사)'의 약자로 자체적인 목표와 예산 계획, 인사 결정권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처럼 조직의 규모를 줄여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처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네이버 주요 사업 분야에서는 서치앤클로바(검색·AI)·V(동영상)·아폴로(UGC)·그룹&2019-03-06 08:58:05고장석 기자
-
포스코에너지와 유지보수 계약에 발목 잡힌 수소발전소들...이대로가면 "다 망한다" 존립위기[앵커]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연료 발전소가 우리나라에 있는데, 바로 경기도 화성에 있는 경기그린에너지라는 곳입니다, 5년째 가동중인데 설비 유지보수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자칫하면 다음달 문을 닫아야할 수 있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설비 공급사는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인데 재계약 과정에서 비용을 60%나 올리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속사정이 있는지 박경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 지난 2013년 설립돼 5년째를 맞은 경기그린에너지의 현재 설비 이용률은 채 50%가 되지 않습니다.수소와 산2019-03-06 08:51:12박경민 기자
-
AI가 불량품 골라낸다…올해 제조업 AI 도입 활발지난해 말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테크M과 인터뷰에서 올해 “제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2019년 두 달 지난 지금 실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올해 2월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츠(Global Market Insights)는 지난해 제조업 시장에서 AI 활용 규모가 약 10억달러(1조1254억원)였다면 2025년에는 160억달러(약 18조64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는2019-03-05 17:51:35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