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수소충전소 사업 선봉 선 하이넷…유종수 대표 "수소충전 인프라 빠르게 확대할 것"
13개 기업 참여해 1350억원 출자…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곳 구축 목표
앵커> 수소 충전소는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선결과제로 꼽히지만 비싼 구축비용과 운영상 부담으로 보급이 더뎠습니다. 민간 수소 충전소 SPC 하이넷이 본격 출범하면서 수소 충전소 확대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는데요. 박경민 기자가 유종수 하이넷 대표를 만나 포부를 들어봤습니다.
기자> 현재 전국에 있는 수소 충전소는 10여 곳.
수소 충전소 하나를 짓는 데만 약 30억 원의 돈이 들고, 수요가 적어 충전소를 짓고 나서도 돈이 안 되다 보니 나서는 곳이 없었습니다.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첫발을 떼기도 어려웠는데 수소 관련 13개 기업이 의기투합했습니다.
초기엔 손해를 좀 보더라도 우선 인프라를 만들어 시장을 형성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해 비용을 떨어뜨리겠다는 겁니다.
총 1,350억 원을 출자했는데 2022년까지 수소충전소 100곳을 구축하고, 수소충전소 구축 비용을 20억 원 수준까지 낮추는 것이 당면한 목표입니다.
[유종수 / 하이넷 대표 : 적어도 절반 정도에 해당되는 (수소 충전소)구축비용을 민간자본인 하이넷이 투자를 해서 구축을 하고 구축뿐만이 아니고 운영도 하이넷이 담당할 수 있다고 한다면 수소 충전 인프라를 훨씬 빠른 시간 내에 구축해 나갈 수 있고...]
가스공사를 비롯해 완성차 업체(현대차)와 수소공급업체(덕양, SPG케미칼), 충전소 설비업체(효성중공업, 범한산업, 제이앤케이히터, 발맥스기술) 등 참여기업의 면면도 다양합니다.
각 기업 간 시너지 효과가 발휘된다면 수소 충전소 구축 비용은 물론 운영의 효율성까지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법, 제도 개선을 통한 불필요한 규제 완화는 하이넷이 풀어야 할 과제입니다.
규제샌드박스로 국회 내 수소 충전소 설치가 허용됐지만 유효기간이 2년에 불과해 향후 법 개정이 없다면 도심 수소 충전소의 지속적인 운영과 확산은 어렵습니다.
[유종수 / 하이넷 대표 : 안전관리를 소홀히 하자는 것은 아닙니다. 외국에도 (도심 충전소 설치 등)다 그렇게 시행을 하고 있기 때문에 너무 엄격한 규제 부분은 완화를 좀 시켜주는 것이, 법 제정이나 제도를 개선해서라도 풀어줬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올해 정부 수소차 보급 목표는 4,000대, 하이넷이 친환경 수소차 확산의 열쇠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경민 기자 (pkm@mtn.co.kr)]
-
[CEO리포트] '코스닥 1년' 엔지켐생명과학에 생긴 변화는?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이 신약개발 동향부터 회사를 바라보는 국내외 시선까지 변화상을 이야기 했다. 코스닥 상장 1주년을 맞아 MTN과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서다.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해 2월 21일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한 바 있다. 이후 시가총액은 약 6,00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외국인 보유 지분율은 2%대에서 10%까지 높아졌다.엔지켐은 세계적 석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자문단을 꾸리는 등 엔지켐 내외부 신약개발 조직을 강화했다.신약개발이 본격화 되며 연구개발비 등으로 인한 영업손실2019-03-21 08:54:53이대호 기자
-
[현장톡톡]두나무 람다256, '루니버스' 출시…블록체인계 아마존될까블록체인 개발 플랫폼'루니버스' 론칭두나무 산하 연구소 '람다256' 분사루니버스 "클라우드에 블록체인 설치 돕는다"'루니버스' 통해 전문 개발자 아니어도블록체인 서비스 만들 수 있어[박재현 / 람다256 대표 : (루니버스에) 가입해서 사용만 하시면 기업이나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이용하실 수 있고요. 그 과정에 필요한 교육, 컨설팅, 기타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 및 기타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토탈 서비스하고2019-03-21 08:49:23김예람 기자
-
수소충전소 사업 선봉 선 하이넷…유종수 대표 "수소충전 인프라 빠르게 확대할 것"앵커> 수소 충전소는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선결과제로 꼽히지만 비싼 구축비용과 운영상 부담으로 보급이 더뎠습니다. 민간 수소 충전소 SPC 하이넷이 본격 출범하면서 수소 충전소 확대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는데요. 박경민 기자가 유종수 하이넷 대표를 만나 포부를 들어봤습니다.기자> 현재 전국에 있는 수소 충전소는 10여 곳.수소 충전소 하나를 짓는 데만 약 30억 원의 돈이 들고, 수요가 적어 충전소를 짓고 나서도 돈이 안 되다 보니 나서는 곳이 없었습니다.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첫발을 떼기도2019-03-21 08:42:34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