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산호 모양 실리콘 소재로 전기차 고속충전 해결…UNIST‧포스텍 공동연구
입자간 상호연결로 일체형 실리콘 전극 구현
전기차 배터리 충전 속도가 더 빨라지고, 더 많이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UNIST 로드니 루오프(Rodney S. Ruoff) 특훈교수 연구진과 포스텍 박수진 교수팀이 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실리콘 소재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이 전기차 배터리에서 음극에 사용하는 이 소재를 이용해 상용화 조건에서 시험했더니 현재보다 5배 빨리 충전되고 용량도 2배가 넘었다.
전기차가 보편화되려면 전기차 배터리가 지금보다 용량이 늘고, 충전시간이 줄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사용하는 음극 소재인 흑연은 이론적으로 용량 한계를 지닌다. 게다가 고속충전 시 음극 표면에 리튬 금속을 만들어 배터리 성능과 안정성을 떨어뜨린다.
연구진은 흑연을 대신할 음극 소재로 실리콘을 이용했다. 흑연보다 용량이 10배가 넘어 고에너지 배터리에 많이 시도되고 있는 소재다. 하지만 실리콘은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부피 변화가 커 잘 깨지며, 배터리 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산호 모양 실리콘 소재 개발로 풀어냈다. 우선 구멍이 많은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재료로 써서 실리콘 부피 팽창 문제를 완화했다. 다음으로 다공성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높은 밀도로 연결시키고, 여기에 탄소를 나노미터(㎚) 두께로 얇게 씌웠다. 이렇게 만든 ‘산호 모양 실리콘-탄소 복합체 일체형 전극’은 전기 전도도가 향상돼 고속충전을 할 수 있다. 이 같은 구조 변화로 충전 시 크게 부풀고, 부서지던 실리콘 단점이 해결됐다.
특히 이 기술은 일체형 전극이라는 점에서 배터리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데도 기여할 전망이다. 기존 전극은 리튬 이온이 포함된 활물질과 여기에 전자를 전해주는 집전체, 둘을 이어주는 도전제와 바인더 등이 필요했다. 그만큼 공간을 더 차지해 에너지 밀도도 떨어뜨렸다.
박수진 교수는 “산호 모양 실리콘-탄소 일체형 전극은 똑같은 부피에서 에너지 밀도와 출력 밀도를 모두 높이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기술’”이라며 “고속충전 필수요소를 모두 충촉한 최초 실리콘 기반 음극 소재”라고 강조했다. 루오프 교수는 “이 기술은 훗날 고속충전이 가능한 고용량 양극 소재와 함께 쓰여 더 높은 수준의 리튬 이온 배터리를 실현할 것이며, 전기차 배터리 산업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세계적인 학술지 에이씨에스 나노(ACS Nano) 최신호(2월 26일자)에 게재됐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MTN현장+]'수소 경제 활성화'에 고민하는 포스코…업계 "뛰어난 노하우 버리지 말아야"정부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한 이후 이곳 저곳에서 ‘수소공부'가 한창입니다. 수소충전소, 수소선박, 수소플랜트, 수소법. 국회에서는 연일 수소 관련 세미나가 열리고 있습니다. 증시에서는 수소 관련 기술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기도 힘든 기업들이 수소차 테마주에 편승하기 위해 ‘나도 수소’를 외치고 있지요.그런데 유독 수소와 거리를 두는 기업이 있습니다. 한국의 대표기업 포스코입니다. 포스코는 수소전기차용 연료전지 금속분리판 사업을 하고 있고 계열사인 포스코에너지는 발전용 연료전지 사2019-03-08 08:44:26권순우 기자
-
제주블록체인 협회 출범, “자체 교육사업‧거래소 설립‧코인 발행”제주특별자치도(이하 제주도)에서 최초로 사단법인 블록체인협회인 ‘제주블록체인 스마트시티 구성협회’가 출범해 주목된다.두바이처럼 사물인터넷(IoT) 기술로 도시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스마트시티에 블록체인을 결합한 형태로 자치특구를 만드는 것이 목표다. 특히 중국과 일본과 같이 외국 기업을 유치해 블록체인 허브(Hub)도시를 만들겠다는 계획도 밝혔다.제주블록체인 스마트시티 구성협회는 6일 제주시 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창립총회를 열고 김명만 회장 취임식을 가졌다.김명만 신임회장은2019-03-07 19:39:40김태환 기자
-
"스마트워크가 생활 개선에 기여", NIA 2018년 스마트워크 실태조사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스마트워크 이용과 도입 현황을 조사한 ‘2018 스마트워크 실태조사’결과를 7일 발표했다.국내 민간 부문 스마트워크 이용과 도입 현황을 파악하려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에서 수행한 이번 조사는 상시근로자 5인 이상인 전국 민간 사업체 216개를 방문조사하고,근로자 1700명을 온라인으로 조사했다. 스마트워크는 시간과 장소에 얽매이지 않고 언제 어디서나 일할 수 있는 체재나 환경을 말한다.근로자조사결과 스마트워크 인지도는 83.2%로 2017년보다 7.2% 상승했다. 유형별2019-03-07 13:46:57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