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안랩, ‘보잉 737 추락’ 악용 악성코드 메일 주의 당부
안랩이 보잉737 맥스8 추락사고 이슈를 악용해 ‘위험 항공사 리스트가 있다’는 내용의 메일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사례를 발견해 사용자 주의를 당부했다.
26일 안랩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악성 메일은 최근 발생한 ‘보잉737 맥스8 여객기 추락 사고’ 요약과 “다크웹에서 유출된 (해당 기종을 이용하는)위험 항공사 리스트를 첨부했으니 가까운 사람들에게 알려줘라”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MP4_142019.jar’ 이름의 악성 자바 파일도 첨부돼 있다.
만일 사용자가 이 첨부파일을 위험 항공사 리스트로 착각해 무심코 실행하면, 사용자 몰래 PC에 악성코드가 설치된다.
해당 악성코드는 사용자 PC정보를 수집해 공격자 서버와 통신하며 PC 원격 조종, 추가 악성코드 다운로드 등을 수행한다. 현재 V3에서는 해당 악성코드를 진단해 치료하고 있다.
안랩은 스미싱 피해를 막으려면 ▲출처가 불분명한 메일의 첨부파일 실행 금지 ▲의심되는 웹사이트 방문과 메일/소셜미디어/커뮤니티의 URL 실행 자제 ▲OS(운영체제)와 인터넷 브라우저(IE, 크롬, 파이어폭스 등), 응용프로그램(어도비, 자바 등), 오피스 SW 등 프로그램의 최신 버전 유지와 보안 패치 적용 ▲백신 프로그램 설치와 최신 업데이트, 실시간 감시 기능 실행 등 필수 보안수칙 실천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창규 안랩 시큐리티대응센터(ASEC) 센터장은 “공격자는 악성코드 확산 목적으로 사용자를 속이기 위한 다양한 유포 방식을 활용한다”면서 “특히 사회적 관심이 높은 이슈를 악용하는 방식은 공격자가 자주쓰는 방식이며, 앞으로도 지속해서 활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4차산업혁명시대에 레그테크 필요지능화한 법령·규제 관리 플랫폼 필요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국가 차원에서 법령과 규제 관리를 통해 사회 문제에대응할 수 있는레그테크(RegTech) 동향과 필요성을 소개하고,발전 방향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 7호'를 26일 발간했다.레그테크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 합성어로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규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 혁신 기술이다. 각종 규제와 법규에효과적으로 대응해 소비자 신뢰와 준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최근 학계와 정부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이를확2019-03-26 11:32:42박응서 기자
-
차세대 담수화 기술 상용화 눈 앞에…막 증발법 막 오염 실시간 관측으로 개선 전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정성필, 이석헌 박사팀이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막 증발법에서 막 젖음을 유발하는 막 오염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세계는 물 부족 문제로 1970년대부터 해수를 담수화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 최근에 이 기술에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하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이 중 막 증발법은 태양열과 지열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해 막 증류 공정을 상용화하면 해수담수화 비용을 약 0.3달러(약 340원)/m3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2019-03-26 11:27:01박응서 기자
-
애플,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기업 대변신…TV+‧뉴스+‧애플아케이드‧애플카드 공개맥과 아이폰 같은 하드웨어 기업으로 굳건한 애플이 하드웨어 기업에서 서비스 기업으로 대변신에 나섰다. 영상과 게임, 뉴스 같은 콘텐츠 서비스 포털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생각이다.애플은 25일 오전 10시(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사옥 스티브잡스 극장에서 미디어 행사를 열고,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TV플러스(TV+)’를 시작으로, 번들형 뉴스와 잡지 구독 서비스인 ‘애플뉴스플러스(+)’, 구독형 게임 서비스 ‘애플아케이드&rsquo2019-03-26 09:48:37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