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M
TECH M
티맥스데이터, 화웨이 서버에 '티베로' 탑재…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공동 개척
화웨이의 타이산 서버에 티베로 탑재…"타 서버 대비 28% 더 우수한 성능"
티맥스와 화웨이가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세계 최초로 ARM서버에 상용 데이터베이스관리(DBMS) 솔루션을 결합한 제품을 선보인다.
데이터베이스 전문기업인 티맥스데이터는 화웨이와 업무협약를 맺고 화웨이에서 개발한 ARM 서버 '타이산'에 DBMS 솔루션 '티베로'를 탑재한다고 2일 밝혔다.
앞서 화웨이는 지난 1월 영국 반도체 설계업체인 ARM과 데이터센터에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반도체칩인 '쿤펑 920'을 독자 개발했다고 밝힌 바 있다. 화웨이는 이 쿤펑 920을 탑재한 타이산 서버에 티맥스데이터의 DBMS인 티베로를 탑재하기로 했다.
티맥스데이터도 지난 4월 화웨이의 '화웨이 인텔리전트 컴퓨팅 컨퍼런스'에서 타이산 서버와 티베로의 합작 솔루션을 공개하고 적용된 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티맥스데이터는 "쿤펑 920과 결합한 타이산 서버는 타 서버 대비 높은 가용성과 낮은 소비 전력, 더 나은 효용성을 제공한다"며 "여기에 티베로의 고효율성과 안정적인 기술력이 더해져 동일한 조건에서 타 서버보다 28% 정도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티맥스데이터는 또한 7월 이후 화웨이 ARM 서버로 구성된 클라우드존을 티맥스 클라우드센터에 구축해 ARM과 연계되는 티베로는 물론 티맥스의 다양한 클라우드 기술을 체험해볼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티맥스는 화웨이와 협력을 통해 출시되는 새로운 제품은 빅데이터와 관련된 분야에 우선적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티맥스데이터는 빅데이터,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의 시장과 발맞춰서 다양화된 컴퓨팅 시대에 전략적으로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루광 화웨이 타이산 서버 사업부 총괄은 "티맥스는 글로벌 최고의 데이터베이스 기업으로 화웨이와 함께 산업의 변화와 고객의 요구사항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향후 티맥스와의 협력을 통하여 타이산 ARM 서버와 티맥스의 티베로를 결합시킨 혁신적인 컴퓨팅 솔루션으로 다양한 기업과 고객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희상 티맥스데이터 대표는 “중국 최대의 통신장비 기업인 화웨이와 협력하게 되어 티베로의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된다"며 "티맥스데이터와 화웨이의 결합으로 클라우드 서비스와 빅데이터 기술을 확대하며 데이터 시장의 활용 확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긴밀한 협약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장석 머니투데이방송 MTN 기자
-
[테크M 북카페] 5G가 불러오는 4차 산업혁명 - 5G 시대가 온다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자율주행차, 가상증강현실(AR/VR), 빅데이터.이들은 4차산업혁명을 이루는 핵심 기술들이다. 전문가들은 4차산업혁명 기술을 실현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5세대 이동통신(5G)이라고 설명한다.5G가 실현되면 우리 삶은 어떻게 바뀌게 될까. 인공지능, 홀로그램 영상, 자율주행차가 현실로 소환된다. UHD 영화 한 편을 다운로드하는 데 1초면 끝나고, 50GB 용량인 4K UHD 영화 한 편을 20초에 내려 받을 수 있다.또 일반 동영상보다 최소 3배 이상 용2019-05-04 16:48:11김태환 기자
-
블록체인 기반 실생활 서비스 잇단 출시…활성화 조짐 나타난다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실생활 서비스가 잇따라 출시돼 주목된다. 금융분야는 물론 산업 전반에 걸쳐 블록체인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18년 15억 달러(약 1조6500억원)에서 2022년 124억달러(약 14조1000억원)로 76.0% 연평균 성장률(CAGR)을 기록할 전망이다.특히 암호화폐같은 금융 분야뿐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블록체인이 유효한 범용 기술로 인식되면서 은행·증권·투자서비스&mid2019-05-03 16:54:00김태환 기자
-
네이버, 2200명 편지함에서 메일 일괄 삭제…"개인 메일 열어본 것 아냐"네이버가 이메일을 통해 유포된 블로그 광고 서비스 이용자 2,200여명의 개인정보를 회수하기 위해 발송된 이메일을 추적해 삭제했다.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이미 읽은 개인 메일함에 담긴 이메일까지 삭제해 논란이 일고 있다.네이버는 지난달 30일 블로그 광고수익 서비스 '애드포스트' 이용자에게 원천징수영수증 메일을 보내면서 시스템 오류로 다른 회원 개인정보까지 함께 전송하는 사고를 냈다. 유출된 개인정보는 민감한 개인정보인 이름·주소·주민등록번호·애드포스트 지급액 등이다.2019-05-03 11:08:35고장석 기자