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차값 절반 보조금인 수소차 사고나니 이런 일이...
전기차 폐배터리 활용, 수소차 재활용 체계 구축 '필요'
앵커> 최근 정부가 친환경 자동차 보급에 적극 나서면서 소비자들은 비싼 수소차를 절반 가격에 살 수 있습니다. 2년 이상 차를 운행하는 조건으로 정부가 차 값의 반을 보조해주고 있기 때문인데요. 그런데 사고가 나니 제도적 허점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 김승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차세대 수소전기차 넥쏘가 출시된 지 1년 만에 큰 사고로 폐차를 해야 하는 사례가 발생했습니다.
울산광역시에 등록된 수소전기차 2대가 지난해 12월과 올해 1월 연이은 사고로 크게 망가졌습니다.
넥쏘 차주들은 수리 대신 폐차를 선택했습니다.
문제는 지자체가 지원한 보조금의 행방입니다.
넥쏘 차주들은 7천만 원의 차량을 살 때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절반가량을 보조금으로 받았습니다.
보조금은 차량 의무 운행 조건인 2년을 채우지 못하면 환수해야 합니다.
하지만 교통사고와 같은 불가항력적인 사유로 폐차를 하는 경우 보조금을 반납하지 않아도 됩니다.
넥쏘 폐차 차주의 경우 7200만 원 중 3800만 원은 자기 돈으로, 나머지 3400만 원은 보조금을 받아 구매했습니다.
그런데 사고가 났고 보험사가 수리비로 지급한 보험금은 3900만 원.
차주는 본인부담금 3800만 원이 넘는 100만 원만 지자체로 반납하면 됩니다.
[넥쏘 폐차 차주 : 2년 안에 폐차를 하게 되면 보험회사로부터 받은 3800만 원을 제외하고 나머지만 시청에 (보조금을) 반납하면 됩니다. 이번에 보상을 받으면 100만 원만 시청에 내면 되는 거죠.]
결과적으로 차주의 부담은 없는 반면 정부 보조금은 친환경 차 운행 효과도 없이 허공으로 사라진다는 점입니다.
보조금은 보급을 목적으로 하는데 환수에 강제성을 두면 보급의 목적과 배치되기 때문입니다.
[환경부 관계자 : 수소차 같은 경우 차가 7000만 원 정도 되니까 수리를 할 때 (차주들의) 부담이 많이 되는 겁니다. 근데 폐차를 하는데 자부담금까지 많다고 하면 수소차 보급하는데 차질이 있을 수 있어..]
다만 보조금을 주는 전기차의 경우 가장 비싼 부품인 배터리를 정부가 반환받아 에너지 저장 장치로 활용할 수 제도적 근거가 있습니다.
하지만 수소차는 값비싼 백금이나 수소저장탱크를 재활용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돼 있지 않습니다.
수소차 보급뿐 아니라 보조금을 지급한 정책 목적이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필요해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승교 기자 (kimsk@mtn.co.kr)]
-
[CEO리포트] '코스닥 1년' 엔지켐생명과학에 생긴 변화는?손기영 엔지켐생명과학 회장이 신약개발 동향부터 회사를 바라보는 국내외 시선까지 변화상을 이야기 했다. 코스닥 상장 1주년을 맞아 MTN과 진행한 인터뷰를 통해서다.엔지켐생명과학은 지난해 2월 21일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한 바 있다. 이후 시가총액은 약 6,000억원에서 8,000억원으로 확대됐고, 외국인 보유 지분율은 2%대에서 10%까지 높아졌다.엔지켐은 세계적 석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자문단을 꾸리는 등 엔지켐 내외부 신약개발 조직을 강화했다.신약개발이 본격화 되며 연구개발비 등으로 인한 영업손실2019-03-21 08:54:53이대호 기자
-
[현장톡톡]두나무 람다256, '루니버스' 출시…블록체인계 아마존될까블록체인 개발 플랫폼'루니버스' 론칭두나무 산하 연구소 '람다256' 분사루니버스 "클라우드에 블록체인 설치 돕는다"'루니버스' 통해 전문 개발자 아니어도블록체인 서비스 만들 수 있어[박재현 / 람다256 대표 : (루니버스에) 가입해서 사용만 하시면 기업이나 프로젝트에서 원하는 블록체인 기술을 손쉽게 이용하실 수 있고요. 그 과정에 필요한 교육, 컨설팅, 기타 블록체인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 지원 및 기타 사항들을 전체적으로 토탈 서비스하고2019-03-21 08:49:23김예람 기자
-
수소충전소 사업 선봉 선 하이넷…유종수 대표 "수소충전 인프라 빠르게 확대할 것"앵커> 수소 충전소는 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선결과제로 꼽히지만 비싼 구축비용과 운영상 부담으로 보급이 더뎠습니다. 민간 수소 충전소 SPC 하이넷이 본격 출범하면서 수소 충전소 확대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는데요. 박경민 기자가 유종수 하이넷 대표를 만나 포부를 들어봤습니다.기자> 현재 전국에 있는 수소 충전소는 10여 곳.수소 충전소 하나를 짓는 데만 약 30억 원의 돈이 들고, 수요가 적어 충전소를 짓고 나서도 돈이 안 되다 보니 나서는 곳이 없었습니다.수소전기차 확산을 위한 첫발을 떼기도2019-03-21 08:42:34박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