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
TECH M
[현장톡톡] KT, 블록체인으로 IP숨겨 "해킹 불가 IoT 시대 만들겠다"
2019-04-17김예람 기자
KT, 5G 네트워크에 블록체인 적용
KT, 블록체인 기술로
5G 시대 IoT 보안 우려 해결하겠다
[이동면 /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 :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은 그냥 블록체인, 5G는 5G로 얘기합니다만 저희는 5G의 기가 인프라와 블록체인을 합쳐서 서로의 장점을 시너지 있게 만드는 그런 작업을 했습니다.]
블록체인 기반 IoT 보안솔루션 '기가 스텔스'
인터넷주소(IP) 대신 고유 ID로 신원 검증
기가 체인 BaaS도 출시
KT 고유 클라우드 위에서 기업별 블록체인 서비스 개발
[이동면 / KT 미래플랫폼사업부문장 : 저희들이 갖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을 개방해서 블록체인 서비스 형태로 개방을 했습니다. 파트너사들이 이것을 이용해서 본인들의 비즈니스를 이 위에 구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예람 기자 (yeahram@mtn.co.kr)]
-
AWS,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레이크’ 필요성 커진다”아마존웹서비스(AWS)가 미래에는 클라우드에 기반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정형 데이터 처리속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솔루션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AWS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AWS 서밋 서울 2019’를 개최하고 AWS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같은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했다.기조연설을 맡은 아드리안 콕크로프트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전략 담당 부사장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레이2019-04-17 15:11:03김태환 기자
-
양자컴퓨터 구현 앞당길 메커니즘 규명…KIST 기하학적 위상과 양자측정반작용 관계 밝혀국내 연구진이 양자컴퓨터 구현을 한 발짝 앞당길 수 있는 큐비트 메커니즘을 규명해냈다.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가 150년 걸리는 계산을 단 몇 분 만에 끝낼 수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조영욱 박사팀은 포스텍 김윤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양자컴퓨터 기본 단위인 큐비트(Qubit) 상태를 측정할 때, 기하학적 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큐비트는 양자컴퓨터 기본 정보단위로 기존 컴퓨터에서 비트(bit)에 해당한다.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 기본원리에 의존2019-04-17 14:08:39박응서 기자
-
네이버 D2SF, 로보틱스·의료 AI 스타트업에 투자네이버의 기술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D2SF(D2 Startup Factory)가 로보틱스·AI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타트업 두 곳에 각각 투자했다.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관리 플랫폼을 개발·제공 중인 '클로봇'과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영상 분석 솔루션을 개발 중인 '모니터'다.클로봇은 로봇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 필요한 ‘관리 솔루션’을 개발한다.클로봇의 솔루션은 다수의 로봇 서비스를 한꺼번에 관리&middo2019-04-17 09:52:44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