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간편결제 80조 돌파...은행보다 '이베이·네이버·쿠팡' 두각
국내 간편결제 가입자 1억7000만명...이용건수 23억8000건
삼성페이와 스마일페이 등 국내 간편결제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본격적인 성장세를 나타냈던 3년 전과 비교해 이용건수와 결제금액가 3배 가량 증가했다. 은행과 카드사 등 기존 금융회사보다 온라인에 기반한 전자금융업자의 서비스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17일 발표한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을 보면 지난해 기준 간편결제 가입자는 약 1억7000만명으로 전체 이용금액은 80조1453억원으로 2016년과 비교해 약 3배 성장했다.
같은 기간 이용건수는 23억8000건으로 2.8배 늘었다. 업권별 가입자는 전자금융업자가 1억1300만명, 카드사 3300만명, 단말기제조사 1600만명, 은행 800만명 순이었다.
간편결제란 신용카드 등 결제정보를 모바일기기 등 전자장치에 미리 등록한 뒤 간편 인증만으로 결제하는 방식이다. 국내 간편결제는 은행과 카드사, 전자금융업자 등 총 43개사가 50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전자금융업자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금감원이 금융회사와 전자금융업자, 삼성·엘지페이의 간편결제 금액을 분류한 결과, 전자금융업자의 간편결제 금액이 30조9000억원으로 가장 높았고, 카드가 27조1000억원, 단말기 제조사 20조7000억원, 은행이 1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금감원은 이베이코리아, 네이버, 쿠팡 등 겸업 PG사가 제공하는 자사 유통망을 기반한 간편결제 거래 금액이 크게 증가한 것을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전자금융업자 상위 3개사의 간편결제 금액은 16조2000억원으로 2016년 3조7000억원과 비교해 4배 이상 증가했다.
결제수단별 이용금액은 신용(체크)카드가 91.2%로 압도적이었고, 선불(4.8%), 계좌이체(3.9%), 직불(0.1%)로 나타났다. 지난해 전체 신용(체크)카드 결제금액은 779조7000억원 이중 9.4%(73조1000억원)은 간편결제를 통해 거래됐다.
결제는 온라인에서 75.6%(60조6029억원), 오프라인에서 24.4%(19조5424억원) 이뤄졌고, 오프라인 결제금액은 기존 신용카드 단말기를 통해 결제가 가능한 삼성페이 MST방식 비중이 81.6%로 가장 높았다.
금감원은 "지급결제수단 등록절차의 취약점을 이용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보호조치를 적용하고, 시스템 장애로 서비스에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김이슬 기자 (iseul@mtn.co.kr)]
-
[기업탐탐] 잘 부러져서 일본 간다...'케이피에프' 성장과 변화[앵커] MTN 기자들이 직접 기업탐방을 다녀와서 그 현장을 생생하게 전해드리는 기업탐탐 시간입니다. 오늘은 이대호 기자가 다녀온 케이피에프(KPF)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키워드]1. 잘 부러지는 볼트2. 정밀 감속기3. Deep Change앵커) 케이피에프는 업력이 오래된 기업이라고 들었어요. 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력을 쌓아온 기업이라면서요?기자) 케이피에프는 지난 1963년 10월 ‘한국볼트’로 출발했습니다. 어느덧 56년 업력을 가진 기업이 됐죠. 코스닥에 상장된 것은2019-04-19 09:12:00이대호 기자
-
[뉴스후] "5G로 괜히 갈아탔네"…·5G 사용자 불만 폭주앵커> 5G 상용화 이후 이용자들이 속도 저하 현상을 겪는 등 불만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사용이 어렵고 심지어 LTE 속도도 느려졌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가짜 5G 표기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여러 문제점에 대해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5G가 본격 상용화되고 전용폰이 출시된 지 2주 정도 지났는데 속도 저하, 커버리지 제한 등 문제로 고객들의 불만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상황이 어떤지 짚어주시죠.기자> 5G 이용자들은 최근 서울 주요 지역에서2019-04-18 17:19:37이명재 기자
-
[테크M 기획] 퍼블릭 클라우드 만병 통치약 아니다…통합관제와 컨설팅 필요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했지만 오히려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초반에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클라우드 용량을 늘릴수록 눈덩이처럼 예산이 늘어나는데다, 보안 문제와 규제환경 탓에 중요 정보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이에환경에맞춰 퍼블릭과 프라이빗, 온프레미스 환경을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대세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과 더불어 비즈니스가 클라2019-04-18 17:04:30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