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구광모호' LG, 사업재편 속도 가속화…전장·로봇·AI 등 신사업 주력
앵커> 구광모 LG 회장 취임 이후, 사업 재편 속도가 빨라지고 있습니다. 최근 LG전자가 연료전지 사업에 이어 수처리 사업도 정리하려는 모습인데, LG는 비주력 사업구도는 정리하고 앞으로 전장 사업과 인공지능(AI) 등 4차산업혁명 관련 분야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자세한 이야기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조은아 기자.
앵커> 얼마 전 LG전자가 연료전지 자회사인 퓨얼셀시스템즈를 청산한 데 이어 이번에 LG전자가 자회사인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 워터솔루션을 매각한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죠? 관련 내용 설명해주시죠.
기자> 이번에 LG전자가 매각한다는 이야기가 나온 하이엔텍과 엘지히타치 워터솔루션은 수처리 사업 회사입니다.
이에 대해 LG전자 측은 "수처리 사업 정리와 관련해 진행된 사항이 없다"며 거리를 두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LG는 비주력 계열사를 계속 정리하면서 선택과 집중을 하고 있는 만큼 관련 행보를 주목해볼 만 합니다.
먼저 LG전자 등은 합작사인 영국 롤스로이스와 LG퓨얼셀시스템즈를 청산하기로 합의하고 자산 처분 절차를 진행 중입니다.
LG그룹은 또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을 담당하던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은 관련 자회사 서브원 지분 60.1%(12만2000주)를 홍콩계 사모펀드 어피너티 에쿼티 파트너스에 6,020억원에 매각했습니다.
MRO 사업 정리는 일감 몰아주기 이슈에서 벗어나기 위한 선택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신사업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행보란 분석입니다.
앵커> LG가 새로 집중하려는 사업이 전장 사업과 인공지능, 그리고 로봇 사업 등으로 알려져있는데요. 관련 투자는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
기자> LG그룹은 지난해 구광모 회장이 취임한 이후 공격적인 M&A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관련 투자가 인공지능, 로봇, 전장사업에 집중돼 있습니다.
우선 LG전자가 지난해 4월 그룹 역사상 최대 규모인 11억 유로, 우리 돈으로는 약 1조4000여억 원을 들여 오스트리아 전장업체 ZKW를 인수했고, 지난해 7월엔 국내 산업용 로봇 제조업체 로보스타의 지분 30%를 총 800억원에 인수했습니다.
계열사 LG화학도 지난해 9월 자동차용 접착제 전문업체인 미국 유니실사를 인수하면서 LG의 전장사업 강화에 힘을 보탰습니다.
앞으로도 LG의 신사업 분야 M&A 투자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성진 LG전자 부회장이 올해 초 CES에서 M&A 후보만 50개라고 말하면서 향후 로봇 사업을 키우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했는데요.
조인트벤처를 설립하거나 지분 투자로 협력관계를 구축한 뒤 M&A에 나서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LG그룹이 미국 실리콘밸리 현지 스타트업에 투자하기 위해 만든 투자회사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미국 자율주행 SW기업 라이드셀, 자율주행 솔루션 업체 메이모빌리티, 바이오 기술 스타트업 리고스 등 3곳 투자하기도 했습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조은아 기자 (echo@mtn.co.kr)]
-
네이버 CIC 분사 다음 타자는…'서치앤클로바' 유력네이버가 사내독립기업(CIC)을 분사하며 독립적 경영체제를 강화하는 가운데, 다음으로 분사할 CIC로 서치앤클로바가 지목되고 있다.CIC는 'Company In Company(회사 안의 회사)'의 약자로 자체적인 목표와 예산 계획, 인사 결정권을 가지고 사업을 추진한다. 스타트업처럼 조직의 규모를 줄여 빠르게 시장 변화에 대처하고 유연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네이버 주요 사업 분야에서는 서치앤클로바(검색·AI)·V(동영상)·아폴로(UGC)·그룹&2019-03-06 08:58:05고장석 기자
-
포스코에너지와 유지보수 계약에 발목 잡힌 수소발전소들...이대로가면 "다 망한다" 존립위기[앵커] 세계 최대 규모의 수소연료 발전소가 우리나라에 있는데, 바로 경기도 화성에 있는 경기그린에너지라는 곳입니다, 5년째 가동중인데 설비 유지보수 문제에 발목이 잡혀 자칫하면 다음달 문을 닫아야할 수 있는 상황에 처했습니다. 설비 공급사는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인데 재계약 과정에서 비용을 60%나 올리면서 갈등이 빚어지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속사정이 있는지 박경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기자] 지난 2013년 설립돼 5년째를 맞은 경기그린에너지의 현재 설비 이용률은 채 50%가 되지 않습니다.수소와 산2019-03-06 08:51:12박경민 기자
-
AI가 불량품 골라낸다…올해 제조업 AI 도입 활발지난해 말 이경전 경희대 교수는 테크M과 인터뷰에서 올해 “제조업 분야에서 인공지능(AI) 활용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2019년 두 달 지난 지금 실제 이런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올해 2월 미국 시장조사기관 글로벌 마켓 인사이츠(Global Market Insights)는 지난해 제조업 시장에서 AI 활용 규모가 약 10억달러(1조1254억원)였다면 2025년에는 160억달러(약 18조64억원) 이상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국내에서는2019-03-05 17:51:35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