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갤럭시S10, "현장에선 주문폭주·물량 부족"…중국 시장 점유율 회복도 기대
국내 이통사들 갤럭시 S10 사전개통 시작…오는 8일 정식 출시
앵커> 삼성전자의 갤럭시S10이 오늘부터 통신 3사를 통해 사전 개통에 들어갔습니다. 일부 매장에서는 물량 부족으로 대기를 하는 사람들이 생기는 등 초반 분위기는 긍정적입니다. 중국시장에서도 S10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점유율 회복으로 이어질지 주목됩니다. 강은혜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국내 이동통신사들이 오늘 갤럭시S10 사전 개통을 시작했습니다.
사전예약자들을 대상으로 우선 개통에 들어가는 건데, 오전 이른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개통행사장은 사람들로 북적였습니다.
[정문경 / 사전예약자 : 갤럭시 5년 쓰다가 최근에 아이폰 한 번 썼다가..갤럭시S10이 너무 좋게 나와서 바꾸려고 사전 예약하게 됐습니다.]
갤럭시S10 시리즈는 내일까지 사전예약을 거쳐 오는 8일 정식 출시됩니다.
일단 초반 분위기는 좋습니다.
자급제 모델을 판매하는 삼성전자 온라인 홈페이지에서는 일부 모델이 주문폭주로 배송이 지연되고 있다는 안내가 나옵니다.
일부 판매점에서도 물량 부족으로 대기를 해야 물건을 받을 수 있는 상황입니다.
현재까지 갤럭시S10 시리즈의 사전예약 물량 자체는 전작인 갤럭시S9 때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전체 판매량은 전작을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보급형과 5G 모델 등 기존보다 라인업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오는 22일 예약판매가 시작되는 갤럭시S10 5G 모델의 대기 수요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 최근 3년 동안 최고 판매량을 보였던 갤럭시S7 시리즈 구매자의 스마트폰 교체 시기가 다가온 점도 갤럭시S10의 수요 증가에 기여할 것이란 분석입니다.
증권업계에서 전망하는 갤럭시S10 시리즈의 연간 판매량은 4천만 대 이상입니다.
그동안 고전을 면치 못했던 중국에서도 긍정적인 분위기가 감지됩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에서 사전예약이 시작된 후, 2시간 동안 기록된 주문량이 전작인 갤럭시S9의 이틀 치 예약 판매량과 동일했습니다.
중국내 삼성전자 스마트폰 점유율이 1% 밑으로 추락한 상황에서 갤럭시S10이 반등의 기회를 가져다 줄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강은혜 기자 (grace1207@mtn.co.kr)]
-
네이버 CIC 분사 다음 타자는…'서치앤클로바' 유력네이버가 사내독립기업(CIC)을 분사하며 독립적 경영체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다음으로 분사할 CIC로 서치앤클로바가 지목되고 있다.CIC는 'Company In Company(회사 안의 회사)'의 약자로 자체적인 목표와 예산 계획, 인사 결정권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처럼 조직의 규모를 줄여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처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네이버 주요 사업 분야에서는 서치앤클로바(검색·AI)·V(동영상)·아폴로(UGC)·그룹&2019-03-06 08:58:05고장석 기자
-
포스코에너지와 유지보수 계약에 발목 잡힌 수소발전소들...이대로가면 "다 망한다" 존립위기[앵커]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연료 발전소가 우리나라에 있는데, 바로 경기도 화성에 있는 경기그린에너지라는 곳입니다, 5년째 가동중인데 설비 유지보수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자칫하면 다음달 문을 닫아야할 수 있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설비 공급사는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인데 재계약 과정에서 비용을 60%나 올리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속사정이 있는지 박경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 지난 2013년 설립돼 5년째를 맞은 경기그린에너지의 현재 설비 이용률은 채 50%가 되지 않습니다.수소와 산2019-03-06 08:51:12박경민 기자
-
AI가 불량품 골라낸다…올해 제조업 AI 도입 활발지난해 말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테크M과 인터뷰에서 올해 “제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2019년 두 달 지난 지금 실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올해 2월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츠(Global Market Insights)는 지난해 제조업 시장에서 AI 활용 규모가 약 10억달러(1조1254억원)였다면 2025년에는 160억달러(약 18조64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는2019-03-05 17:51:35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