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테크M 북카페] 유튜브로 성공하는 비법 - 유튜브 레볼루션
유튜브에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끄는 애니메이션 ‘톰과 제리’와 영화 ‘미스터 빈’의 공통점은 주인공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대사가 없다면 번역이 필요 없고, 국경을 마구 넘나들 수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유튜브 플랫폼 안에서만큼은 해리포터 시리즈나 배트맨도 톰과 제리를 이길 수 없다.
이처럼 유튜브에서는 기존의 콘텐츠 성공 법칙이 발동하지 않는다. 유튜브는 정책적으로 콘텐츠 검열을 위한 게이트키퍼를 두지 않는다. 코끼리의 긴 코만 찍어대는 19초짜리 저화질 영상도, 4K 화질로 촬영한 블록버스터급 다큐멘터리도 그들이 정해놓은 가치에 의해 재단되지 않는다. 화려한 음향, 공들여 만든 화면, 빼어난 내러티브는 해당 콘텐츠가 가진 한 습성에 불과할 뿐이다. 그래서 한국의 덩치 큰 사나이가 “오빤 강남 스타일”을 외칠 때, 무슨 뜻인지도 모르는 미국인들에게 호응을 얻은 것이다.
성공한 유튜버들은 “당신만의 독창적인 콘텐츠를 보여줘야 한다”고 말한다. 이들이 말하는 독창성은 대중이 아니라 마니아를 타깃으로 삼는 전략이 숨어 있다. 나만의 콘텐츠에 열광하고 충성하는 팬들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얘기다.
일반적인 사람들은 조회 수를 늘려야 한다는 함정에 빠져 10개 콘텐츠 중 1개 콘텐츠가 100만 조회 수를 기록하는 것이 채널의 큰 성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건강한 채널은 10개 콘텐츠가 모두 10만 조회 수를 기록한다. 많은 사람에게 어필하는 일순간 이슈보다는 꾸준한 ‘덕질’을 이끌어야 채널이 성공한다는 이야기다.
그렇게 지지를 얻은 미주리주 할머니 유튜버는 퀼팅 동영상으로 폐허가 된 도시 풍경을 바꿨다. 한 게이 유튜버는 성정체성을 고민하는 세계 구독자들이 안타깝게 죽음을 선택하는 걸 막아냈다.
저자 로버트 킨슬은 새로운 콘텐츠를 유튜브로 가져오기 위해 끝없는 협상을 벌인다. 광고를 받기 위해 광고주에게 플랫폼과 콘텐츠에 대해 끊임없이 설명하고, 플랫폼이 크리에이터들을 성공으로 잘 이끌고 있는지를 살핀다.
저자는 유튜브가 거대한 비즈니스이기 이전에 공통 이해를 구하고, 즐거움을 전하는 플랫폼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래서 그는 이 신 나는 플랫폼을 어떻게 더 오랜 시간 견고하게 지켜나갈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책에 녹아냈다.
이 책을 다 읽었을 때 독자들은 차별과 권력에 맞서며 자유를 추구하고, ‘덕후’에게 충실한 유튜브 플랫폼에 대해 다시 한 번 매력을 느끼게 될 것이다. 유튜브는 “당신을 방송하세요(Broadcast Yourself)”라고 말한다. 그리고 유튜브 미래는 이 메시지에 달려 있다.
유튜브 레볼루션│로버트 킨슬, 마니 페이반 지음│더퀘스트 펴냄│1만4000원(전자책)
* [테크M 북카페]는 국내 최대 전자책 업체 리디북스와 함께 진행합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블록체인리포트]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브루노 조현진 BRP CEO[대담=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블록체인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모든 기업이 성공할 수 있도록 블록체인 전문 엑셀러레이팅기업이 등장했습니다. 깊이 있는 토큰 이코노미를 활용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며 프로젝트 성장에 올인하는 기업입니다. 최근 유럽에서 인기가 높아가고 있는 e스포츠와 축구를 활용한 칠리즈 프로젝트를 비롯해 다양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앞장서고 있는 브루노 조현진 블록체인 엑셀러레이팅기업 BRP 공동대표를 만나, 그가 만들어가는 블록체인의 미래를 들었습니다.BRP란?2019-04-02 08:44:56이선주 블록체인 전문 앵커
-
[MIT테크놀로지리뷰] 빌게이츠 선정 10대 파괴적 혁신기술…①손 재주 좋은 로봇과 ②차세대 원자력 등장존재하는 수많은 기술 중 올해 우리가 특히 주목해야 할 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MIT테크놀로지리뷰는 ‘2019년 MIT 10대 파괴적인 혁신기술’을 선정해 공개했다.올해는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이자 세계적인 부호인 빌 게이츠가 10대 기술을 선정해 주목받았다.빌 게이츠는 “MIT로부터 제안을 처음 받았을 때, 혁신 기술을 10가지로 좁히는 것이 힘들었다”며 “역사적으로 기술 혁명이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를 고려해 10가지를 선정했다2019-04-01 17:53:11곽예하 기자
-
소비자 10명 중 6명, “5G 이용해보고 싶다”한국 소비자 10명 중 6명은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사용하고픈 가장 큰 이유로는 초고속 속도를 체감하기 위해서로 조사됐다.리서치앤리서치는 1일 전국 20세 이상~59세 미만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5G 서비스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에 대한 결과를 발표했다.조사결과에 따르면 조사대상 1000명 중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63.5%(635명)으로 과반을 넘었다. ‘얼리어답터 등 사용후기2019-04-01 15:34:13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