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국내 블록체인 플랫폼 시동…"서비스 대중화 목표"
카카오·네이버·두나무·테라 등 블록체인 플랫폼 잇따라 공개
국내 블록체인 업계가 자체 플랫폼을 잇따라 선보이며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올해 상반기 네이버와 카카오 등이 '서비스 대중화'를 목표로 디앱(블록체인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대거 선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하반기부터 상용화가 본격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 29일 카카오의 블록체인 기술 계열사 그라운드X는 글로벌 퍼블릭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의 퍼블릭 테스트넷 '바오밥(Baobab)'버전을 공개했다. 모든 개발자와 서비스 기업들이 사용할 수 있으며 3개월간의 테스트 및 안정화 과정을 거쳐 오는 6월 메인넷을 공식 출시한다.
클레이튼은 철저히 블록체인 대중화를 지향한다. 그라운드X 한재선 대표는 "이용자는 물론, 개발자, 서비스 기업들이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클레이튼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며 "다양한 파트너들과 긴밀하게 협업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만들어 내겠다"고 말했다.
네이버 자회사 라인도 링크체인을 활용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링크체인을 통해서 이용자가 암호화폐 '링크'를 보상으로 받게 되는 구조다. 라인은 다음달 자체 디앱과 외부 디앱을 합한 블록체인 플랫폼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미 일본에서는 지식인 서비스 형식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제공하며 해외 디앱 유치에 공을 들이고 있다.
최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운영업체인 두나무는 서비스 구독형 블록체인(BaaS) 플랫폼 '루니버스'를 공개했다. 컨소시엄 형태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으로 블록체인 서비스 대중화를 위해 손쉬운 개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70개사 이상의 파트너사, 개발자와 협업하고 있다.
다음달부터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기부, 게임, 소셜 커뮤니티 등 7개사의 서비스를 가동할 계획이다. 두나무 블록체인 연구소 람다256의 박재현 대표는 "플랫폼 위에 사용되는 유틸리티 토큰인 토큰인 '루크(LUK)'를 통해 루니버스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블록체인 기업 테라는 독자 메인넷 '콜럼버스'를 다음달 내놓는다. 테라 메인넷은 스테이블코인 테라를 기본 통화로 이용하는 디앱을 위해 설계됐다. 콜럼버스의 첫 번째 디앱은 차세대 결제 솔루션 '테라X(TerraX)'다. 티몬과 배달의민족, 큐텐(Qoo10) 등 15개 이커머스 플랫폼의 4500만 사용자에게 테라X를 결제 수단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권도형 테라 공동 창립자 겸 대표는 "다양한 통화에 페깅된 테라 스테이블코인들로 자유롭게 결제 가능한 하나의 큰 경제를 만들 수 있다"며 "테라 얼라이언스 파트너들에게 글로벌 무대에서의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박수연 기자 (tout@mtn.co.kr)]
-
[블록체인리포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브루노 조현진 BRP CEO[대담=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블록체인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모든 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팅기업이 등장했습니다. 깊이 있는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프로젝트 성장에 올인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인기가 높아가고 있는 e스포츠와 축구를 활용한 칠리즈 프로젝트를 비롯해 다양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브루노 조현진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기업 BRP 공동대표를 만나, 그가 만들어가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들었습니다.BRP란?2019-04-02 08:44:56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
-
[MIT테크놀로지리뷰] 빌게이츠 선정 10대 파괴적 혁신기술…①손 재주 좋은 로봇과 ②차세대 원자력 등장존재하는 수많은 기술 중 올해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MIT테크놀로지리뷰는 ‘2019년 MIT 10대 파괴적인 혁신기술’을 선정해 공개했다.올해는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이자 세계적인 부호인 빌 게이츠가 10대 기술을 선정해 주목받았다.빌 게이츠는 “MIT로부터 제안을 처음 받았을 때, 혁신 기술을 10가지로 좁히는 것이 힘들었다”며 “역사적으로 기술 혁명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고려해 10가지를 선정했다2019-04-01 17:53:11곽예하 기자
-
소비자 10명 중 6명, “5G 이용해보고 싶다”한국 소비자 10명 중 6명은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용하고픈 가장 큰 이유로는 초고속 속도를 체감하기 위해서로 조사됐다.리서치앤리서치는 1일 전국 20세 이상~5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5G 서비스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1000명 중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63.5%(635명)으로 과반을 넘었다. ‘얼리어답터 등 사용후기2019-04-01 15:34:13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