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10년 뒤 주목해야 할 한국 이슈는?…KISTEP, 대한민국 미래이슈 2019 발표
28개 미래이슈 도출과 전문가 인식조사로 10년 뒤 전망…경제 관련 이슈 중요도 상승
10년 뒤에 주목해야 할 대한민국 미래 이슈는 무엇일까.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이 산학연 전문가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10년 뒤 한국 사회 주요 이슈 변화 전망을 분석한 ’대한민국 미래이슈 2019‘를 4일 발표했다.
KISTEP은 최근 촛불혁명과 남북정상회담, 미?중 무역전쟁 같은 다양한 이슈가 제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분석에 나섰다. 2015년에 발간한 ‘미래이슈보고서’를 기반으로 그동안 상황변화를 반영해 이슈 28개를 새롭게 도출하고, 10년 뒤인 2029년 중요 이슈와 변화 전망을 살펴보고자 산학연 전문가 500명을 대상으로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28개 이슈 중에서 중요성이 높은 10대 이슈로 ▲저출산·초고령화, ▲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불안정, ▲저성장과 성장전략 전환, ▲남북관계 변화, ▲고용불안, ▲기후변화 적응 실패, ▲제조혁명, ▲건강수명 증대, ▲자연재난, ▲산업구조 양극화가 선정됐다. 2015년과 비교하면 경제 관련 이슈 중요성이 늘었다.
또 주변국과의 지정학적 갈등과 남북관계 변화 이슈는 2015년도 조사에서 영향력은 크지만 발생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으나, 이번에는 발생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KISTEP은 주변국과의 지정학적 갈등과 남북관계 변화 이슈를 대상으로 과학기술 관점에서 아젠다를 도출했다. 그 결과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성장동력 재구성, ▲남북관계 개선과 남북과학기술협력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한 정책 시사점으로 미·중 무역전쟁으로 표면화하기 시작한 세계 경제질서와 국내 비교우위 변화에 발맞춰 미래성장동력 육성전략을 수정해야 할 시점이다. 또 북한 과학기술은 남한과 다른 강점 영역을 보유하고 있어, 국방기술 민수전환을 통해 남한 기술혁신의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점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안상진 KISTEP 연구위원은 “기존에 발생가능성은 낮으나 일단 발생하면 영향력이 큰 사건인 블랙스완 리스크로 식별되었던 이슈가 발생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래 대비가 더욱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지금까지 당연하다고 전제한 대외환경이 변하고 있어, 이를 고려해 실효성 높은 정책을 개발해야 한다“고 밝혔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블록체인 확장·분산 동시 구현 불가 vs 기술 발전에 따라 가능”…누리엘 루비니 교수와 비탈릭 부테린 토론대표적인 블록체인 비관론자 누리엘 루비니 뉴욕대 교수와 이더리움 창시자인 비탈릭 부테린이 한국에서 맞붙었다.루비니 교수는 비트코인은 ‘사기 시스템’이며 분산화라고 설명하는 채굴과 거래가 모두 중앙화돼 있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 장점으로 내세우는 익명성 역시 범법행위 사용과 탈세 문제로 국가에서 받아들일 수 없다고 지적했으며, 기술적으로도 확장성과 분산화를 동시에 이룰 수 없다고 비판했다.반면 비탈릭 부테린은 ‘검열 저항’이란 담론을 들고 나왔다. 국가나 기업2019-04-06 15:00:46김태환 기자
-
모바일 화면 확 바뀐 네이버…'전자상거래' 날개달까앵커> 10년 만에 모바일 웹을 전면 개편한 네이버. 첫 화면의 강력한 유인효과였던 뉴스와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를 빼고 커다란 검색창을 띄우는 모험을 단행했습니다. 엇갈린 이용자 반응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개편 모델이 순항할 수 있을까요. 박수연 기자입니다.기자> 이번 모바일 화면 전면 개편은 지난해 드루킹 여론 조작 사건 이후 뉴스 편집에서 손을 떼겠다고 한지 6개월 만에 이뤄졌습니다.[한성숙 / 네이버 대표이사 (지난해 10월) : 검색창과 뉴스,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 각종 콘텐츠들로 채워져 있던2019-04-06 11:57:15박수연 기자
-
"직캠부터 뉴스 배열까지"…네이버, 사용자가 체감하는 AI 가치 만든다"인공지능(AI)을 연구만으로 끝내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사용자에 제공되는 새로운 가치로 만들겠습니다."김광현 네이버 서치&클로바 리더는 5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네이버 AI 콜로키움 2019'에서 이같이 밝혔다. 네이버 AI 콜로키움은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 인공지능(AI) 기술 연구 성과를 공유하는 대규모 AI 산학 학술행사다.김광현 네이버 서치&클로바 리더는 기조연설에서 지난해 진행된 AI 핵심 기술 연구 성과와 해당 기술이 적용된 국내외2019-04-05 13:41:27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