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SK텔레콤, 보이는 AI 스피커 ‘누구 네모’ 출시
SK텔레콤이 정보를 소리 뿐만 아니라 화면으로도 전달하는 디스플레이 탑재형 AI 스피커 ‘누구 네모(NUGU nemo)’를 출시한다고 18일 밝혔다.
누구 메모는 7인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AI 스피커가 전달하는 정보를 더 직관적으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사용 편의를 대폭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해외 시장에서는 아마존 ‘에코 쇼(show)’ 출시한 뒤 구글과 레노보 같은 글로벌 업체들이 디스플레이를 탑재한 AI스피커를 연이어 출시했다.
이에 SK텔레콤은 누구 네모 출시와 함께, 소비자들에게 디스플레이로 제공하는 차별 기능을 즐길 수 있게 다양한 콘텐츠를 준비했다.
우선 SK텔레콤은 인기 어린이 콘텐츠인 핑크퐁 놀이학습 5종을 누구 메모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상어가족’ 노래로 유명한 스마트스터디 핑크퐁은 어린이들이 애니메이션, 동요, 게임을 이용해 한글과 영어, 수학 등을 배울 수 있는 콘텐츠 브랜드다.
특히 핑크퐁 놀이학습 5종에는 최고 인기 콘텐츠인 영어 공부용 ‘핑크퐁! ABC파닉스’와 수학 공부용 ‘핑크퐁! 123 숫자놀이’가 포함돼, 어린이들이 쉽고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다. 또 어린이들에게 인기 있는 코코몽 놀이학습 1종도 포함돼 있다.
이와 함께 영상인식 기반 어린이용 학습게임도 새롭게 개발해 제공한다. 어린이들은 ‘거꾸로 가위바위보’, ‘고고고(크고 많고 길고)’ 같은 게임을 통해 다양한 손동작을 해보며 지각능력과 순발력, 응용능력 등을 키울 수 있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인기 어린이 콘텐츠인 ‘oksusu 키즈 VoD’ 콘텐츠를 무료로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사용에 따른 시력 저하 문제는 영상인식 기술로 해결했다. 영상을 보고 있는 아이가 화면에 가깝게 다가오면, VoD를 자동으로 멈추고 ‘뒤로 가기’를 안내한다.
누구 네모는 디스플레이로 ▲음악 감상 시 가사 확인 ▲실시간 환율정보 ▲증권정보 ▲운세 ▲지식백과 사전 ▲한영사전 같은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소비자들은 기존 AI 스피커가 음성으로만 제공하던 정보를 더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누구 네모 이용자들은 기존 누구에서 제공하던 음악 감상, 날씨 확인, 일정관리 등 30여 가지 생활밀착형 기능들도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누구 네모는 20가지 각기 다른 홈 테마를 설정할 수 있어 다양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다. ‘무드등’과 특정 시간마다 화면이 자동으로 꺼지게 설정할 수 있는 ‘나이트 모드’ 기능은 이용자들이 편안하게 수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SK텔레콤은 스피커의 기본인 음질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JBL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했다. JBL스테레오 스피커는 전 음역을 표현할 수 있는 2개 10W 풀레인지 드라이버를 적용해 콤팩트한 사이즈에서도 최대 20W 출력으로 최고 음질을 선사한다.
또 누구 네모는 저음을 증강시키는 4개 ‘패시브 래디에이터(Passive Radiator)’와 ‘저왜곡 스피커 유닛’이 탑재돼 부드러우면서도 강력한 저음으로 몰입감을 극대화한다.
누구 네모는 올해 'iF 디자인 어워드'에서 ‘제품 디자인상’을 수상하며 해외에서도 디자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iF 디자인 어워드는 1953년 독일 인터내셔널 포럼 디자인 주관으로 시작한 세계 최고 권위와 역사를 자랑하는 디자인 공모전이다.
누구 네모 가격은 19만9000원이며, 오는 23일부터 28일까지 온라인 쇼핑몰 11번가와 전국 SK텔레콤 공식 인증 대리점(PS&M)에서 예약판매를 진행한다. 예약판매 기간 내에 구매할 경우 플로(FLO) 6개월 무료 이용권과 핑크퐁 인형을 제공한다.
박명순 SK텔레콤 AI사업유닛장은 “AI스피커를 통해 듣는 정보를, 화면으로 더 정확하게 확인하고 싶은 소비자들을 위해 디스플레이 탑재형 AI 스피커 누구 네모를 출시했다”며 “앞으로 중소기업과 협업해 AI 관련 생태계를 키워, 소비자들이 5G 초시대에 걸맞은 다양한 AI 서비스를 누리실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테크M=김태환 기자(kimthin@techm.kr)]
-
[기업탐탐] 잘 부러져서 일본 간다...'케이피에프' 성장과 변화[앵커] MTN 기자들이 직접 기업탐방을 다녀와서 그 현장을 생생하게 전해드리는 기업탐탐 시간입니다. 오늘은 이대호 기자가 다녀온 케이피에프(KPF)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키워드]1. 잘 부러지는 볼트2. 정밀 감속기3. Deep Change앵커) 케이피에프는 업력이 오래된 기업이라고 들었어요. 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력을 쌓아온 기업이라면서요?기자) 케이피에프는 지난 1963년 10월 ‘한국볼트’로 출발했습니다. 어느덧 56년 업력을 가진 기업이 됐죠. 코스닥에 상장된 것은2019-04-19 09:12:00이대호 기자
-
[뉴스후] "5G로 괜히 갈아탔네"…·5G 사용자 불만 폭주앵커> 5G 상용화 이후 이용자들이 속도 저하 현상을 겪는 등 불만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사용이 어렵고 심지어 LTE 속도도 느려졌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가짜 5G 표기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여러 문제점에 대해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5G가 본격 상용화되고 전용폰이 출시된 지 2주 정도 지났는데 속도 저하, 커버리지 제한 등 문제로 고객들의 불만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상황이 어떤지 짚어주시죠.기자> 5G 이용자들은 최근 서울 주요 지역에서2019-04-18 17:19:37이명재 기자
-
[테크M 기획] 퍼블릭 클라우드 만병 통치약 아니다…통합관제와 컨설팅 필요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했지만 오히려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초반에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클라우드 용량을 늘릴수록 눈덩이처럼 예산이 늘어나는데다, 보안 문제와 규제환경 탓에 중요 정보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이에환경에맞춰 퍼블릭과 프라이빗, 온프레미스 환경을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대세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과 더불어 비즈니스가 클라2019-04-18 17:04:30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