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서울시 '스마트시티' 본격 추진…도시 전역에 IoT센서 5만개 설치
'도시‧행정 데이터+신기술+민관협치'로 시민일상 혁신… 2022년까지 총 1조4천억원 투자
서울시가 빅데이터와 ICT신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시티 서울'을 본격 추진한다.
스마트시티 서울의 핵심은 빅데이터다. 그동안 시는 정보화를 위해 올빼미버스, 공공와이파이, 엠보팅 같은 개별 서비스를 제공해왔다.
이번 계획은 한걸음 더 나아가 그동안 구축한 세계 최고의 ICT 기술?인프라와 누적된 도시?행정 데이터에 사물인터넷(IoT), 블록체인 같은 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을 결합해 신성장동력을 만들고 이전에 없던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목표이다.
박원순 시장은 13일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스마트시티 좌담회'를 열고 2022년을 목표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총 1조4천억원을 투자해 서울을 빅데이터 수도로 만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지난 1월 서울시 생활현장 스마트시티 특구로 첫 지정된 성동구 정원오 구청장과 양천구 김수영 구청장도 함께 했다.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은 시민 일상과 밀접한 행정과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 총 6대 분야, 18개 전략과제로 추진된다.
우선 올빼미버스와 같이 도시 데이터를 분석 및 융합해 시민 수요에 맞는 최적의 정책을 수립하는 스마트 행정을 대폭 확대한다. 5만개의 IoT 센서는 2022년까지 서울 전역에 설치돼 도시현상과 시민행동 데이터를 수집한다. 5만개 센서에서 수집할 도시데이터를 비롯해 기존에 시가 보유중인 행정데이터를 한 곳에서 분석·저장·활용하는 공공 빅데이터 통합 저장소를 연내 구축한다.
아울러 금융, 유통, 포털, 통신 등 민간 빅데이터와도 융?복합해 공동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기업-시민이 참여하는 민?관 공동 빅데이터 플랫폼도 2020년까지 구축한다. 아직 초기 단계인 국내 빅데이터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빅데이터의 활용가치를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교통 분야에서는 상암 DMC에 세계 최초로 조성 중인 5G 융합 자율주행 테스트베드를 비롯해 IoT 기술로 실시간 주차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공유주차 시스템, AI 기술로 기사-승객을 연결하는 AI 택시 서비스를 올해 새롭게 시작한다.
아울러 스마트 복지를 활용해 어르신과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원과 취약계층 시민들의 건강관리도 더 촘촘해진다. 홀몸어르신 가정의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여 위험상황을 감지하고, 블록체인 기술로 시립병원-보건소-찾 동 간 건강·의료기록 공유 시스템을 개발한다.
경제분야에서는 민간기업의 혁신적 아이디어와 기술을 기반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벤처 기업이 스마트시티 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협업체계를 구축한다. 아이디어 제안부터 사업화 진행까지 원스톱으로 이뤄지는 온라인 플랫폼 스마트서울 협치시스템도 오는 5월 오픈한다.
박원순 시장은 "서울시는 시민 일상 한 가운데에 있는 도시행정, 교통, 안전, 환경, 복지, 경제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서울 추진계획을 통해서 세계 전자정부 1위 위상을 넘어 가장 앞서나가는 빅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로 도약하겠다"고 말했다.
-
KISA, 액티브X 등 웹 이용불편 개선 추진…웹 표준 전환과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에게 불편 주는 액티브X와 실행파일 같은 웹 설치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2019년도 웹 표준 전환 및 웹 선도 기술·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 공모를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KISA는 지난 2015년부터 이 사업을 추진해왔다. 지난해 국내 3만 여 쇼핑몰에서 전자결제창 액티브X를 제거했고, 웹 표준 결재모듈과 인증 솔루션을 개발토록 해 국민 생활과 밀접한 결제·인증 분야에서 웹 표준 전환과 서비스 개2019-03-14 10:07:24박응서 기자
-
[테크M 영상] 팀 버너스리, “성장통 앓는 30살 웹, 모두가 나서야”웹 창시자인 팀 버너스리가 30주년을 맞은 웹이 여전히 성장통을 앓고 있으며, 공공선을 위해 모두가 행동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로이터통신이 30주년을 맞은 월드와이드웹을 기념해, 웹 창시자 팀 버너스리가 웹을 탄생시킨 제네바 외곽에 있는 CERN(유럽입자물리연구소)을 방문했다고 보도했다.영국 과학자인 팀 버너스리는 1989년 3월 12일 CERN에서 화살표와 상자, 원, 거품 같은 걸로 복잡하게 디자인한 메모 형태로 혁신적인 글로벌 기술이 될 제안서를 처음 제출했다.컴퓨터를2019-03-14 08:50:29박응서 기자
-
[테크M 기획] AI와 헬스케어 만남 원하는 IT공룡들…구글, 애플, 삼성 모두 AI로 헬스케어 공략금융, 가전, 검색, 번역같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분야가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이 중에서도 특히 헬스케어는 AI를 결합했을 때 우리 삶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분야로 꼽힌다.미국 컨설팅 기업 액센츄어(Accenture)는 2021년까지 공공기관과 민간에서 헬스케어 분야 AI기술에투자하는 금액이 66억달러(약 7조4699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예상했다.또 액센츄어는 AI를 헬스케어 분야에 도입했을때 2026년까지 연간 1500억달러(169조8150억원)를 절감하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예2019-03-13 17:58:40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