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자전거도 공유하는 시대 온다…쏘카, 전기자전거 공유 사업 시작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 ‘일레클’ 투자…전국 2000대 목표
세계에서 이미 차량과 승차 공유 시장이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전기자전거나 킥보드 등 마이크로 모빌리티까지 이동 산업 혁신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모빌리티 업체 쏘카는 전기자전거 공유까지 사업 영역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쏘카는 6일 전기자전거 셰어링 사업을 정식 론칭하고, 올해 전국에 2000대 확대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스타트업 일레클에 투자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이로써 쏘카는 차량공유, 승차공유를 넘어 ‘마이크로 모빌리티’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마이크로 모빌리티는 자동차나 대중교통이 충족하기 어려운 이동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과 교통 체증 같은 도시 문제 해결에서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레클은 전기자전거 공유 스타트업으로 지난해 11월 서울 상암지역에서 베타서비스를 시작했다. 서비스 시작 3주 만에 재사용률 70%를 달성했다. 일레클은 이달 중 시범서비스를 서울 전 지역으로 확대해 350대 규모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현재 각 지방자치단체와 서비스 지역 확장에 대해 협의 중이며, 연내 공유 전기자전거를 전국 2000대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다.
전기자전거는 배터리 교체와 충전 같은 운영 요소가 관건이다. 일레클을 서비스하고 있는 기업 나인투원 배지훈 대표는 “인프라 관리, 플랫폼 운영, 수요공급 최적화 같은 쏘카 노하우가 전기 자전거 공유 서비스 확대와 완성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쏘카와 함께 모빌리티 혁신을 더욱 앞당길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이재웅 쏘카 대표는 “차량을 소유하지 않고도 이동 해결이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면, 차량 수는 줄고 도시 교통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며 “모빌리티 혁신을 만들고자 하는 스타트업, 기업들과 함께 혁신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쏘카는 지난해 8월 자율주행 스타트업 ‘라이드플럭스’에 첫 투자를 진행하는 등 국내 모빌리티 산업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쏘카는 모빌리티 혁신을 비전으로 하는 다양한 스타트업, 벤처기업과 적극적으로 협업해 이동 시장을 이끌어 나갈 예정이다.
[테크M=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
[MTN현장+]'수소 경제 활성화'에 고민하는 포스코…업계 "뛰어난 노하우 버리지 말아야"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이곳 저곳에서 ‘수소공부'가 한창입니다. 수소충전소, 수소선박, 수소플랜트, 수소법. 국회에서는 연일 수소 관련 세미나가 열리고 있습니다. 증시에서는 수소 관련 기술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도 힘든 기업들이 수소차 테마주에 편승하기 위해 ‘나도 수소’를 외치고 있지요.그런데 유독 수소와 거리를 두는 기업이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기업 포스코입니다. 포스코는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사업을 하고 있고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2019-03-08 08:44:26권순우 기자
-
제주블록체인 협회 출범, “자체 교육사업‧거래소 설립‧코인 발행”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에서 최초로 사단법인 블록체인협회인 ‘제주블록체인 스마트시티 구성협회’가 출범해 주목된다.두바이처럼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도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시티에 블록체인을 결합한 형태로 자치특구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특히 중국과 일본과 같이 외국 기업을 유치해 블록체인 허브(Hub)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제주블록체인 스마트시티 구성협회는 6일 제주시 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김명만 회장 취임식을 가졌다.김명만 신임회장은2019-03-07 19:39:40김태환 기자
-
"스마트워크가 생활 개선에 기여", NIA 2018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스마트워크 이용과 도입 현황을 조사한 ‘2018 스마트워크 실태조사’결과를 7일 발표했다.국내 민간 부문 스마트워크 이용과 도입 현황을 파악하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에서 수행한 이번 조사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인 전국 민간 사업체 216개를 방문조사하고,근로자 1700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했다. 스마트워크는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체재나 환경을 말한다.근로자조사결과 스마트워크 인지도는 83.2%로 2017년보다 7.2% 상승했다. 유형별2019-03-07 13:46:57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