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퀄컴-애플 30조원 특허분쟁 합의…애플 추격 속도 빨라지나
애플-퀄컴, 30조원 규모 특허분쟁 전격 취하 합의
앵커> 퀄컴과 애플이 2년여간 벌여온 특허갈등이 봉합됐습니다. 두 회사는 우리 돈 30조원 규모의 초대형 특허소송전을 전격 취하하기로 합의를 봤는데요. 그동안 특허갈등으로 5G폰 경쟁에서 뒤처져있던 애플이 본격적인 추격에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보겠습니다.
앵커> 강 기자, 퀄컴과 애플이 소송전을 취하하기로 했는데, 그동안 왜 어떤 이유로 갈등을 벌여 온 건지부터 설명해주시죠.
기자> 갈등의 주원인은 특허 사용료 문제 때문이었습니다.
애플은 그동안 미국 반도체 회사인 퀄컴이 생산하는 모바일용 반도체를 공급받아 제품을 만들어왔는데요.
그런데 2017년 애플 측은 퀄컴이 독점 지위를 이용해 과도한 특허 사용료를 요구했다고 주장하면서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맞서 퀄컴 역시 "애플이 오히려 특허 사용 계약을 위반했다"며 맞소송을 제기했는데요. 소송금액이 최대 270억 달러, 우리 돈으로 30조원에 달합니다.
워낙 금액이 크다 보니 초대형 특허 분쟁으로 전 세계 관심이 집중됐는데요.
그런데 현지 시간으로 16일 두 회사가 본격적인 소송전을 앞두고 공동성명을 통해 모든 소송을 취하하겠다고 밝히면서 2년 만에 갈등이 마무리됐습니다.
앵커> 사실 그동안 두 회사의 특허갈등으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반사이익을 누릴 것이란 기대감이 높았는데, 상황이 또 뒤바뀌었네요.
기자> 그동안 퀄컴과의 특허 분쟁으로 애플은 5G 대응에서 한참 뒤처졌습니다.
퀄컴을 통해 5G폰 부품을 제대로 조달받지 못하면서 5G폰 출시 일정도 못 잡고 속을 태웠는데요.
급한 마음에 애플이 삼성전자에 부품 공급을 요청했다가 거절당했다는 이야기도 시장에 파다하게 퍼졌습니다.
이미 삼성전자는 세계최초로 5G폰을 출시한 상태고, 중국업체인 샤오미와 화웨이 등도 곧 5G폰 출시를 앞두고 있는 만큼 애플 입장에서는 마음이 조급할 수 밖에 없었을텐데요.
이런 이유로 반도체 부품을 조달받기 위해 애플이 퀄컴에 한발 물러나 양보를 택했을 것이란 추측이 나옵니다.
이제 모든 갈등이 마무리된 만큼 애플은 5G폰 출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이는데요.
삼성전자는 시장선점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5G폰 완성도를 높이겠다며 현재 국내 출시를 연기한 LG전자에는 애플의 추격이 상당한 부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머니투데이방송 MTN = 강은혜 기자 (grace1207@mtn.co.kr)]
-
[기업탐탐] 잘 부러져서 일본 간다...'케이피에프' 성장과 변화[앵커] MTN 기자들이 직접 기업탐방을 다녀와서 그 현장을 생생하게 전해드리는 기업탐탐 시간입니다. 오늘은 이대호 기자가 다녀온 케이피에프(KPF)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키워드]1. 잘 부러지는 볼트2. 정밀 감속기3. Deep Change앵커) 케이피에프는 업력이 오래된 기업이라고 들었어요. 한 분야에서 오랜 기간 기술력을 쌓아온 기업이라면서요?기자) 케이피에프는 지난 1963년 10월 ‘한국볼트’로 출발했습니다. 어느덧 56년 업력을 가진 기업이 됐죠. 코스닥에 상장된 것은2019-04-19 09:12:00이대호 기자
-
[뉴스후] "5G로 괜히 갈아탔네"…·5G 사용자 불만 폭주앵커> 5G 상용화 이후 이용자들이 속도 저하 현상을 겪는 등 불만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서울 주요 지역에서도 사용이 어렵고 심지어 LTE 속도도 느려졌다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요. 스마트폰 가짜 5G 표기 논란도 불거지고 있습니다. 여러 문제점에 대해 취재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앵커> 5G가 본격 상용화되고 전용폰이 출시된 지 2주 정도 지났는데 속도 저하, 커버리지 제한 등 문제로 고객들의 불만이 많다고 들었습니다. 상황이 어떤지 짚어주시죠.기자> 5G 이용자들은 최근 서울 주요 지역에서2019-04-18 17:19:37이명재 기자
-
[테크M 기획] 퍼블릭 클라우드 만병 통치약 아니다…통합관제와 컨설팅 필요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퍼블릭 클라우드를 도입했지만 오히려 온프레미스 환경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됐다.초반에는 비용이 저렴하지만 클라우드 용량을 늘릴수록 눈덩이처럼 예산이 늘어나는데다, 보안 문제와 규제환경 탓에 중요 정보를 보호해야 하기 때문이다.이에환경에맞춰 퍼블릭과 프라이빗, 온프레미스 환경을 자유자재로 넘나들 수 있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가 대세가 될 것이란 전망이다. 또 퍼블릭과 프라이빗을 한눈에 관리할 수 있는 관제 시스템과 더불어 비즈니스가 클라2019-04-18 17:04:30김태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