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국내 연구진 QLED 상용화 앞당길 원천기술 개발…ETRI, 양자점 표면치환기술로 효율과 수명 높여
국내 연구진이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뒤를 이을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 후보로 떠오르고 있는 QLED(양자점발광다이오드) 성능을 획기적으로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최수경 유연소자연구그룹 박사팀이 QLED정공 주입 개선 기술 개발로 양자점 표면을 구성하고 있는 분자체를 바꿔 QLED 밝기와 전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16일 밝혔다.
QLED는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반도체 입자인 양자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유기물을 이용한 OLED와 달리 QLED는 반도체인 양자점을 활용한다. 최근 자연에 가까운 색을 재현하는 디스플레이 수요가 늘고 있어, 가장 넓은 색 영역을 제공하는 QLED 기술에 대한 관심도 커지는 추세다.
현재 QLED 기술에서 가장 큰 문제는 발광 층 내 전자와 정공 이동 불균형 현상이다. QLED 소자는 양 전극에서 주입한 전자와 정공이 양자점에서 만나 빛을 낸다.
그런데 전자는 자유롭게 위아래로 이동하지만 정공은 전극과 양자점 에너지 간 전달이 더뎌 이동이 어렵다. 이런 전자와 정공 불균형이 QLED 성능을 떨어뜨리고 소자 수명을 짧게 만든다.
연구진은 밝게 빛나는 발광층 위에 양자점을 깔고 정공 쪽에 해당되는 부분만 피리딘이라는 물질로 바꿔 불균형 문제를 해결했다. 피리딘으로 정공을 쉽고 빠르게 이동시킨 것이다. 피리딘 덕분에 양자점과 정공 수송층 사이 거리가 줄고 중간에 에너지 층이 생긴다. 중간 에너지 층은 정공을 잘 전달하도록 도와 전자와 정공이 만나 빛을 내는 효율을 높인다.
기존에는 전자만 원활하게 이동하고 정공이 뒤따라오지 못했다. 또 정공을 추가로 주입하려고 전압을 더 높여야 했다. 하지만 연구진은 OLED와 같은 전압에서도 QLED가 밝게 빛을 낼 수 있게 만들었다. 기존 소자에 비해 최대 4.5배 밝기, 1.7배 전류효율, 2.3배 전력효율을 높인 QLED를 구현했다. 특히 적녹청(RGB) 모든 색상 양자점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QLED 상용화에도 큰 도움을 줄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하고 있다.
교신저자인 ETRI 이현구 유연소자연구그룹장은 “이 기술을 마이크로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할 계획”이라며, “미국 국가 텔레비전 시스템 위원회(NTSC) 기준 159% 색 재현율로 자연색에 더 가까운 색상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다양하게 적용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 분야 대표 국제 학술지인 재료화학C(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C) 3월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아울러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QLED TV는 LCD에 QLED필름을 붙인 제품으로, 여기서 언급한 QLED 기술과는 큰 차이가 있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
AWS,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레이크’ 필요성 커진다”아마존웹서비스(AWS)가 미래에는 클라우드에 기반한 데이터 레이크(Data Lake) 필요성이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비정형 데이터 처리속도를 향상시켜, 다양한 솔루션에서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AWS는 17일 서울 코엑스에서 ‘AWS 서밋 서울 2019’를 개최하고 AWS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같은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했다.기조연설을 맡은 아드리안 콕크로프트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전략 담당 부사장은 “클라우드 기반 데이터 레이2019-04-17 15:11:03김태환 기자
-
양자컴퓨터 구현 앞당길 메커니즘 규명…KIST 기하학적 위상과 양자측정반작용 관계 밝혀국내 연구진이 양자컴퓨터 구현을 한 발짝 앞당길 수 있는 큐비트 메커니즘을 규명해냈다. 양자컴퓨터는 슈퍼컴퓨터가 150년 걸리는 계산을 단 몇 분 만에 끝낼 수 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양자정보연구단 조영욱 박사팀은 포스텍 김윤호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로 양자컴퓨터 기본 단위인 큐비트(Qubit) 상태를 측정할 때, 기하학적 위상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7일 밝혔다. 큐비트는 양자컴퓨터 기본 정보단위로 기존 컴퓨터에서 비트(bit)에 해당한다.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 기본원리에 의존2019-04-17 14:08:39박응서 기자
-
네이버 D2SF, 로보틱스·의료 AI 스타트업에 투자네이버의 기술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D2SF(D2 Startup Factory)가 로보틱스·AI 기술을 보유한 국내 스타트업 두 곳에 각각 투자했다.투자 대상이 된 스타트업은 클라우드 기반의 로봇 관리 플랫폼을 개발·제공 중인 '클로봇'과 인공지능 기반의 의료영상 분석 솔루션을 개발 중인 '모니터'다.클로봇은 로봇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 과정에 필요한 ‘관리 솔루션’을 개발한다.클로봇의 솔루션은 다수의 로봇 서비스를 한꺼번에 관리&middo2019-04-17 09:52:44고장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