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TECH M

세탁할 수 있는 전자섬유 개발, 편안하고 똑똑한 웨어러블 제품 가까워

전극 꼬아 연결한 트랜지스터, 1000회 넘게 구부리고 세탁해도 성능 유지

2019-04-23박응서 기자

KIST 광전소재연구단 임정아 박사팀에서 개발한 섬유형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이용해 RGB컬러 LED를 구동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 KIST

국내 연구진이 사람이 하루 종일 입고 다녀도 피로감을 덜 느끼는 데 활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임정아 박사팀이 세탁해도 성능을 유지하며 섬유 특성을 가지는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고 23일 밝혔다.

최근까지 개발된 웨어러블 제품은 옷감에 딱딱한 전자소자를 단순히 붙이거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해 소자 사이를 연결하는 형태다. 일반적인 옷 같은 편안함을 기대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또 기존에 개발한 실 형태 트랜지스터는 전도성 실 한 가닥에 평면 구조 트랜지스터를 증착해 제작한다. 이렇게 만든 전극은 높은 전압을 필요로 하는 반면 전류값이 낮아 LED 같은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게다가 세탁을 위해 보호막을 트랜지스터 위에 만들거나, 다른 전자 소자들과 접촉시키며 전자회로를 만들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KIST 연구진이 개발한 트랜지스터는 전극을 꼬아 연결한 구조다. 이에 따라 실 길이와 반도체 두께를 조절해 1.3V 이하라는 낮은 전압에서도 기존 트랜지스터보다 1000배가 넘는 전류를 얻을 수 있다.

 

임정아 박사팀이 개발한 섬유형 트랜지스터를 이용하면 낮은 전압으로도 RGB컬러 LED를 작동시킬 수 있다. 사진제공 KIST

 

KIST 임정아 박사팀은 실험으로 1000번 넘게 구부리거나, 원통형 물체에 트랜지스터를 감아 약 7mm까지 접은 뒤에도 성능이 80%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세제를 넣은 물에 세탁한 뒤에도 성능이 유지된다고 밝혔다. 또 연구진은 트랜지스터를 옷감에 직접 넣어 LED를 성공적으로 작동시켰으며, 심전도 신호를 증폭해 측정하는데도 성공했다.

KIST 임정아 박사는 “그동안 전자섬유 한계로 지적된 낮은 전류와 높은 구동전압, 세탁 내구성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소자 구조를 제시한 것”이라며, “차세대 웨어러블 컴퓨터나 인체신호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스마트 의류 같이 한층 똑똑해진 차세대 웨어러블 제품을 개발하는데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소재 분야 유명 국제 저널인 ‘첨단 재료(Advanced Materials)’ 최신호 온라인에 게재됐다.

 

[테크M = 박응서 기자(gopoong@techm.kr)]

(주)테크엠주소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2길 27, 10층 (역삼동, 비젼타워)대표이사.발행인 : 김현기편집인 : 허준개인정보보호책임자 : 김현기청소년보호책임자 : 허준
사업자등록번호 : 553-81-01725대표전화 : 070-4513-1460보도자료 및 제보 : press@techm.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