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ETRI, 공개 AI 프로그램 활용 1000만건 넘어…올해 다양한 서비스 추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인공지능 SW API 서비스를 공개한 뒤 지금까지 1164만 건 이상 활용됐다고 20일 밝혔다.
ETRI는 국내 인공지능(AI) 서비스 개발 진입장벽을 낮추고 관련 산업경쟁력 제고를 위해 지난 2017년 10월부터 꾸준히 AI 관련 데이터를 공개하고 있다. ETRI가 공개하고 있는 주요 정보는 언어와 음성, 시각지능 응용프로그램(API), 데이터 등이다.
ETRI는 공개 API를 통해 국내 중소기업이나 연구자와 개발자가 더 효율적으로 AI기반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ETRI는 지난 2017년 11월 언어지능 ‘엑소브레인’ 한국어 분석 오픈 API를 공개하고 기계학습 데이터를 제공해왔다. 이어 2018년 12월에는 언어와 음성, 시각지능 오픈 API를 추가적으로 공개했다.
올해 ETRI는 위키백과 질의응답, 대화처리, 영상 객체인식, 그리고 다국어 음성인식 기술 등을 새롭게 추가한다고 밝혔다.
사용자는 이를 활용해 AI 스피커와 챗봇 기반 대화형 상담 서비스, CCTV 범죄 추적과 예방 서비스, 자동통역서비스 같이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다.
나아가 올해 하반기에는 법령분야 질의응답, 사람속성 검출기술, 베트남어 음성인식기술 같은 SW기술과 객체검출 학습데이터 등 영역에서 추가 API를 공개할 예정이다. ETRI는 이를 통해 법률 관련 AI 서비스 개발자들이 도움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ETRI에 따르면 ETRI의 AI SW API 서비스는 공개 이후 지금까지 1164만 건 이상 활용됐다. 산업체가 42%로 가장 많이 활용했으며, 대학교가 33%, 개인 이용자가 19%로 나타났다. 오픈 API 하루 평균 사용횟수는 2만3000건에 달했다.
황춘식 ETRI SW-SoC융합R&BD센터장은 “공개 API를 활용해 다양한 AI 서비스가 나오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양질의 인공지능 SW API와 데이터를 공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테크M=곽예하 기자(yeha1798@techm.kr)]
-
[CEO리포트] '코스닥 1년' 엔지켐생명과학에 생긴 변화는?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이 신약개발 동향부터 회사를 바라보는 국내외 시선까지 변화상을 이야기 했다. 코스닥 상장 1주년을 맞아 MTN과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서다.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해 2월 21일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한 바 있다. 이후 시가총액은 약 6,00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외국인 보유 지분율은 2%대에서 10%까지 높아졌다.엔지켐은 세계적 석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자문단을 꾸리는 등 엔지켐 내외부 신약개발 조직을 강화했다.신약개발이 본격화 되며 연구개발비 등으로 인한 영업손실2019-03-21 08:54:53이대호 기자
-
[현장톡톡]두나무 람다256, '루니버스' 출시…블록체인계 아마존될까블록체인 개발 플랫폼'루니버스' 론칭두나무 산하 연구소 '람다256' 분사루니버스 "클라우드에 블록체인 설치 돕는다"'루니버스' 통해 전문 개발자 아니어도블록체인 서비스 만들 수 있어[박재현 / 람다256 대표 : (루니버스에) 가입해서 사용만 하시면 기업이나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이용하실 수 있고요. 그 과정에 필요한 교육, 컨설팅, 기타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 및 기타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토탈 서비스하고2019-03-21 08:49:23김예람 기자
-
수소충전소 사업 선봉 선 하이넷…유종수 대표 "수소충전 인프라 빠르게 확대할 것"앵커> 수소 충전소는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선결과제로 꼽히지만 비싼 구축비용과 운영상 부담으로 보급이 더뎠습니다. 민간 수소 충전소 SPC 하이넷이 본격 출범하면서 수소 충전소 확대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는데요. 박경민 기자가 유종수 하이넷 대표를 만나 포부를 들어봤습니다.기자> 현재 전국에 있는 수소 충전소는 10여 곳.수소 충전소 하나를 짓는 데만 약 30억 원의 돈이 들고, 수요가 적어 충전소를 짓고 나서도 돈이 안 되다 보니 나서는 곳이 없었습니다.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첫발을 떼기도2019-03-21 08:42:34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