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아이콘루프-SBI저축은행, 블록체인 기반 개인인증 서비스 만든다
아이콘루프가 SBI저축은행이 선보이는 블록체인 기반 개인인증 서비스에 자사 기술이 도입됐다고 1일 밝혔다.
SBI저축은행이 출시한 기반 ‘SBI 간편인증’은 스마트뱅킹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서 블록체인 기반 PIN(개인 고유 비밀번호) 인증과 지문 인증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인인증서나 보안카드, OTP 없이 PIN이나 지문만으로 로그인과 간편이체를 할 수 있다고 아이콘루프 측은 설명했다.
SBI 간편인증은 인증서 발급 시 공인인증기관 대신 자체 SBI 블록체인 서버의 노드 간 합의 서명을 거쳐 PIN 또는 지문 인증 정보를 저장한다. 이후 아이콘루프가 개발한 스마트계약 구현환경인 ‘스코어(SCORE)’를 통해 무결성을 검증하는 방식으로 구현한다.
또 SBI 간편인증은 개인키와 공개키 구조를 적용해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구축함과 동시에, 기존 인증서와 동일한 규격을 따라 시스템 연동 효과를 높였다. 아울러 블록체인 인증서를 사용하는 고객 필요에 따라 생체인증을 적용할 수 있도록 FIDO 표준을 적용했다.
SBI저축은행 스마트뱅킹 앱 사용자는 홈 화면에서 ‘로그인’ 버튼을 터치한 후 ‘PIN 인증’ 또는 ‘지문 인증’을 선택해 로그인과 간편이체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PIN 또는 지문 인증 미등록 고객은 등록 안내 팝업 생성에 따라 초기 인증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서비스 사용자가 블록체인 기반 기술을 몰라도 기존 PIN 또는 지문 인증 서비스와 동일한 사용자경험(UX)을 제공한다.
양사는 해당 서비스 도입으로 위변조가 불가능해 해킹에 따른 인증서 악용도 어려워 보안성도 강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단계적으로 공인인증서가 사용되는 영역을 확대해, 공인인증서 관련 비용 절감 효과도 나타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한편 아이콘루프는 지난해 11월부터SBI저축은행과 블록체인 기반 인증 서비스뿐만 아니라 전자문서 인증에도 협력해왔다. SBI저축은행 임직원은 현재 기안서, 협조서, 일반공문 등 SBI 그룹웨어 문서함 내 첨부파일을 블록체인 기반 문서인증 시스템에 업로드해, 조회나 다운로드 시 위변조 되지 않은 파일임을 확인하고 있다.
김종협 아이콘루프 대표는 “블록체인 기반 ‘SBI 간편인증'은 금융권을 선두로 실제 사용 중인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접목시켜 편리성과 안전성을 증진시키는 기회”라며, “아이콘루프는 앞으로도 SBI저축은행과 함께 차별화된 혜택을 선보일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에서 시너지 방안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블록체인리포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브루노 조현진 BRP CEO[대담=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블록체인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모든 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팅기업이 등장했습니다. 깊이 있는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프로젝트 성장에 올인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인기가 높아가고 있는 e스포츠와 축구를 활용한 칠리즈 프로젝트를 비롯해 다양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브루노 조현진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기업 BRP 공동대표를 만나, 그가 만들어가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들었습니다.BRP란?2019-04-02 08:44:56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
-
[MIT테크놀로지리뷰] 빌게이츠 선정 10대 파괴적 혁신기술…①손 재주 좋은 로봇과 ②차세대 원자력 등장존재하는 수많은 기술 중 올해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MIT테크놀로지리뷰는 ‘2019년 MIT 10대 파괴적인 혁신기술’을 선정해 공개했다.올해는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이자 세계적인 부호인 빌 게이츠가 10대 기술을 선정해 주목받았다.빌 게이츠는 “MIT로부터 제안을 처음 받았을 때, 혁신 기술을 10가지로 좁히는 것이 힘들었다”며 “역사적으로 기술 혁명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고려해 10가지를 선정했다2019-04-01 17:53:11곽예하 기자
-
소비자 10명 중 6명, “5G 이용해보고 싶다”한국 소비자 10명 중 6명은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용하고픈 가장 큰 이유로는 초고속 속도를 체감하기 위해서로 조사됐다.리서치앤리서치는 1일 전국 20세 이상~5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5G 서비스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1000명 중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63.5%(635명)으로 과반을 넘었다. ‘얼리어답터 등 사용후기2019-04-01 15:34:13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