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삼성, LG가 사들인 기업들 면면 살펴보니...'5G, 로봇'
앵커> 미래 먹거리 발굴을 위해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인수합병(M&A)을 통해 조직 전열을 가다듬고 있습니다. 지난해 사업보고서 속 새로 인수되거나 합병된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두 기업 모두 '전장(전자 장비)'사업을 강화하면서 삼성전자는 5G 사업에, LG전자는 로봇에 방점을 찍는 모습입니다. 조은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삼성전자는 연초부터 이재용 부회장이 직접 5G 장비를 생산하는 현장을 찾을 정도로 5G 장비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지는 사업보고서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지난해 사업보고서에서 새로 종속기업으로 포함된 기업은 총 6곳.
이 중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하는 신기술사업투자조합 펀드들을 제외하면 지랩스 인수가 눈에 띕니다.
지랩스는 스페인의 AI 네트워크 분석 업체로 네트워크 트래픽이나 서비스 품질을 분석하는 솔루션 업체로 최근 삼성은 MWC를 통해 관련 솔루션을 소개하기도 했습니다.
삼성전자는 M&A 등을 발판 삼아 통신장비 시장에서 3% 불과한 점유율(2017년 기준)을 내년까지 2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목표입니다.
LG전자의 사업보고서에는 관계기업으로 로보티즈, 아크릴, 로보스타 등이 새로 올라와 있습니다.
LG는 지난해 로봇개발 기업로보티스 지분인수에 이어 인공지능 스타트업 아크릴, 산업용 로봇 기업 로보스타 지분까지 매입했습니다.
LG는 지난 연말 조직개편을 통해 로봇 산업센터를 신설하며 로봇 사업을 새 먹거리로 삼겠다는 전략입니다.
'전장'이라는 공통 키워드도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2017년 인수한 글로벌 전장(전자장비) 기업 하만의 계열사 11곳을 흡수 합병방식으로 정리했습니다.
보다 효율적으로 조직을 운영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됩니다.
LG전자의 사업보고서에선 오스트리아의 자동차 헤드램프 제조업체 ZKW가 눈길을 끕니다. LG전자가 70%를, (주)LG가 나머지 30%를 각각 인수했습니다.
특히 지난해 말 삼성전자의 현금 보유액은 100조원을 넘어선만큼 올해 또다른 대형 M&A 가능성이 점쳐지며, LG 역시 M&A 대상을 탐색 중입니다.
올해는 어떤 M&A 승부수를 띄울 지 주목됩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조은아 기자 (echo@mtn.co.kr)]
-
가트너, “올해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매출 17.5% 성장”IT 자문기관 가트너(Gartner)가 올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규모가 지난해보다 17.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3일 가트너는 ‘전망: 전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2016-2022, 4Q18 업데이트’ 보고서를 발표하고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을 전망했다.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규모는 지난해 1824억달러(약 207조원)에서 17.5% 증가한 2143억달러(약 243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2019-04-03 11:09:38김태환 기자
-
수소산업 국제표준 선점 나선다…2030년까지 20% 이상 목표정부가 수소산업의 국제표준 선점을 위해 기업들의 기술개발에서부터 표준 등록까지 전주기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는 2030년까지 전세계 국제표준 제안건수의 20%에 해당하는 15건 이상을 제안한다는 목표를 담은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를 발표했습니다.충전소, 선박, 건설기계, 수소공급과 계량 등 수소산업 전분야에 걸쳐 국제표준은 15건, KS 인증은 30건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정부는 2050년까지 수소의 생산, 운송, 이용과 관련한 고용창출 효과로 60만명, 수소와 관련 장2019-04-03 10:24:57이재경 기자
-
현대BS&C, 인터넷전문은행 키움뱅크 컨소시엄 참여현대BS&C가 제3인터넷전문은행 예비인가를 신청한 ‘키움뱅크(가칭) 컨소시엄’에 참여한다고 3일 밝혔다.이번 키움뱅크 컨소시엄은 기존 은행업무 틀을 넘어서 365일 24시간 즐겁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픈형 디지털 생활금융 플랫폼으로 진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ICT, 통신, 유통, 여행, 건강 등을 망라한 참여 주주사 강점과 방대한 인프라를 활용한다는 방침이다.현대BS&C는 IT서비스와 건설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최근 4차 산업혁명 기반이 되는 사물인터넷(I2019-04-03 10:07:36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