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스마트폰으로 자동차 운행까지…공유 자동차 시대 열렸다
현대·기아차, 디지털 키 신차부터 적용, 운전자 포함 4명까지 공유 가능
스마트폰만으로 자동차 출입과 시동, 운행할 수 있는 공유 자동차 시대가 열렸다.
현대·기아차는 4일 공유 자동차의 핵심 기술 중 하나로 꼽히는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를 향후 출시되는 신차부터 순차적으로 적용한다고 밝혔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과 자동차 간의 근거리 무선통신(NFC) 및 저전력 블루투스(BLE) 통신을 활용해 기존 자동차 스마트키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는 핵심 기술이다.
디지털 키는 스마트폰을 운전석 또는 동반석 외부 도어핸들에 접촉하면 문을 잠그거나 열 수 있고, 차량 내 무선 충전기에 스마트폰을 올려놓고 시동 버튼을 누르면 시동이 걸리고 운행이 가능하다.
디지털 키를 활용하면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 앱과 차량이 연결되면 앱에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활성화 된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수 미터 내에서 차량의 시동, 도어와 트렁크를 원격 잠금·해제, 비상 경보 작동 등을 할 수 있다.
디지털 키는 타인에게 공유 가능한 것도 특징이다. 자동차 소유주를 포함해 최대 4명까지 키를 공유할 수 있다.
공동 사용자는 자동차 소유주의 인가에 따라 디지털 키를 스마트폰 앱에 다운 받아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차량 소유주는 키를 공유할 때 사용 기간 또는 특정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한적 공유도 가능하다.
발레파킹이나 정비소 등 디지털 키를 공유하기 애매한 상황이나 디지털 키가 불편한 사용자를 위해 신용카드 크기의 카드 키와 기존 스마트 키도 따로 제공된다.
일정 속도를 넘어가거나 특정 지역을 벗어나면 원 소유자에게 알림이 뜨도록 각각의 디지털 키를 설정하는 기능도 추가될 예정이다.
현대차·기아차가 개발한 디지털 키는 탑승 시 사용자가 누구인지를 판단하고 미리 설정해놓은 아웃사이드미러, 운전석과 운전대 위치, 전방표시장치(HUD) 및 AVN 설정 등이 자동 변경되는 차량 개인화 프로필이 적용돼 운전자들의 편의를 한층 향상시켰다.
향후 공유 자동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 자동차 대여자와 수여자가 직접 만날 필요 없이 스마트폰 앱을 통해 디지털 키를 주고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화 프로필 적용, 주차 위치 확인 등이 가능해 편리하게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디지털 키 기술은 차량과 스마트폰 연결을 통한 커넥티드 기술의 첫 걸음으로 자동차 이용의 편의성과 다양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고객의 입장에서 와이파이, 초광대역통신(UWB) 등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은 물론 생체인식 등 다양한 ICT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연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승교 기자 (kimsk@mtn.co.kr)]
-
네이버 CIC 분사 다음 타자는…'서치앤클로바' 유력네이버가 사내독립기업(CIC)을 분사하며 독립적 경영체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다음으로 분사할 CIC로 서치앤클로바가 지목되고 있다.CIC는 'Company In Company(회사 안의 회사)'의 약자로 자체적인 목표와 예산 계획, 인사 결정권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처럼 조직의 규모를 줄여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처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네이버 주요 사업 분야에서는 서치앤클로바(검색·AI)·V(동영상)·아폴로(UGC)·그룹&2019-03-06 08:58:05고장석 기자
-
포스코에너지와 유지보수 계약에 발목 잡힌 수소발전소들...이대로가면 "다 망한다" 존립위기[앵커]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연료 발전소가 우리나라에 있는데, 바로 경기도 화성에 있는 경기그린에너지라는 곳입니다, 5년째 가동중인데 설비 유지보수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자칫하면 다음달 문을 닫아야할 수 있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설비 공급사는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인데 재계약 과정에서 비용을 60%나 올리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속사정이 있는지 박경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 지난 2013년 설립돼 5년째를 맞은 경기그린에너지의 현재 설비 이용률은 채 50%가 되지 않습니다.수소와 산2019-03-06 08:51:12박경민 기자
-
AI가 불량품 골라낸다…올해 제조업 AI 도입 활발지난해 말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테크M과 인터뷰에서 올해 “제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2019년 두 달 지난 지금 실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올해 2월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츠(Global Market Insights)는 지난해 제조업 시장에서 AI 활용 규모가 약 10억달러(1조1254억원)였다면 2025년에는 160억달러(약 18조64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는2019-03-05 17:51:35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