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전기와 에너지 국가대표 모여, 전압형 HVDC 세계 도전
전기연·한전·효성 등 총16개 기관과 기업이 HVDC 국산화 개발 나서
미래형 송전기술인 전압형 HVDC(초고압직류송전) 기술 국산화에 대한민국을 대표 전기와 에너지 분야 기관과 기업이 하나로 뭉쳤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13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한전전력연구원, 효성, 삼화콘덴서공업을 비롯한 전기·에너지 전문기관과 기업이 산업통상자원부 국책사업인 ‘전압형 HVDC 국산화 개발 기술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협약을 체결한 16개 기관과 기업은 전압형 HVDC 국산화 개발을 위한 상호협의체 운영, 기술교류, 전문인력 양성과 환경구축, IP-R&D(특허전략지원사업) 기반 특허기술 자립화와 외국 수출역량 강화 같은 내용으로 상호 협력을 진행한다.
HVDC는 발전소에서 생산한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환해 전류 대량을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전송하는 기술이다. 비상 상황이 발생하면 이웃 연계망과 빠르게 순환할 수 있어 블랙아웃 위험성이 낮고, 기존 교류 전력망보다 전력 손실이 적은 장점을 갖고 있다. 또 주파수 제약이 없어 상대적으로 많은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차세대 전력전송 기술로 부른다.
세계 각 나라에서도 이 같은 직류송배전 기술 개발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중국은 정부 주도로 HVDC 관련 기술·산업 확대에 나서며 세계적인 수준에 올랐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일본도 주파수가 다른 동서를 연결하고자 HVDC 기술이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HVDC 기술은 반도체 소자 동작원리에 따라 전류형과 전압형으로 구분된다. 각각 장단점이 있다. 하지만 전압형 HVDC는 재생에너지를 연계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무엇보다 송전탑 크기가 작고 지중화할 수 있어 사회적인 수용성도 높다.
특히 선진기업 위주로 정착된 전류형 HVDC와 비교해 전압형 HVDC는 다양한 전압 용량별 기술개발 단계로 우리나라가 아직 외국시장에서도 충분하게 경쟁할 수 있는 분야다.
이번 협약은 국내 최초로 전압형 HVDC 기술자립화를 위해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전기·에너지 분야 전문 연구기관과 기업이 손을 맞잡고 국책사업을 추진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전문가들은 이 사업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기술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우리나라 에너지 기술이 외국시장으로 진출하는 교두보를 마련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KERI는 추진단으로 업무 총괄을 맡으며, 국내에서 유일하게 전압형 HVDC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효성중공업을 비롯한 협력기업들이 핵심부품을 제작한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도 ‘엔지니어링(전력계통 현황분석)-설계-제작’까지 이어지는 전반적인 기술 라인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효성중공업은 국내 최초, 세계 3번째로 전압형 HVDC 최신 기술인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MMC, Modular Multilevel Converter)’ 기술을 적용한 ‘스태콤(STATCOM)’ 국산화와 상용화에 성공하며 이번 사업을 이끌고 있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KISA, 액티브X 등 웹 이용불편 개선 추진…웹 표준 전환과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에게 불편 주는 액티브X와 실행파일 같은 웹 설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2019년도 웹 표준 전환 및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KISA는 지난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국내 3만 여 쇼핑몰에서 전자결제창 액티브X를 제거했고, 웹 표준 결재모듈과 인증 솔루션을 개발토록 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결제·인증 분야에서 웹 표준 전환과 서비스 개2019-03-14 10:07:24박응서 기자
-
[테크M 영상] 팀 버너스리, “성장통 앓는 30살 웹, 모두가 나서야”웹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가 30주년을 맞은 웹이 여전히 성장통을 앓고 있으며, 공공선을 위해 모두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로이터통신이 30주년을 맞은 월드와이드웹을 기념해, 웹 창시자 팀 버너스리가 웹을 탄생시킨 제네바 외곽에 있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다.영국 과학자인 팀 버너스리는 1989년 3월 12일 CERN에서 화살표와 상자, 원, 거품 같은 걸로 복잡하게 디자인한 메모 형태로 혁신적인 글로벌 기술이 될 제안서를 처음 제출했다.컴퓨터를2019-03-14 08:50:29박응서 기자
-
[테크M 기획] AI와 헬스케어 만남 원하는 IT공룡들…구글, 애플, 삼성 모두 AI로 헬스케어 공략금융, 가전, 검색, 번역같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분야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이 중에서도 특히 헬스케어는 AI를 결합했을 때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분야로 꼽힌다.미국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는 2021년까지 공공기관과 민간에서 헬스케어 분야 AI기술에투자하는 금액이 66억달러(약 7조4699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또 액센츄어는 AI를 헬스케어 분야에 도입했을때 2026년까지 연간 1500억달러(169조8150억원)를 절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2019-03-13 17:58:40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