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과기정통부, 맞춤형 ICT교육으로 지역 활성화 돕는다
오는 4월부터 지역 맞춤형 ‘ICT 스탠다드 인사이트(ICT Standard Insight)’ 프로그램 제공
정부가 오는 4월부터 지역 맞춤형 ‘ICT 스탠다드 인사이트(ICT Standard Insight)’ 프로그램을 제공해 지역특화산업 활성화 지원에 나선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내 ICT 표준전문기관인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와 함께 기존 ICT 표준 대학특강과 지역 표준화 설명회를 올해부터 지역 수요맞춤형 기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통합 개편해 제공한다고 13일 밝혔다.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는 지역 기관들과 협의해 나주시 에너지 사물인터넷(IoT), 전주시 스마트팜, 부산시 자율운항선박, 서울시 소프트웨어 융합 등에 우선적으로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앞으로 추가 희망지역 신청을 받아 전국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에너지, 농업, 항운 같은 전통 산업 분야에 ICT를 융합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AI), IoT, 클라우드, 모바일 같은 ICT 핵심기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내 각 지역에서는 기술 전문가 부족, 지역별 정보 격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반면 네덜란드와 아일랜드 같은 나라에서는 전통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 산업에 ICT를 융합해 지역 산업을 혁신하는 산업구조 고도화에 힘쓰고 있다.
특히 네덜란드는 지난 2010년부터 ‘프레시젼 파밍(Precision Farming)’ 프로젝트를 통해 위성항법장치(GPS)와 IoT 센서기술을 작물재배 관리에 활용해왔다.
아일랜드는 매년 작물 재배에 활용하는 수자원의 60%가 비효율적인 관개시스템으로 낭비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CT 기술 기반 지능형 관개시스템인 ‘워터비(Waterbee)’를 구축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ICT 융합”이라며 “우리나라 각 지역 기업과 학생들이 해당 지역에서 수준 높은 ICT 표준 기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곽예하 기자 (yeha1798@techm.kr)]
-
KISA, 액티브X 등 웹 이용불편 개선 추진…웹 표준 전환과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에게 불편 주는 액티브X와 실행파일 같은 웹 설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2019년도 웹 표준 전환 및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KISA는 지난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국내 3만 여 쇼핑몰에서 전자결제창 액티브X를 제거했고, 웹 표준 결재모듈과 인증 솔루션을 개발토록 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결제·인증 분야에서 웹 표준 전환과 서비스 개2019-03-14 10:07:24박응서 기자
-
[테크M 영상] 팀 버너스리, “성장통 앓는 30살 웹, 모두가 나서야”웹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가 30주년을 맞은 웹이 여전히 성장통을 앓고 있으며, 공공선을 위해 모두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로이터통신이 30주년을 맞은 월드와이드웹을 기념해, 웹 창시자 팀 버너스리가 웹을 탄생시킨 제네바 외곽에 있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다.영국 과학자인 팀 버너스리는 1989년 3월 12일 CERN에서 화살표와 상자, 원, 거품 같은 걸로 복잡하게 디자인한 메모 형태로 혁신적인 글로벌 기술이 될 제안서를 처음 제출했다.컴퓨터를2019-03-14 08:50:29박응서 기자
-
[테크M 기획] AI와 헬스케어 만남 원하는 IT공룡들…구글, 애플, 삼성 모두 AI로 헬스케어 공략금융, 가전, 검색, 번역같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분야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이 중에서도 특히 헬스케어는 AI를 결합했을 때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분야로 꼽힌다.미국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는 2021년까지 공공기관과 민간에서 헬스케어 분야 AI기술에투자하는 금액이 66억달러(약 7조4699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또 액센츄어는 AI를 헬스케어 분야에 도입했을때 2026년까지 연간 1500억달러(169조8150억원)를 절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2019-03-13 17:58:40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