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한국 기업 데이터 보유량 2년에 7배 급증…사고 취약 환경 개선 시급
델 EMC ‘글로벌 데이터 보호 인덱스’ 2018년 보고서 공개
한국 기업의 데이터 보유량이 2년새 7배 가량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데이터 관련 사고 대응에는 더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델 EMC는 세계 기업의 데이터 보호 현황과 전략 성숙도를 조사하고 분석한 ‘글로벌 데이터 보호 인덱스(Global Data Protection Index, 이하 GDPI)’ 2018년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번 GDPI 보고서는 델 EMC가 시장조사기관 ‘밴슨 본(Vanson Bourne)’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다. 설문 응답자는 세계 18개국 11개 산업군에 종사하는 2200명으로, 임직원수 250명이 넘는 공공기관과 기업 IT 책임자가 대상이다. 한국 기업의 IT 의사결정권자 100명도 이번 조사에 참여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기업은 데이터 보유량이 2016년 평균 1.59PB에서 2018년에는 평균 11.31PB로 7배 가량 급증했다.
이는 글로벌 평균보다 높으나 데이터 관련 장애와 사고에는 오히려 더 취약한 상황에 놓여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난 1년간 데이터 관련 장애와 사고를 겪었다고 답한 한국 기업은 90%으로 글로벌 평균(76%)보다 14%p 높았다.
원상 복구가 불가능한 데이터 손실을 경험한 기업 비율도 32%로 2016년 5%보다 6배 이상 증가해, 데이터 손실에 대한 한국 기업들의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글로벌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 용량은 2016년 평균 1.45페타바이트(Petabyte, 이하 PB)에서 2018년에는 7배에 가까운 평균 9.7PB로 급증했다.
데이터 유실로 기업이 막대한 금전적 피해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년간 기업들은 각종 장애와 사고로 평균 2.13TB 데이터를 유실했으며, 이로 인한 피해 금액은 약 100만달러(약 11억3000만원)에 달했다. 이는 평균 20시간 시스템 중단을 경험한 기업 손실액인 약 52만달러(약 5억원)의 두 배에 가까운 금액이다.
보고서는 데이터 보호와 관련해 기업들이 직면하고 있는 난제로 ▲데이터 폭증에 따른 복잡성과 비용 증가 (46%) ▲인공지능(AI), 머신러닝, 클라우드, IoT 등 신기술 관련 데이터 보호 솔루션의 부재(45%) ▲GDPR 등 정보 보호 관련 규제와 컴플라이언스 강화(41%) 등을 꼽았다.
반면 현재 사용 중인 데이터 보호 솔루션이 앞으로 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응답한 기업은 16%에 불과했다.
기업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주요 전략으로서 클라우드가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퍼블릭 클라우드 도입률은 2016년 28%에서 2018년에 40%로 증가했으며, 이 중 98%가 퍼블릭 클라우드를 데이터 보호에 활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활용 분야는 ▲퍼블릭 클라우드 내 데이터 백업(41%) ▲온프레미스 데이터를 클라우드에 백업(41%)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애플케이션을 보호(40%)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확장할 수 있는 데이터 보호 솔루션으로 활용(40%) 등으로 다양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 보호 솔루션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고려 요소로는 폭증하는 데이터에 대비하기 위한 ‘확장성’(64%)을 꼽았다.
델 EMC의 ‘글로벌 데이터 보호 인덱스’ 2018 보고서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www.dellemc.com/gdpi)에서 확인할 수 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4차산업혁명시대에 레그테크 필요지능화한 법령·규제 관리 플랫폼 필요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이 국가 차원에서 법령과 규제 관리를 통해 사회 문제에대응할 수 있는레그테크(RegTech) 동향과 필요성을 소개하고,발전 방향을 제시한 'KISTI 이슈브리프 7호'를 26일 발간했다.레그테크는 규제(Regulation)와 기술(Technology) 합성어로 금융서비스 부문에서 규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도한 혁신 기술이다. 각종 규제와 법규에효과적으로 대응해 소비자 신뢰와 준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최근 학계와 정부로부터 큰 관심을 받고 있다.이를확2019-03-26 11:32:42박응서 기자
-
차세대 담수화 기술 상용화 눈 앞에…막 증발법 막 오염 실시간 관측으로 개선 전망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정성필, 이석헌 박사팀이 바닷물을 담수화하는 막 증발법에서 막 젖음을 유발하는 막 오염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세계는 물 부족 문제로 1970년대부터 해수를 담수화하는 기술을 상용화했다. 최근에 이 기술에 에너지와 비용을 절감하는 노력이 커지고 있다. 이 중 막 증발법은 태양열과 지열 같은 신재생에너지를 적용해 막 증류 공정을 상용화하면 해수담수화 비용을 약 0.3달러(약 340원)/m3까지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2019-03-26 11:27:01박응서 기자
-
애플, 하드웨어에서 서비스 기업 대변신…TV+‧뉴스+‧애플아케이드‧애플카드 공개맥과 아이폰 같은 하드웨어 기업으로 굳건한 애플이 하드웨어 기업에서 서비스 기업으로 대변신에 나섰다. 영상과 게임, 뉴스 같은 콘텐츠 서비스 포털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생각이다.애플은 25일 오전 10시(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쿠퍼티노 사옥 스티브잡스 극장에서 미디어 행사를 열고, 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애플TV플러스(TV+)’를 시작으로, 번들형 뉴스와 잡지 구독 서비스인 ‘애플뉴스플러스(+)’, 구독형 게임 서비스 ‘애플아케이드&rsquo2019-03-26 09:48:37박응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