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쏘카-일레클, 서울에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론칭
쏘카와 전기자전거 공유 플랫폼 일레클이 서울에서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를 론칭한다고 10일 밝혔다.
앞서 쏘카는 지속 가능한 교통 문제 해결을 위해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일레클에 지분투자를 진행했다. 이후 마이크로모빌리티를 통한 도시 이동 혁신에 대해 빠른 논의와 협업을 통해 일레클 모바일 앱 개발과 정식 서비스를 출시했다.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는 우선 서울 마포구와 신촌 대학가(서대문구 창천동 일대)에서 제공한다. 일레클 자체 모바일앱을 활용해 전기자전거를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으며, 상반기에 서울 전 지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할 계획이다.
특히 마포구는 서울시 공공자전거 ‘따릉이’ 이용률 1위를 기록할 만큼 공유 자전거 이용문화가 잘 발달해 있어, 첫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 지역으로 적합하다는 평가다.
일레클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는 일레클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은 뒤 앱에서 가까운 일레클 자전거를 찾아 QR코드를 스캔하면 이용할 수 있다.
자전거 이용을 마치면 반납 구역 내에서 주차‧잠금을 진행하고 앱에 탑승종료 버튼을 누르면 된다.
일레클 정식 서비스 이용요금은 첫 5분 500원, 이후 분당 100원이며 반납한 뒤 미리 등록한 카드로 요금이 결제되며, 첫 회원가입 시 15분 무료쿠폰을 지급한다.
한편 일레클은 다음달에 서울대와 고려대 같이 중단거리 이동이 필수인 대학 캠퍼스와 주변지역을 연계한 마이크로모빌리티 사업 확장을 준비하고 있다.
또 하남, 인천, 세종, 충북혁신도시 같은 주요 지자체와도 공유 전기자전거 도입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의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이재웅 쏘카 대표는 “마이크로모빌리티는 중단거리 이동을 친환경 수단으로 해결함으로써 차량 소유를 줄이고 환경오염, 교통체증을 완화하며 다양한 도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면서 “앞으로도 일레클 같은 스타트업과 서비스로 도시 이동 혁신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절박한 넥슨, '트라하' 돌풍으로 회생할까앵커> 넥슨의 '트라하'가 400만명에 육박하는 사전가입자를 유치했습니다. 이 게임 흥행 여부가 게임 시장의 판도 변화는 물론 매각을 추진 중인 넥슨의 향배에도 결정적인 변수가 될 전망입니다. 서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기자> 넥슨코리아는 지난해 당기순손실 518억원을 기록했습니다.매출도 2017년보다 소폭 감소, 1조원을 밑돌았습니다.창사 이래 적자를 낸 것도, 매출이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한 것도 지난해가 처음입니다.자회사 네오플은 영업이익이 1조2000억원을 넘어섰고 영업이익률이2019-04-11 09:16:12서정근 기자
-
핀테크보다 ‘테크핀’ 금융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주도권 바뀌나은행과 보험 카드사들이 주도해 금융서비스에 IT기술을 접목하는 핀테크(Fintech)에서 IT기업들이 나서서 금융 서비스를 접목하는 테크핀(Techfin)이 확산되고 있다.의사결정 구조가 복잡하고 방향을 틀기 힘든금융기업과 달리 테크핀 기업은 완전히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할 수 있어 빠르게 혁신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다만 여전히 존재하는 규제와 더불어 테크핀 스타트업은 자금난으로 서비스가 사장될 우려가 있어 정책 자금지원과 규제완화 필요성도 대두된다.ICT 바탕에 금융2019-04-10 18:17:40김태환 기자
-
안랩, “올해 1분기 신규 랜섬웨어 전년대비 48% 증가”올해 1분기 신종 랜섬웨어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했다. 특히 이력서나 경고장같은 문서 파일로 위장하면서 공격방식을 다양화해 주의가 필요하다.안랩이 10일 발표한 ‘2019년 1분기 랜섬웨어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신규 랜섬웨어 샘플 수집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개수는 총 34만개 신규 랜섬웨어 샘플이 발견됐다.신규로 수집한 랜섬웨어 샘플에는 ‘갠드크랩(66%)’와 ‘워너크립터(27%)’가 전체2019-04-10 13:02:59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