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KT, 통신망 재난안전 대응계획 수립…3년간 4800억원 투자
KT가 아현지사 화재 같은 통신재난 재발 방지를 위해 중요통신시설에 대한 상세점검을 완료하고, 정부 통신재난방지 강화대책을 반영한 ‘KT 통신재난 대응계획’을 수립했다고 21일 밝혔다.
통신재난 대응계획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강화한 ‘통신구 화재안전 기준(안)’에 따라 고객수용 규모와 중요도가 높은 통신국사 통신구를 대상으로 소방시설 보강을 진행할 계획이다. 앞으로 2년간 전체 통신구에 대한 소방시설 보강과 감시 시스템 구축을 완료할 예정이다.
화재에 취약한 것으로 알려진 통신구 내 전기시설 제어반에 대해서는 전수조사를 통해 화재 내구성이 약한 FRP(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의 제어반을 스테인레스 재질로 전량 교체하고, 제어반 내부에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할 계획이다. 또 제어반 주변 통신‧전원 케이블에는 방화포를 덮어 화재 발생 가능성을 차단할 방침이다.
중요통신시설 생존성 강화를 위해 ‘중요통신시설 등급지정 및 관리기준(안)’에 따라 우회통신경로 확보, 통신재난대응인력 지정•운용과 출입통제,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를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이번 등급기준 강화로 추가된 신규 중요통신시설에 대해서는 앞으로 3년간 단계적으로 우회통신경로를 확보할 계획이다. 최근 중요성이 크게 높아진 이동통신 서비스는 생존성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통신사업자간 긴밀하게 협력해 이동통신서비스 로밍도 추진할 방침이다.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모든 A‧B등급 통신국사에 대해서 통신국사와 변전소간 이원화를 앞으로 3년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외에 통신국사에 대해서는 예비 전원시설을 순차적으로 신형 시설로 교체해 중요통신시설의 전원 안정성을 지속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또 중요통신시설로 지정된 통신국사에 대해 출입보안을 강화하고, 통신재난 대응인력을 배치, 상시 운용해 통신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방침이다.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정부는 ‘통신재난 방지 및 통신망 안정성 강화대책’을 발표했으며, 그 후속 조치로 ‘통신구 화재안전 기준(안)’과 ‘중요통신시설의 등급지정 및 관리기준(안)’을 마련했다.
먼저, ‘통신구 화재안전 기준(안)’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기존 500m 이상 통신구에만 적용되던 ‘통신구 화재안전 기준’이 앞으로는 길이에 관계없이 모든 통신구에 확대‧적용될 계획이며, 자동소화장치‧방화문‧연결송수관과 같은 소방시설 구축기준도 대폭 강화될 예정이다.
또 ‘중요통신시설 등급지정 및 관리기준(안)’에 따르면 통신국사에 대한 등급지정 기준을 강화해 KT는 중요통신시설로 지정된 통신국사 수가 기존 29개에서 400여 개로 증가했다. 이들 국사에 대해서는 통신망 생존성 강화를 위한 우회통신경로확보, 통신재난대응인력 지정과 운용, 전력공급 안정성 확보에 대한 관리기준도 강화됐다.
이 밖에 KT는 이번 수립된 ‘통신재난 대응계획’에 통신주와 맨홀 같은 통신국사 외부 시설에 대한 안정성 강화 계획도 포함했다고 밝혔다. KT는 통신국사 외부 시설에 대한 현장실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취약 시설을 단계적으로 개선한다.
아울러 KT 대전 연구단지에 ‘OSP 이노베이션 센터’를 열어 통신구, 선로, 맨홀, 통신주에 대한 안정성 확보기술을 개발하고, ‘차세대선로시스템’ 개발을 통해 이들 시설에 대한 운용 자동화도 추진할 계획이다. 투자사업 외에도 통신재난안전팀과 OSP관제팀 등을 신설해 조직 차원에서도 통신재난에 철저하게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KT는 앞으로 3년에 걸쳐 총 4800억원을 투입해 통신구 감시와 소방시설 보강, 통신국사 전송로 이원화, 수전시설 이원화, 통신주와 맨홀 개선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쏙] 국민연금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는 이유국민연금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는 이유최근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에 나선 국민연금!머니투데이방송 생방제작부 유일한 부장과 함께 국민연금 수익률이 마이너스일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국민연금 #수익률 #마이너스2019-03-22 15:37:46최재혁
-
[뉴스후] 정부 發 '세계 최초 5G' 무리수...'상용화' 부실 현실화앵커> 정부가 지난해부터 "올해 3월에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하겠다"고 대대적으로 공표해왔는데요. 5G 상용화는 다음 달로 연기됐고, 혼란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업계는 준비가 안 됐는데, 5G 상용화를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부실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김예람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우리나라가 5G 세계 최초 상용화라는데 미뤄지고 있죠. 어떤 상황인가요?기자> 이번 '5G 세계 최초 상용화'의 큰 특징은 정부가 추진 중이라는 것입니다.2019-03-22 14:30:40김예람 기자
-
"현재는 과학 위기이자 기회"…3M, 2019 과학현황지수 조사 결과 발표“과학에 회의적이지만 세계가 직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믿는다.”3M이 한국을 포함한 세계 14개국 일반인 1만4000여명을 대상으로 과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2019년도 과학현황지수(State of Science Index, SOSI)’를 22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과학의 역할에 대해 회의론이 늘고 있음과 동시에, 과학이 미래 사회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는 기대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응답자 87%는 인류가 직면한 사2019-03-22 11:20:46곽예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